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음지시기의 시각적 피드백이 청각장애아동의 마찰음 오류개선에 미치는 효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어음지시기의 시각적 피드백이 청각장애아동의 마찰음 오류개선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의의
2.연구의 목적

Ⅱ.이론적 배경
1.청각장애아동의 조음특성
1)모음 조음의 특성
2)자음조음의 특성
2. 어음지시기를 이용한 발음훈련
3. 청력형별 조음특성

Ⅲ.연구방법
1.연구대상
2.실험설계
3.도구
4.방법 및 절차
5.결과처리

Ⅳ.결과 및 고찰
1./ㅅ/, /ㅆ/의 발음훈련효과
2.비훈련음소 /ㅈ/,ㅉ/,/ㅊ/에 대한 전이효과
3. 청각장애아동의 청력형에 따른 발음훈련효과

Ⅴ.결론

본문내용

N
평균
표준편차
p
사전
3
43.667
3.786
.000**
사후
3
83.333
2.517
<대상아동의 /ㅆ/의 발음 향상도에 따른 전후검사 분석결과>
**p<.01
t-test의 수치는 p<.01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S어음지시기를 활용한/ㅆ/ 음의 발음훈련은 통계적으로 효과적이었음을 본 연구결과는 시사하고 있다.
2.비훈련음소 /ㅈ/,ㅉ/,/ㅊ/에 대한 전이효과
<대상아동별 비훈련음소 /ㅈ/,ㅉ/,/ㅊ/의 발음향상도(%)>



사전
사후
향상도
사전
사후
향상도
사전
사후
향상도
아동A
42
94
52
45
96
51
45
96
51
아동B
58
96
38
57
93
36
50
97
47
아동C
37
72
35
45
69
24
39
71
32
평균
46
87
42
49
86
37
45
88
44
/ㅈ/,ㅉ/,/ㅊ/에 대한 발음의 향상도는 평균 37%로 전이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각장애 아동의 경우 마찰음 지시기를 활용하며, 발음훈련은 할 경우 표적음소 뿐 아니라 변별자질이 유사한 음소에 대한 전이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요인
N
평균
표준편차
p
사전
3
46.333
7.768
.009**
사후
3
86.667
14.434
<대상아동의/ㅈ/,ㅉ/,/ㅊ/음의 발음향상도에 따른 전후검사 분석결과>
**p<.01
t-test의 수치는 p<.01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S어음지시기를 활용한/ㅈ/,
/ㅉ/,/ㅊ/음의 발음훈련은 통계적으로 효과적이었음을 본 연구결과는 시사하고 있다.
3. 청각장애아동의 청력형에 따른 발음훈련효과
고음장애형
수평형
아동A
아동C

