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도의 역사
2. 경기의 운영
3. 낙법
5. 유도의 심판
2. 경기의 운영
3. 낙법
5. 유도의 심판
본문내용
전체를 동시에 자리에
쳐야 한다. 이때에 팔에 힘을 가하지 말고 자연스럽게 친다.
②몸과 팔이 이루는 각도
손으로 자리를 쳤을 때 몸과 팔이 이루는 각도는 30~40도가 적당하다.
③등이 자리에 닿는 시간과 손으로 자리를 치는 것이 시간적으로 보면
등이 자리에 닿는 순간과 거의 동시에 손으로 자리를 치게 되나,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후방낙법의 경우 등의 띠가 자리를 닿는 순간 손으로
자리를 치게 된다.
> 후방낙법
> 측방낙법
> 전방낙법
> 회전낙법
4. 예 법
동양사상을 배경으로 하여 계승된 유도가 현대적으로 정리되어 급속한 성장을 거듭하게 됨은 격투기인 유도가 체육적 가치로 높이 평가받고 있기 때문이며 그것은 예의를 중시하기 때문이다. 유도는 예(禮)로 시작하여 예로 끝난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첫째 상대를 메치고, 누르고, 꺾고, 조르는 격렬한 연습상황에서도 상대의 인격을 존중하며 자기의 이성을 잃지 않고 몸과 마음을 바르게 수련할 수 있다는 의미를 담는 예를 갖추는 것이며, 둘째 시작할 때는 잘 가르쳐 달라는 의미와 잘 배웠다는 감사의 의미 그리고 존경한다는 의미가 있다는 뜻으로, 끝날 때는 나의 기술향상의 기회를 갖도록 하여 준 것에 대한 감사의 뜻이 포함된 예를 갖추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이것은 바로 예의를 중시하는 동양사상을 배경으로 유도가 발달되었기 때문이다. 유도의 기술적 특성을 보아 마음먹기에 따라서 상대에게 고의적으로 큰 부상을 입힐 수도 있으나 그러한 마음을 갖지 않도록 항상 도복을 단정히 입도록 한다. 이것은 격한 마음을 진정시키는 진정제 역할을 하는 한 방법이 된다. 상대를 제압하려는 측면보다 예를 중시하기 때문에 체육적 가치보다는 교육적 의의가 더 높게 평가되고 있는 것이다. 예를 존중하는 마음이 없는 사회는 황폐해진다.
예로서 상대를 존중하는 마음을 갖고 상대가 존재하므로 내가 존재한다는 질서가 있는 사회를 만드는데 유도의 참뜻이 있다고 할 것이다.
5. 유도의 심판
> 심판원
경기는 심판 위원회의 감독 하에 주심 한 사람과 부심 두 사람이 주관한다. 주심과 부심 은 기록원과 계시원의 보조를 받는다.
> 위치
1) 주심은 원칙적으로 경기장내에서 머물면서 경기의 모든 진행과 판정을 주관한다.
2) 부심은 경기장의 위험지대 밖의 안전지대 모퉁이에 대각선으로 서로 마주보고 의 자에 앉는다.
> 경기진행
매 경기를 시작하기 전에 주심과 양 부심은 경기장 안전지대 중앙위치에 서서 상석에 예 의를 표하고 나서 자기위치로 간다. 경기장을 떠날 때에도 역시 상석에 예의를 갖추어 야 한다. 양 선수는 각자가 두른 띠 색깔에 따라 경기장 자리에 붙여놓은 홍색 또는 백색 표시위치에서 마주보고 서로 입례를 하고 한발 앞으로 나와 선다. 이어서 주심은 "시작"을 선언하고 경기는 개시된다. 경기는 언제나 선 자세에서만 개시 한다. 주심은 "거기까지"를 선언하고 경기종료 시키며 경기결과를 지시한다.
공격신호
- 적극적인 전의가 없다고 지적할 때 가슴높이의 두 팔뚝을 전진동작으로 돌린다.
쳐야 한다. 이때에 팔에 힘을 가하지 말고 자연스럽게 친다.
②몸과 팔이 이루는 각도
손으로 자리를 쳤을 때 몸과 팔이 이루는 각도는 30~40도가 적당하다.
③등이 자리에 닿는 시간과 손으로 자리를 치는 것이 시간적으로 보면
등이 자리에 닿는 순간과 거의 동시에 손으로 자리를 치게 되나,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후방낙법의 경우 등의 띠가 자리를 닿는 순간 손으로
자리를 치게 된다.
