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산욕생리]
Ⅰ.산욕기의 정의
Ⅱ.생식기의 복구
Ⅲ.심맥관계
Ⅳ.비뇨기계
Ⅴ.위장계
Ⅵ.신경계, 근골격계
Ⅶ.내분비계
[산욕기 합병증]
1.산후 출혈
2.폐색전
3.유방염(Mastitis)
4.비뇨기계 감염
5.뇨정체와 잔뇨증
6.방광염과 신우신염
7.산후 외음부 부종
8.Seehan's Syndrome(=산후 뇌하수체전엽의 괴사)
9.Chiari-Frommel Syndrome
Ⅰ.산욕기의 정의
Ⅱ.생식기의 복구
Ⅲ.심맥관계
Ⅳ.비뇨기계
Ⅴ.위장계
Ⅵ.신경계, 근골격계
Ⅶ.내분비계
[산욕기 합병증]
1.산후 출혈
2.폐색전
3.유방염(Mastitis)
4.비뇨기계 감염
5.뇨정체와 잔뇨증
6.방광염과 신우신염
7.산후 외음부 부종
8.Seehan's Syndrome(=산후 뇌하수체전엽의 괴사)
9.Chiari-Frommel Syndrome
본문내용
-산후 유방염은 수유시 어느 시기에나 일어날 수 있으며 보통 산욕3~4주경에 일어남
-유방염 앞에 울혈이 있으며 감염시 pt는 급성동통과 유방압통, 일반적 권태감, 체온의 현저한 상승에 따른 오한(chill), 맥박의 증가를 경험
-시진시 유방은 단단하고 충혈
-보통 편측성으로 진전된 경우 국소적 농 형성.
ㄴ.간호 -유방염에 관한 교육을 실시하여 임신 후반기 동안에 유방에 특별한 간호를 시작함으로써 예방
-분만후 유방간호는 fissure의 발생을 예방하는 것을 helf.
-유두가 아프다고 호소할 경우 즉시 시진.
-열상은 benzoin액이나 lanolin이나 유방덮개의 사용으로 치료
-항생제의 조기치료
-단단하고 잘맞는 브라를 통해 유방지지.
-농, 동통의 침범부위에 Icp cap의 적용.
-농이 불가피할 경우 열적용이 농의 국소화를 서두르기 위해 처방
-모유수유의 중지
-절개 및 배농이 이루어지며 농을 덜어낸후 gauze, drain삽입
4.비뇨기계 감염
=산후 요정체는 방광용적의 증가, 방광의 긴장도 감소, 회음부의 외상 때문에 배뇨할려는 뇨의감소에 의해 발생.
=pt가 방광을 완전히 비울수 없을 경우 남아있는 소변은 세균성장에 대한 배양배지로 작용
=종종 방광염이나 신우신염을 일으킴
5.뇨정체와 잔뇨증
①과다팽창이나 불완전하게 비움은 잔뇨를 초래하게 된다
②뇨정체는 op후에 더 자주 볼수 있다. 5~6일 동안 지속되며 더 오래 지속될수 있다.
③중요 원인은 방광삼각근의 부종이며 요도의 폐쇄에 의해 일어남.
④Care
-분만후 4hrs내에 배뇨 확인 →배뇨 실패시 수분공급&ambulation teaching 후 1hr내 재확인 →배뇨 실패시 nelation 시행, 300~400cc↑이면 foley insert.(책6~8hr)
-팽창된 방광은 적절한 주의를 요구하며 산후 출혈을 예고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6.방광염과 신우신염
①고여있는 소변이 손상받은 방광에 남아 있을 때 방광염의 위험이 될 수있음
②증상: 통증이 있는 배뇨, 미열, 현저한 방광의 압통, 불편감을 가짐
③진단: 소변 검사물의 현미경 검사, 잔뇨와 관련된 백혈구 증가증은 확실한 방광염을 진단.
④치료
-뇨정체를 피하기 위해 foley insert
-항생제의 처방, 수분공급의 강화.
-급성 열성 신우신염을 제외하고 투약은 보통 po로 함.(급성 열성 신우신염은 IV로 항생제 치료)
7.산후 외음부 부종
①고열과 현저한 백혈구증가증이 발생하며 정확한 원인은 알수 없으며 치료는 여러 가지 항생제 투여 국소적 열요법, heparine, steroid, crystalloid등으로 구성
②비정상적인 외음부 부종에대한 조기인식은 미열과 백혈구상승과 관련되며 항생제와 steroid등의 포괄 적인 치료도 모성사망율을 예방할수 있다.
8.Seehan's Syndrome(=산후 뇌하수체전엽의 괴사)
①빈도: 산후 출혈과 관련된 심한 저혈량 shock이 있는 15%의 부인에게 발생
②증상 -뇌하수체기능의 손실이며 이는 갑상선, 부신피질, 난소기능의 결핍을 초래
-수유의 실패, 감소된 유방의 크기, 치골이나 겨드랑이의 hair 손실, 외부생식기의 위축
-severe → 점액수종
-종종 배란이 될 수 있으며 대부분은 월경을 하지않음
③치료 -호르몬 보충으로 이루어지며 보통 thyroid, cortisone, esteogen등이다
-충분한 C.H.O가 있는 고단백질 식이는 전형적인 악액질을 중화
9.Chiari-Frommel Syndrome
①유류증(지곡적인 유즙의 흐름)에 의해 특징 지워지는 드문 상태이며 정상분만에 발생
②증상 :산모가 수유하든, 안하든 간에 유류증, 두통, 시력손실, 생식기 위축이 나타난다.
