테니스 스트로크와 전략, 전술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포핸드 스트로크
1. 그립 (Grip)
2. 준비자세
3. 스윙(Swing) 동작
4. 올바른 포핸드 스트로크

Ⅱ. 백핸드 스트로크
1. 그립 (Grip)
2. 스윙(Swing) 동작
3. 올바른 백핸드 스트로크

Ⅲ. 양손 백핸드 스트로크
1. 그립 (Grip)
2. 스윙(Swing) 동작

Ⅳ. 서비스
1. 그립 (Grip)
2. 준비자세
3. 토스
■ 이상적인 토스
4. 스윙(Swing) 동작

Ⅴ. 발리
1. 그립 (Grip)
2. 준비자세
3. 스윙(Swing) 동작
4. 낮은 발리
5. 높은 발리
6. 발리를 잘하기 위해서 기억해야할 것..

Ⅵ. 하프 발리
1. 그립 (Grip)
2. 스윙(Swing) 동작

Ⅶ. 테니스의 전략과 전술
1. 시합과 작전에 대하여
2. 단식 경기에서의 전략ㆍ전술
① 스트로크의 전략ㆍ전술
② 서비스와 리시브의 전략ㆍ전술
③ 서비스 후의 전진
④ 가장 좋은 포지션
3. 복식 경기의 전ㆍ후위 선정법
① 서비스
② 리시브
③ 가장 좋은 포지션
4. 진형
① 2인 모두 베이스라인 플레이의 진형
② 1명이 베이스라인 플레이, 다른 1명이 네트 플레이의 진형
③ 두 사람다 네트 플레이의 진형