> 후방낙법
> 측방낙법
> 전방낙법
> 회전낙법
4. 예 법
동양사상을 배경으로 하여 계승된 유도가 현대적으로 정리되어 급속한 성장을 거듭하게 됨은 격투기인 유도가 체육적 가치로 높이 평가받고 있기 때문이며 그것은 예의를 중시하기 때문이다. 유도는 예(禮)로 시작하여 예로 끝난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첫째 상대를 메치고, 누르고, 꺾고, 조르는 격렬한 연습상황에서도 상대의 인격을 존중하며 자기의 이성을 잃지 않고 몸과 마음을 바르게 수련할 수 있다는 의미를 담는 예를 갖추는 것이며, 둘째 시작할 때는 잘 가르쳐 달라는 의미와 잘 배웠다는 감사의 의미 그리고 존경한다는 의미가 있다는 뜻으로, 끝날 때는 나의 기술향상의 기회를 갖도록 하여 준 것에 대한 감사의 뜻이 포함된 예를 갖추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이것은 바로 예의를 중시하는 동양사상을 배경으로 유도가 발달되었기 때문이다. 유도의 기술적 특성을 보아 마음먹기에 따라서 상대에게 고의적으로 큰 부상을 입힐 수도 있으나 그러한 마음을 갖지 않도록 항상 도복을 단정히 입도록 한다. 이것은 격한 마음을 진정시키는 진정제 역할을 하는 한 방법이 된다. 상대를 제압하려는 측면보다 예를 중시하기 때문에 체육적 가치보다는 교육적 의의가 더 높게 평가되고 있는 것이다. 예를 존중하는 마음이 없는 사회는 황폐해진다.
예로서 상대를 존중하는 마음을 갖고 상대가 존재하므로 내가 존재한다는 질서가 있는 사회를 만드는데 유도의 참뜻이 있다고 할 것이다.
5. 유도의 심판
> 심판원
경기는 심판 위원회의 감독 하에 주심 한 사람과 부심 두 사람이 주관한다. 주심과 부심 은 기록원과 계시원의 보조를 받는다.
> 위치
1) 주심은 원칙적으로 경기장내에서 머물면서 경기의 모든 진행과 판정을 주관한다.
2) 부심은 경기장의 위험지대 밖의 안전지대 모퉁이에 대각선으로 서로 마주보고 의 자에 앉는다.
> 경기진행
매 경기를 시작하기 전에 주심과 양 부심은 경기장 안전지대 중앙위치에 서서 상석에 예 의를 표하고 나서 자기위치로 간다. 경기장을 떠날 때에도 역시 상석에 예의를 갖추어 야 한다. 양 선수는 각자가 두른 띠 색깔에 따라 경기장 자리에 붙여놓은 홍색 또는 백색 표시위치에서 마주보고 서로 입례를 하고 한발 앞으로 나와 선다. 이어서 주심은 "시작"을 선언하고 경기는 개시된다. 경기는 언제나 선 자세에서만 개시 한다. 주심은 "거기까지"를 선언하고 경기종료 시키며 경기결과를 지시한다.
공격신호
- 적극적인 전의가 없다고 지적할 때 가슴높이의 두 팔뚝을 전진동작으로 돌린다.
추천자료
이미지 메이킹의 중요성과 변화유도방법
[광섬유][광섬유 역사][광섬유 기본구조][광섬유 제조과정][광섬유 용도][광섬유 이점][광섬...
[우유][낙농][우유의 역사][우유의 효소와 호르몬][우유의 장점][유당불내증(Lactose Intoler...
[정맥마취][케타민][정맥마취 역사][케타민 개념][케타민 특성][케타민 효능][케타민 전망]정...
[칸트][형이상학][이성비판]칸트의 사상, 칸트의 도덕철학, 칸트의 도덕과 종교, 칸트의 도덕...
[경륜의 정의][경륜의 종류][경륜의 특성][경륜의 역사][경륜장][경륜선수][경륜경기][자전거...
유도 모든것 규칙 유래 심판
[수학][수학 역사][수학과 음악][수학과 사칙연산][수학과 확률][수학과 함수][수학과 불대수...
재료의 연성 인성 판정 충격실험
[금융개혁, 금융개혁 역사, 금융개혁 과정, 금융개혁 추진, 금융개혁 문제점, 금융개혁 사례]...
[재무제표, 재무제표 의의, 재무제표 기능, 재무제표 범위]재무제표의 의의, 재무제표의 기능...
[뽕잎][뽕잎 역사][뽕잎 연구][뽕잎 효능][뽕잎 뽕나무][식물][나무][뽕나무]뽕잎의 역사, 뽕...
[전자산업][전자][산업][전자산업 역사][전자산업 성장과정][전자산업 전자상거래][삼성전자]...
[교수-학습 과정안] ICT활용 과학(생물)심화 탐구 과정 실험 -수혈과 혈액형(2) - ABO식 혈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