36
44

38
40

52
35

51
24

51
32
<대상아동의 청력형에 따른 발음향상도(%)>
마찰음의 경우 3000Hz이상의 에너지가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고음장애형 보다는 수평형의 아동이 더 나은 발음 훈련효과를 보임으로써 이들의 결과와 다소 일치 하였다.
전이효과의 경우 /ㅈ/,ㅉ/,/ㅊ/의 주파수 범위는 250~2000Hz범위에 속하므로 고음장애형의 경우 고주파자음인 마찰음을 제외한 음소들을 구분하고 발음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다.
본 연구에서 수평형 보다 고음장애형 아동의 전이효과가 더욱 좋았던 것은 보청기 적응효과와 개인차가 영향을 미쳤던 것임을 시사한다.
요인
자승합
자유도
평균자승합
F
p
집단간
24.000
1
24.000
5.619
.029**
집단내
786.000
18
42.711
합계
1008.800
19
<청력형에 따른 일원배치 분산 분석결과>
*p>.01
S어음지시기를 활용한 조음지도에서 청력형에 따른 발음향상도가 동일하게 향상 되엇다. 따라서 고음장애형의 청각장애 아동에게 어음지시기의 효과가 수평형에 비해 보다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발음훈련은 통계적으로 효과적이었음을 본 연구결과는 시사하고 있다.
Ⅴ.결론
첫째, 청각장애아동에 있어 어음지시기를 활용한 발음훈련이 목표음소 /ㅅ/와 /ㅆ/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청각장애아동에 있어 어음지시기를 활용한 발음훈련은 변별자질이 유사한 다른 음소, /ㅈ/,ㅉ/,/ㅊ/에도 향상을 나타냄으로써 전이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청각장애아동의 청력형에 따른 발음훈련효과는 고주파수대역인 마찰음/ㅅ/, /ㅆ/ 의 경우 고음장애형 보다 수평형이 더 나은 향상도를 나타내었고 음소 /ㅈ/,ㅉ/,/ㅊ/의 경 우는 고음장애형이 수평형 보다 좀 더 나은 향상도를 보였다.
청각에 결함이 있는 고도 난청아의 경우라도 조기에 여러 가지 시각적 기기 등을 활용하여 발음훈련을 시킨다면, 이들의 언어 향상에 많은 발전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어음지시기는 발음훈련초기에 활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이 논문을 접하면서 청각장애아동의 발음훈련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되었다.
정상 아동들은 생의 초기에 말소리에 대한 변별능력 및 이해능력이 발달하나, 청각장애인들은 청각역치 이상의 음 자극이 주어지지 않으면 소리를 들을 수 없게 되고, 소리를 들을 수 없으므로 인해 자신에게 주어지는 청각정보를 이해할 수 없게 되므로 언어능력에서 상당한 지체를 보이며, 언어발달에서도 정상인의 일반적인 발달과는 발달의 시기, 습득방법 등에 있어 다르다.
언어획득은 모방, 확장, 추리, 강화 등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데, 청각에 장애가 있을 경우, 특히 농일 경우에는 모방할 성인의 완전한 말로 고쳐 들려주는 것을 듣지 못하게 되고, 자기가 한 말이 돌아오는 것과 성인의 언어반응을 듣지 못하여 강화를 받지 못하게 되며, 따라서 언어 속에 내포되어 있는 문법을 추리하여 알 수 없기 때문에 말의 정상적인 발달이 이루어지기 어렵다고 한.
또한, 일반적으로 청력손실의 정도가 클수록 언어지체도 크다. 그리고 청각장애아동에게 소리, 말, 구 또는 특별한 구조를 가진 문장을 모방하도록 하는 것이 때로는 소리, 단어, 구문, 문장의 습득을 더욱 가속화한다. 모방은 청각장애아동의 청각학습에 중요한 도움이 되며, 이러한 모방은 생성을 통해 청각장애 아동은 듣고, 목표로 된 다양한 문장을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아동이 더 길고 완전한 모방 생성을 해 나감으로써 청각적 주의, l기억, 그리고 변별기술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자극을 제시할 때 구문적 성격의 말을 제시하고 청각장애인의 학습내용에 따라 제시되는 말 자극의 일부를 반복하거나 강도를 높여 말하는 방법으로 청각장애인들의 학습을 이끌 수 있다.
또한 청각장애인들은 청각이 손상되었기 때문에 언어습득을 할 수 있는 다른 감각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위에 논문의 연구에서도 그렇듯이 발음훈련의 전이효과는 매우 중요하다. 전이는 조음치료의 가장 어려운 부분이라고 말한다. 이 단계에서 전이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치료실 밖의 시설을 이용해서 연습을 자주 시킨다. 그러나 어린이가 다른 사람의 말과 그들 자신의 말에서 오류가 탐지 될 수 있을 때까지 전이훈련은 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청각학과 언어치료분야는 깊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앞으로 이 분야의 연구가 더 더욱 많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청각재활-대구대학교
청각과 언어재활-한국언어치료학회
  • 가격1,2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06.04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03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