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어지기 힘들다. 그에게 있어 O/존재, A/부재 뿐만 아니라 O/부재, A/존재라는 형태를 언제든지 띨 수 있기 때문이다.
아버지의 법을 받아들임으로써 외디푸스 현상을 해결하는 것은 친족관계(relation of kinship relation)나 혈연관계(relation of alliance)를 유지하는 것으로 주체를 자연인에서 문화속의 사회인으로 위치 지운다. 가족이라는 상징적인 질서로의 편입을 통해 주체는 이름과 위치(name and position)를 갖는다. 이것은 주체에게 상징체계 속에서의 위치와 주체성을 부여한다.
외디푸스 컴플렉스의 극복을 통해 주체는 상징계속에서 정체성을 갖게된다. 그러나 상징계는 언어의 세계이고 이 언어에 의해 주체는 거울단계에 이어 또다시 소외되고 분열된 존재가 된다.
아버지의 법을 받아들임으로써 외디푸스 현상을 해결하는 것은 친족관계(relation of kinship relation)나 혈연관계(relation of alliance)를 유지하는 것으로 주체를 자연인에서 문화속의 사회인으로 위치 지운다. 가족이라는 상징적인 질서로의 편입을 통해 주체는 이름과 위치(name and position)를 갖는다. 이것은 주체에게 상징체계 속에서의 위치와 주체성을 부여한다.
외디푸스 컴플렉스의 극복을 통해 주체는 상징계속에서 정체성을 갖게된다. 그러나 상징계는 언어의 세계이고 이 언어에 의해 주체는 거울단계에 이어 또다시 소외되고 분열된 존재가 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