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차원 좌표계
・2차원 좌표계
・ 3차원 좌표계
・2차원 좌표계
・ 3차원 좌표계
본문내용
세계의 전부이다. 3차원은 입체적 고도차 가 있는 이동이다. 계단을 올라가거나 산을 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3차원은 우리가 살고있는 세계이긴 하지만 컴퓨터의 세계이기도 한다. 컴퓨터에서는 안면, 구도등 을 가지고 있는 어두운 세계 이다. 그리고 3차원은 모든 것을 내포하고 있다. 1차원은 0차원 2차원은 3차원 3차원은 2차원 을 내포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3차원에 살고 모든 생각은 3차원을 기준으로 생각 하게 된다.
우리가 상상 할 수 있는 공간은 모두 3차원이며 3차원이 입체적인 표현상태인 현실상태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 손으로 만질 수 있다. 이 모든 것 이 게임으로 따지면 3D이다. 3차원이라고 말할 수 있다. 움직일 때 좌우로 움직일 수 있고
위아래 전진 후진이 다 되기 때문 이다. 3차원은 수직선을 이용한 것이다.
수직선을 어떻게 이용하는 가 하면, 수직선을 다른 수직선에 직교 하게 하여서 하는 방법이 있다. 그래서..평면상에서는 수직선이 직교하는 개수 는 x축 y축 이렇게 있다. 그리고 우리가 사는 지금 이 공간에서는 x축 y축 z축 이런 식으로 세 직선이 직교 한다. 3차원을 쉽게 말해서 공간, 면이라는 개념에서 부피, 공간 이라는 개념이 생긴다. 정육면체를 떠올리면 된다.
3차원 직교좌표는 공간의 위치를 나타내는데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좌표계 로서 평면직교좌표계를 확장한 것으로, 서로 직교하는 세 축 OX, OY, OZ로 이루어진다. 공간에서 P(x,,y,z)의 3차원 직교좌표는 P를 지나며 각 축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평면들이 지나는 좌표축으로부터 읽을 수 있다.
3차원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공간에 한 점 O를 원점으로 정하고, O를 지나며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세 평면상에 O를 지나는 세 개의 수치직선 XOX´, YOY´, ZOZ´를 좌표축으로 잡는다. OX, OY, OZ를 양의 반직선으로 하는 좌표계를 도입하면 공간상 한 점 P에 대하여 세 개의 실수의 순서쌍이 대응된다. 즉 점 P를 지나며 세 걔의 기준평면 YOZ, XOZ, XOY에 평행한 세 평면이 세 좌표축 XX´,YY´,ZZ´과 만나서 점을 각각 L, M, N이라 하면 각 좌표축상의 길이는 선분OL =x , 선분 OM=y, 선분ON=z로써 점 위치를 좌표(x,y,z)로 지정할 수 있다.
공간에서 점의 위치를 표시하는데 원주좌표가 종종 편리하게 쓰이고 있으며, 평면 z=0 위의 (x,y) 대신 극좌표(Υ,θ)를 사용한다. 공간에서 O점을 원점으로 하는 직교좌표를 잡고 공간의 점 P(x,y,z)에서 X,Y 평면엣 수선 PP´를 내려서 OP´ = Υ, ∠XOP = θ , PP = z라 하여 P점을 (Υ,θ,z )로 표현한다.
이 좌표계에서는 어떤 점의 위치를 하나의 길이와 두개의 각으로 나타낸다. 원점을 중심으로 대칭일 때 유용하다. 공간에서 O점을 직교좌 표축을 잡고 공간의 점 P(x,y,z)에 대하여 OP = ρ ∠ZOP = φ라고 하고, XY평면에 수선 PP´를 내려서 ∠XOP´ = θ라 하여 점 P를 (ρ, θ, φ)로 표현한다.
우리는 3차원에 살고 모든 생각은 3차원을 기준으로 생각 하게 된다.
우리가 상상 할 수 있는 공간은 모두 3차원이며 3차원이 입체적인 표현상태인 현실상태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 손으로 만질 수 있다. 이 모든 것 이 게임으로 따지면 3D이다. 3차원이라고 말할 수 있다. 움직일 때 좌우로 움직일 수 있고
위아래 전진 후진이 다 되기 때문 이다. 3차원은 수직선을 이용한 것이다.
수직선을 어떻게 이용하는 가 하면, 수직선을 다른 수직선에 직교 하게 하여서 하는 방법이 있다. 그래서..평면상에서는 수직선이 직교하는 개수 는 x축 y축 이렇게 있다. 그리고 우리가 사는 지금 이 공간에서는 x축 y축 z축 이런 식으로 세 직선이 직교 한다. 3차원을 쉽게 말해서 공간, 면이라는 개념에서 부피, 공간 이라는 개념이 생긴다. 정육면체를 떠올리면 된다.
3차원 직교좌표는 공간의 위치를 나타내는데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좌표계 로서 평면직교좌표계를 확장한 것으로, 서로 직교하는 세 축 OX, OY, OZ로 이루어진다. 공간에서 P(x,,y,z)의 3차원 직교좌표는 P를 지나며 각 축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평면들이 지나는 좌표축으로부터 읽을 수 있다.
3차원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공간에 한 점 O를 원점으로 정하고, O를 지나며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세 평면상에 O를 지나는 세 개의 수치직선 XOX´, YOY´, ZOZ´를 좌표축으로 잡는다. OX, OY, OZ를 양의 반직선으로 하는 좌표계를 도입하면 공간상 한 점 P에 대하여 세 개의 실수의 순서쌍이 대응된다. 즉 점 P를 지나며 세 걔의 기준평면 YOZ, XOZ, XOY에 평행한 세 평면이 세 좌표축 XX´,YY´,ZZ´과 만나서 점을 각각 L, M, N이라 하면 각 좌표축상의 길이는 선분OL =x , 선분 OM=y, 선분ON=z로써 점 위치를 좌표(x,y,z)로 지정할 수 있다.
공간에서 점의 위치를 표시하는데 원주좌표가 종종 편리하게 쓰이고 있으며, 평면 z=0 위의 (x,y) 대신 극좌표(Υ,θ)를 사용한다. 공간에서 O점을 원점으로 하는 직교좌표를 잡고 공간의 점 P(x,y,z)에서 X,Y 평면엣 수선 PP´를 내려서 OP´ = Υ, ∠XOP = θ , PP = z라 하여 P점을 (Υ,θ,z )로 표현한다.
이 좌표계에서는 어떤 점의 위치를 하나의 길이와 두개의 각으로 나타낸다. 원점을 중심으로 대칭일 때 유용하다. 공간에서 O점을 직교좌 표축을 잡고 공간의 점 P(x,y,z)에 대하여 OP = ρ ∠ZOP = φ라고 하고, XY평면에 수선 PP´를 내려서 ∠XOP´ = θ라 하여 점 P를 (ρ, θ, φ)로 표현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