-유방염 앞에 울혈이 있으며 감염시 pt는 급성동통과 유방압통, 일반적 권태감, 체온의 현저한 상승에 따른 오한(chill), 맥박의 증가를 경험
-시진시 유방은 단단하고 충혈
-보통 편측성으로 진전된 경우 국소적 농 형성.
ㄴ.간호 -유방염에 관한 교육을 실시하여 임신 후반기 동안에 유방에 특별한 간호를 시작함으로써 예방
-분만후 유방간호는 fissure의 발생을 예방하는 것을 helf.
-유두가 아프다고 호소할 경우 즉시 시진.
-열상은 benzoin액이나 lanolin이나 유방덮개의 사용으로 치료
-항생제의 조기치료
-단단하고 잘맞는 브라를 통해 유방지지.
-농, 동통의 침범부위에 Icp cap의 적용.
-농이 불가피할 경우 열적용이 농의 국소화를 서두르기 위해 처방
-모유수유의 중지
-절개 및 배농이 이루어지며 농을 덜어낸후 gauze, drain삽입
4.비뇨기계 감염
=산후 요정체는 방광용적의 증가, 방광의 긴장도 감소, 회음부의 외상 때문에 배뇨할려는 뇨의감소에 의해 발생.
=pt가 방광을 완전히 비울수 없을 경우 남아있는 소변은 세균성장에 대한 배양배지로 작용
=종종 방광염이나 신우신염을 일으킴
5.뇨정체와 잔뇨증
①과다팽창이나 불완전하게 비움은 잔뇨를 초래하게 된다
②뇨정체는 op후에 더 자주 볼수 있다. 5~6일 동안 지속되며 더 오래 지속될수 있다.
③중요 원인은 방광삼각근의 부종이며 요도의 폐쇄에 의해 일어남.
④Care
-분만후 4hrs내에 배뇨 확인 →배뇨 실패시 수분공급&ambulation teaching 후 1hr내 재확인 →배뇨 실패시 nelation 시행, 300~400cc↑이면 foley insert.(책6~8hr)
-팽창된 방광은 적절한 주의를 요구하며 산후 출혈을 예고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6.방광염과 신우신염
①고여있는 소변이 손상받은 방광에 남아 있을 때 방광염의 위험이 될 수있음
②증상: 통증이 있는 배뇨, 미열, 현저한 방광의 압통, 불편감을 가짐
③진단: 소변 검사물의 현미경 검사, 잔뇨와 관련된 백혈구 증가증은 확실한 방광염을 진단.
④치료
-뇨정체를 피하기 위해 foley insert
-항생제의 처방, 수분공급의 강화.
-급성 열성 신우신염을 제외하고 투약은 보통 po로 함.(급성 열성 신우신염은 IV로 항생제 치료)
7.산후 외음부 부종
①고열과 현저한 백혈구증가증이 발생하며 정확한 원인은 알수 없으며 치료는 여러 가지 항생제 투여 국소적 열요법, heparine, steroid, crystalloid등으로 구성
②비정상적인 외음부 부종에대한 조기인식은 미열과 백혈구상승과 관련되며 항생제와 steroid등의 포괄 적인 치료도 모성사망율을 예방할수 있다.
8.Seehan's Syndrome(=산후 뇌하수체전엽의 괴사)
①빈도: 산후 출혈과 관련된 심한 저혈량 shock이 있는 15%의 부인에게 발생
②증상 -뇌하수체기능의 손실이며 이는 갑상선, 부신피질, 난소기능의 결핍을 초래
-수유의 실패, 감소된 유방의 크기, 치골이나 겨드랑이의 hair 손실, 외부생식기의 위축
-severe → 점액수종
-종종 배란이 될 수 있으며 대부분은 월경을 하지않음
③치료 -호르몬 보충으로 이루어지며 보통 thyroid, cortisone, esteogen등이다
-충분한 C.H.O가 있는 고단백질 식이는 전형적인 악액질을 중화
9.Chiari-Frommel Syndrome
①유류증(지곡적인 유즙의 흐름)에 의해 특징 지워지는 드문 상태이며 정상분만에 발생
②증상 :산모가 수유하든, 안하든 간에 유류증, 두통, 시력손실, 생식기 위축이 나타난다.
추천자료
임신의 합병증
대장암의 문헌고찰 및 장루의합병증
벤틀레이션 종류,모드,Setting,적용기준 ,간호,합병증,제거기준
[고혈압의 정의][고혈압의 원인][고혈압의 진단][고혈압의 합병증][고혈압의 예방법][고혈압...
조기파막,정상 분만 산욕부 간호과정-
분만과 관련된 합병증
정상 산욕부에 대한 system별 정리 및 호르몬
산후조리(산욕부), 모유수유 대상자 교육자료
모성간호 conference 입니다. (산욕부, 분만 이 같이 있어요)
산욕부 케이스
[간호과정] 폐렴케이스 Pneumonia case study - 폐렴케이스스터디 폐렴사례관리 폐렴간호과정...
[소아과케이스] 아동폐렴케이스 (pneumonia case study) 소아폐렴케이스, 아동폐렴간호진단 ...
[고지혈증] 고지혈증의 원인과 증상 및 합병증, 지단백질의 종류와 역할(LDL, VLDL, HDL), 가...
[고지혈증] 고지혈증의 정의와 원인, 고지혈증의 증상 및 합병증, 지단백질의 종류 및 대사,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