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연구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실험방법 및 재료
Ⅳ. 기대효과
Ⅴ. 참고문헌
Ⅱ. 이론적 배경
Ⅲ. 실험방법 및 재료
Ⅳ. 기대효과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생긴 타원형의 작은 겨울눈이 물속에 가라앉아서 겨울을 나고 이듬해 봄에 물위로 나와 번식한다. 수생식물 중에서 그 크기가 가장 작으나 재생산율이 가장 빠른 수생식물 중의 하나로 뿌리는 크기가 1.2cm 내외이다. 개구리밥은 병에 잘 견디며 추위에 대해 내성이 크다는 장점이 있고, 뿌리가 작고 크기가 대단히 작기 때문에 바람에 의한 유동에 민감하다. 또한 정류판을 설치하지 않을 경우 유체의 흐름쪽으로 몰려 처리효율이 감소하고 악취가 발생 될 수 있다.
Ⅲ. 실험방법 및 재료
1. 실험 재료
반응조, 미나리, 개구리밥, 인공하수, 실폐수
2. 실험 장치
FiG 1. 반응기
* 1,2,3,4 - 실험조
* 5 - 미나리를 식재할 반응조의 미나리 고정장치
* 6 - 개구리밥을 식재할 반응조의 개구리밥 고정장치
실험장치는 위의 그림과 같이 4개의 독립 실험조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실험조는 투명 아크릴수조로 크기는 20(W)×20(L)×30(H)cm의 이다. 1번 실험조는 대조군으로 식물을 식재하지 않고 2,3번 실험조는 각 각 미나리 20g과 개구리밥 20g을 식재한다. 4번 실험조는 혼합조로 미나리와 개구리밥을 10g씩 섞어 식재한다. 5번 고정장치는 미나리가 뿌리기 내리기까지의 지지대로 철사를 이용해 줄기의 중간부분에 위치하도록 장치한다. 6번 고정장치는 개구리밥의 유동성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수면 근처에 오도록 철사와 낚시줄을 이용하여 설치한다. 실폐수는 처리장에서 취수한 것을 사용하고 인공폐수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것을 사용한다.
Table 3. 인공폐수 제조
인공폐수 1ℓ
Nutrient solution 1ℓ
chemicals
campain
chemicals
campain
chemicals
campain
Glucose
187.63㎎
MgSO47H2O
90g
CuCl22H2O
0.1g
KNO3
217㎎
CaCl22H2O
6g
CoCl26H2O
1.9g
KH2PO4
22㎎
FeCl36H2O
1.5g
NiSO46H2O
6.5g
Nutrient solution
1㎖
MnCl24H2O
6.5g
H3BO3
0.1g
ZnSO47H2O
1.7g
(NH4)6Mo7O24
4H2O
0.6g
3. 실험방법
실험은 총 5번에 걸쳐 하게 되며 각 실험에 사용될 폐수의 농도는 인공폐수 전량, 실폐수 전량, 실폐수 1/4 +증류수 3/4, 실폐수 1/2 +증류수 1/2, 실폐수 3/4 +증류수 1/4 로 한다. 본 실험에서 분석항목은 T-N, T-P, CODcr, SS로 실험은 Standard method 시험법을 적용한다.
Ⅳ. 기대효과
본 연구를 통해 미나리와 개구리밥 각각의 T-N, T-P, COD에 대한 처리 효과를 알아본다. 또한 개구리밥과 미나리를 혼합 식재했을 때의 처리 효과를 알아본 후 연구결과를 비교검토하여 효율성이 나은 식물을 찾는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수처리에서 사용 시 방법의 타당성 및 가능성에 대하여 고찰하여 본다.
