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 원문과 해석.
2. 의성어, 의태어 정리.
3. 식물, 동물이름 정리.
4. 제사 관련 용어 정리
5. 농사, 요리 관련 용어 정리
6. 신화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작품
2. 의성어, 의태어 정리.
3. 식물, 동물이름 정리.
4. 제사 관련 용어 정리
5. 농사, 요리 관련 용어 정리
6. 신화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작품
본문내용
아름다운 중국 고대신화는 그 자체가 중국고대 민간문학의 한 분야가 되고 동시에 신화가 포함하고 있는 적극적인 낭만주의 정신과 낭만주의적 표현수법은 시, 소설, 희곡, 산문 등의 후대 문학에 넓고 깊은 영향을 미쳤다.
①시경
<생민(生民)>- 后稷의 기이한 탄생
<현조(玄鳥)>- 契의 기이한 탄생
<대동(大同)>- 견우와 직녀 이야기.
②초사
<천문(天問)>- 신화재료가 가장 많이 포함. 굴원의 우울한 심정이 가장 진하게 묘사
③<목천자전(穆天子傳)>-신화의 영향을 받아 씌여진 기행문체의 소설.
목왕이 서방에서 서왕모를 만난 부분의 이야기는 신화적 소재를 문학 작품화. 이 작품은 목왕이라는 주나라 임금이 세상구경을 하며 돌아다닌 것을 기록한 책
④부- 한부는 신화재료 다양하게 취해서 신화의 나오는 인명, 지명, 사물 이름 등장
삼국-조식(曹植)의 <낙신부(洛神賦)>- 애인 견후(甄后)를 위해 지은 것. 견후를 낙수여신 복비에 비유하여 아름다운 자태와 행동거지, 화려한 옷차림 등을 묘사. 그녀가 다른 사람들과 구별되는 뛰어난 아름다움을 지녔음을 표현하기 위해 여와 등 신화인물들을 등장
⑤시-<초초견우성>- 견우직녀의 신화를 소재로 취하고 있다. 가장 뛰어난 작품
완적(阮籍)- 거인 과보를 소재로 시를 지음.
곽박(郭璞)<유선시(遊仙詩)>- 항아등 많은 신화인물을 노래
도잠(陶潛) <독산해경(讀山海經)>- 과보와 태양의 달리기,
형천이 방패와 창을 휘두르며 춤을 추는 모습 등을 묘사.
⑥소설-
왕도의 <고경기(古鏡記)>- 황제 때 만들어졌다는 오래된 거울의 이야기이다.
송 <대당삼장취경시화(大唐三藏取經詩話)>- 서왕모지(西王母池)에 반도(蟠桃)나무가 자라고 있다는 이야기. 서왕모가 살았다는 요지(瑤池)와 선도(仙桃)의 신화에서 비롯한 것
명 <서유기(西遊記)>-손오공의 형상은 인도의 서사시 <라마연나>에 나오는 신령스런 원숭이 하누만의 영향, 손오공이 천궁에 올라가 그곳을 시끄럽게 만드는 장면은 고 신화에서 <공공이 전욱과 천제의 자리를 다투다>, <형천이 천제에게 대항했다>는 반역정신과 상통,
<봉신연의(封神演義)>- 무왕이 은의 주왕을 평정하는 이야기
청 이여진(李汝珍) <경화연(鏡花緣)>- 주인공이 바다 밖 각국을 구경하며 여러 이상한 나라의 사람들과 괴상한 동물들, 신기한 풍물들을 접하고서 그것들을 기록해 놓은 것. 이 부분은 <산해경>의 먼 나라 이상한 사람들에 관한 기록에서 소재를 취한 것
①시경
<생민(生民)>- 后稷의 기이한 탄생
<현조(玄鳥)>- 契의 기이한 탄생
<대동(大同)>- 견우와 직녀 이야기.
②초사
<천문(天問)>- 신화재료가 가장 많이 포함. 굴원의 우울한 심정이 가장 진하게 묘사
③<목천자전(穆天子傳)>-신화의 영향을 받아 씌여진 기행문체의 소설.
목왕이 서방에서 서왕모를 만난 부분의 이야기는 신화적 소재를 문학 작품화. 이 작품은 목왕이라는 주나라 임금이 세상구경을 하며 돌아다닌 것을 기록한 책
④부- 한부는 신화재료 다양하게 취해서 신화의 나오는 인명, 지명, 사물 이름 등장
삼국-조식(曹植)의 <낙신부(洛神賦)>- 애인 견후(甄后)를 위해 지은 것. 견후를 낙수여신 복비에 비유하여 아름다운 자태와 행동거지, 화려한 옷차림 등을 묘사. 그녀가 다른 사람들과 구별되는 뛰어난 아름다움을 지녔음을 표현하기 위해 여와 등 신화인물들을 등장
⑤시-<초초견우성>- 견우직녀의 신화를 소재로 취하고 있다. 가장 뛰어난 작품
완적(阮籍)- 거인 과보를 소재로 시를 지음.
곽박(郭璞)<유선시(遊仙詩)>- 항아등 많은 신화인물을 노래
도잠(陶潛) <독산해경(讀山海經)>- 과보와 태양의 달리기,
형천이 방패와 창을 휘두르며 춤을 추는 모습 등을 묘사.
⑥소설-
왕도의 <고경기(古鏡記)>- 황제 때 만들어졌다는 오래된 거울의 이야기이다.
송 <대당삼장취경시화(大唐三藏取經詩話)>- 서왕모지(西王母池)에 반도(蟠桃)나무가 자라고 있다는 이야기. 서왕모가 살았다는 요지(瑤池)와 선도(仙桃)의 신화에서 비롯한 것
명 <서유기(西遊記)>-손오공의 형상은 인도의 서사시 <라마연나>에 나오는 신령스런 원숭이 하누만의 영향, 손오공이 천궁에 올라가 그곳을 시끄럽게 만드는 장면은 고 신화에서 <공공이 전욱과 천제의 자리를 다투다>, <형천이 천제에게 대항했다>는 반역정신과 상통,
<봉신연의(封神演義)>- 무왕이 은의 주왕을 평정하는 이야기
청 이여진(李汝珍) <경화연(鏡花緣)>- 주인공이 바다 밖 각국을 구경하며 여러 이상한 나라의 사람들과 괴상한 동물들, 신기한 풍물들을 접하고서 그것들을 기록해 놓은 것. 이 부분은 <산해경>의 먼 나라 이상한 사람들에 관한 기록에서 소재를 취한 것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