본문내용

인기보다는 팀워크를 더 중요시하는 경기로, 훌륭한 선수들은 이 점을 인식하고 파트너로서 플레이를 위해 개인의 희생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그들은 거의 단독으로 포인트를 얻으려고 하지 않고, 필요한 때에는 자기의 파트너를 보호하고 도와 어려운 상황에서 빠져 나오게 하고, 공격이 가능할 때에는 둘이 함께 책략을 써서 공격을 하는 등 자기의 파트너와 함께 경기를 하는 것이다.
테니스에서는 4개 Con 즉, Concentration(정신의 집중), Control(제어), Confidence(자신), Combination(협조)을 중요하게 생각하는데 이 중에서 콤비네이션은 두 사람의 협력으로 게임이 진행되는 복식 경기에 해당되는 말이다.
단식이 외로운 싸움인데 반해, 복식은 언제나 파트너를 의식하며 서로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커버함으로써 강력한 팀이 되며, 또한 복식을 관전하는 즐거움은 2명의 선수가 조화하는 콤비네이션의 묘미에 있다. 그래서 2명의 강력한 단식 선수가 한 조가 된다 하여도 반드시 강한 팀이 된다는 보장은 없다.
① 서비스
복식에서 특히 중요한 것은 서비스로 코트를 둘로 나누어 지키므로 서비스에 이어 전진하여 즉시 네트 플레이로 옮기는 것이 정석이다. 우선 좋은 서비스로 적의 반격을 봉쇄하고 네트에 접근하지 않으면 발아래를 노려서 안 좋은 입장에 몰리는데, 좋은 서비스로 네트 포지션에 접근하면 리시버는 때려 넣을 곳이 없어 벽에 부딪친 상황이 된다.
서버는 서비스를 넣고 리시버가 볼을 때리기 전까지 뛰는데 리시버가 볼을 때리는 순간 멈추어 리턴을 하기 위한 자세를 취하고, 서버의 파트너는 방어하기가 쉽고 중앙에 가까이 오는 볼을 가로채어 칠 수 있는 위치를 선택해야 한다.
그러나 서버의 서브가 약하면 그의 파트너는 베이스 라인에 서야 하며, 그러고 나서 양 선수는 가능한 한 빨리 네트에 진출해야 한다. 아무튼 복식의 서비스 게임은 반드시 이겨야 하며, 그러지 못할 경우 시합에 패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② 리시브
리시브가 중요한 이유는 상대방의 서비스 게임을 깨뜨리지 못하면 아무리 자기의 서비스 게임을 따내도 끝장이 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단식의 리시브와 다른 점은 적이 네트에 접근하기 전에 그의 발 근처를 기습하는 것이 정석으로 그러기 위해서는 서비스를 빠른 타이밍으로 돌려보내야 한다. 만약 베이스 라인 밖으로 보내려고 하면 상대편이 전진하여 유리한 위치를 취할 시간을 부여하게 된다.
리시브는 스트로크 할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 순간적 판단이 필요한 경우다. 그러므로 우선 대각선상의 코트에 날카롭게 반구한다는 것을 염두에 두는 것이 좋다. 그렇게 하기 위해 베이스 라인에 너무 물러서 있으면 포치당하는 수가 있으므로 복식의 리시브에서도 역시 이 포치에 주의하지 않으면 안 된다. 아무튼 리시브란 상당히 세심한 주의와 판단이 필요하다.
리시브의 또 다른 방법으로는 로빙을 사용하는 것으로 이 로빙은 단식에서보다 복식에서 특히 유리하다. 리시브에서의 훌륭한 로빙은 상대편 진형을 흩트리는데 좋은 무기가 되지만 자칫 잘못하면 스매시로 두들겨 맞을 위험성이 따른다.
발리를 하여 상대방의 머리 위를 넘기는 로빙도 고급의 전술임을 잊어서는 안 된다. 네트 플레이는 네트에 가까울수록 유리하므로 발리의 응수일 때 양쪽의 플레이어가 네트로 서로 접근한다. 이런 때 적의 의표를 찔러 머리 위로 넘기는 발리성 로빙은 결정타가 될 수 있다.
복식에서는 발리를 때리는 장소에 따라서 진형이나 전세기 금방 뒤바뀌게 된다. 그러므로 발리를 때리는 장소는 단순히 자기의 포지션만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파트너의 상황을 고려하고 그 파트너가 수비하기 어려운 장소로 볼이 돌아오지 않도록 때리지 않으면 안 된다. 이것이 바로 복식의 묘미인 팀플레이이다.
③ 가장 좋은 포지션
서비스할 때는 두 사람이 코트를 지키기 위하여 단식의 경우보다도 사이드라인 가까이에 위치하도록 하나. 일반적으로 단식 사이드라인의 연장선 근방이다. 서비스의 파트너가 네트 플레이를 하기 위해서는 위치는 서버와 반대쪽의 단식 사이드라인의 안쪽 안 50cm에서 네트의 뒤쪽 2m 정도의 끝이 가장 적당하고, 리시브를 할 때는 일반적으로 단식 코트의 코너가 적당하지만 서버의 위치나 서비스의 크기에 따라서 단식일 경우와 똑같은 조정이 필요하게 된다. 리시버의 파트너는 리시버 곁의 서비스 코트 안쪽에 위치하도록 하고 서비스 라인의 1m정도의 안쪽에서 센터 서비스 라인의 2m정도 안쪽이 좋다. 이것은 만약 상대방의 전위(서버의 파트너)가 상대방의 리시브를 네트 플레이로써 자기 쪽으로 되쳤을 경우에 대비하는 것이다. 만약 리시버의 파트너가 네트 플레이를 행하는 진형을 취하지 않는 다면 처음부터 베이스 라인뒤쪽에 위치하게 된다.
4. 진형
1대 1로 행하는 단식인 경우에는 베이스라인, 또는 네트의 어느 쪽인가의 진형으로 이루어지지만, 복식인 경우에는 2인이 일단 코트를 세로로 2등분하여 저마다 코트를 지키기 때문에 세 가지의 진형을 생각할 수 있게 된다.
① 2인 모두 베이스라인 플레이의 진형
단식보다도 복식인 경우인 쪽이 코트 자체는 넓어지지만 두 사람이 코트를 지키고 있기 때문에 한사람이 맡은 범위는 당연히 좁게 된다. 따라서 수비진형으로써는 가장 완강하지만 상대방도 두 사람이 지키고 있기 때문에 공격이 어렵게 된다. 이 진형은 상대방이 나중에 말하게 되는 두 사람이 모두다 네트 플레이의 진형을 취했을 경우에 그것에 대처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어져 오고 있다.
② 1명이 베이스라인 플레이, 다른 1명이 네트 플레이의 진형
단식과는 달리 복식으로써는 1명이 서비스 또는 리시브를 할 경우에 다른 한 사람이 처음서부터 네트에 붙어있을 수가 있게 된다. 그리하여 네트로 전진하기 위한 특별한 플레이 없이 반드시 1명이 네트에 붙는 진형을 취할 수가 있다. 두 사람모두 베이스라인 플레이의 진형에 비한다면 공격적인 진형이지만 두사람다 네트 플레이의 진형에 비한다면 또한 수비적인 진형이라고 말할 수가 있다.
③ 두 사람다 네트 플레이의 진형
서브 또는 리시버가 네트에 전진하기 위한 특별한 플레이가 필요하게 되지만 가장 공격적인 진형이 되게 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5.05.21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79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