Ⅴ. 참고문헌
* 송승달, 생명과 환경 Environmentral Biology
* 박제철, 수생식물을 이용한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고도처리, 2003
* 박진식, 부레옥잠과 미나리를 이용한 연속식 하수처리에서 COD, N 및 P의 제거, 2002
* 김기남, 미나리(Oenanthe javanica)와 애기부들(Typha angustata)의 수질정화 능력에 관한 연구, 2003
* 김윤태, 수생식물을 이용한 영양염류 제거에 관한 연구, 2000
* 박정훈, 수생식물을 이용한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고도처리, 2004
* 이윤영, 수생식물에 의한 질소와 인의 제거능에 관한 연구, 2004
* 환경부 홈페이지 (www.me.go.kr)
Ⅲ. 실험방법 및 재료
1. 실험 재료
반응조, 미나리, 개구리밥, 인공하수, 실폐수
2. 실험 장치
FiG 1. 반응기
* 1,2,3,4 - 실험조
* 5 - 미나리를 식재할 반응조의 미나리 고정장치
* 6 - 개구리밥을 식재할 반응조의 개구리밥 고정장치
실험장치는 위의 그림과 같이 4개의 독립 실험조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실험조는 투명 아크릴수조로 크기는 20(W)×20(L)×30(H)cm의 이다. 1번 실험조는 대조군으로 식물을 식재하지 않고 2,3번 실험조는 각 각 미나리 20g과 개구리밥 20g을 식재한다. 4번 실험조는 혼합조로 미나리와 개구리밥을 10g씩 섞어 식재한다. 5번 고정장치는 미나리가 뿌리기 내리기까지의 지지대로 철사를 이용해 줄기의 중간부분에 위치하도록 장치한다. 6번 고정장치는 개구리밥의 유동성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수면 근처에 오도록 철사와 낚시줄을 이용하여 설치한다. 실폐수는 처리장에서 취수한 것을 사용하고 인공폐수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것을 사용한다.
Table 3. 인공폐수 제조
인공폐수 1ℓ
Nutrient solution 1ℓ
chemicals
campain
chemicals
campain
chemicals
campain
Glucose
187.63㎎
MgSO47H2O
90g
CuCl22H2O
0.1g
KNO3
217㎎
CaCl22H2O
6g
CoCl26H2O
1.9g
KH2PO4
22㎎
FeCl36H2O
1.5g
NiSO46H2O
6.5g
Nutrient solution
1㎖
MnCl24H2O
6.5g
H3BO3
0.1g
ZnSO47H2O
1.7g
(NH4)6Mo7O24
4H2O
0.6g
3. 실험방법
실험은 총 5번에 걸쳐 하게 되며 각 실험에 사용될 폐수의 농도는 인공폐수 전량, 실폐수 전량, 실폐수 1/4 +증류수 3/4, 실폐수 1/2 +증류수 1/2, 실폐수 3/4 +증류수 1/4 로 한다. 본 실험에서 분석항목은 T-N, T-P, CODcr, SS로 실험은 Standard method 시험법을 적용한다.
Ⅳ. 기대효과
본 연구를 통해 미나리와 개구리밥 각각의 T-N, T-P, COD에 대한 처리 효과를 알아본다. 또한 개구리밥과 미나리를 혼합 식재했을 때의 처리 효과를 알아본 후 연구결과를 비교검토하여 효율성이 나은 식물을 찾는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수처리에서 사용 시 방법의 타당성 및 가능성에 대하여 고찰하여 본다.
Ⅴ. 참고문헌
* 송승달, 생명과 환경 Environmentral Biology
* 박제철, 수생식물을 이용한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고도처리, 2003
* 박진식, 부레옥잠과 미나리를 이용한 연속식 하수처리에서 COD, N 및 P의 제거, 2002
* 김기남, 미나리(Oenanthe javanica)와 애기부들(Typha angustata)의 수질정화 능력에 관한 연구, 2003
* 김윤태, 수생식물을 이용한 영양염류 제거에 관한 연구, 2000
* 박정훈, 수생식물을 이용한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고도처리, 2004
* 이윤영, 수생식물에 의한 질소와 인의 제거능에 관한 연구, 2004
* 환경부 홈페이지 (www.me.go.kr)
추천자료
생물학적환경정화
사획학적 범죄
사회복지실천의 관점유형 [사회체계이론, 생태체계적관점, 강점관점] - 개념 , 특성, 인간관 ...
사회복지사의 가치와 윤리 및 생태체계적 관점의 유용성
[건축] 자연에너지를 이용한 생태건축
사회복지사의 자기이해가 필요한 이유와 본인의 가족 가계도와 생태도를 작성하고 그 내용을 ...
정신건강의 개념과 이론적 관점(생물학적 관점, 심리학적 관점, 사회환경적 관점, 생태체계 ...
사회복지실천론 - 통합적 접근의 등장배경과 특징, 통합적 접근의 주요관점(일반체계관점, 생...
[사회복지개론] 임상사회복지실천(Clinical Social Work Practice)의 의미와 관점 - 임상사회...
★우수레포트★[도시환경정책학] 도시계획 제안서-청주산업단지 생태공원 네트워크 구축 도시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