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엔 진
A. 제트엔진의 출현
B. 제트 추력의 원리
C. 제트엔진의 분류
D. 터보팬엔진
ㄱ. 터보팬의 개요
ㄴ. 터보팬의 개발과 발달
ㄹ. 고바이패스비엔진
2. 조종면
A. 윙렛
A. 제트엔진의 출현
B. 제트 추력의 원리
C. 제트엔진의 분류
D. 터보팬엔진
ㄱ. 터보팬의 개요
ㄴ. 터보팬의 개발과 발달
ㄹ. 고바이패스비엔진
2. 조종면
A. 윙렛
본문내용
새로운 고바이패스비엔진도 개발되어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은 프랑스의 SNECMA사와 미국의 GE사가 공동개발한 CFM56 시리즈엔진과 영국의 T&T사와 미국의 P&W사가 공동개발한 V2500엔진 등이다. 이것은 150인승급의 B737-300/400형이나 A320여객기 등에 장비하는 것이며 추력은 약 10톤, 바이패스비는 약 6이다. 이 엔진들은 어느 것이나 저연비, 저소음 및 높은 신뢰성을 자랑하는 엔진들이며 여객기 세계에서는 이러한 고바이패스비엔진의 시대가 계속 될 것이다.
제작업체
엔진명칭
Engine Image
최대이륙추력(lb)
탑재기종
GE
CF6-80A
50,000
A310, B767
CF6-80C2
52,500 ~ 61,500
B747,767A300,310
CF6-80E1
67,500 ~ 72,000
A330
GE90시리즈
76,000 ~ 94,000
B777
GE90-115B
115,000
B777-200LR/-300ER
CFMI
CFM56-3
18,500 ~ 23,500
B737-300/400/500
CFM56-3A
22,000 ~ 26,500
A319,A320
CFM56-5B/5C/P
22,000 ~ 32,000
A318,A319
A320,A321
CFM56-7
18,000 ~ 26,400
B737-600
700/800
/900
제작업체
엔진명칭
Engine Image
최대이륙추력(lb)
탑재기종
RR
RB211-524H
60,600
B747-400B767-300
TRENT500
58,000 ~ 62,000
A340-500
/-600
TRENT700/800
68,000 ~ 92,000
A330
B777
TRENT900
69,000 ~ 84,000
A380
RB211-535E4
41,100 ~ 43,100
B757
IAE
V2500-A1
25,000
A320
V2500-A5
22,000 ~ 33,000
A319,A320A321
V2500-D5
25,000 ~ 28,000
MD90
GPEA
GP7200
67,000 ~ 80,000
A380
2. 조종면
A. 윙렛
날개 끝에 발생하는 소용돌이에 의한 유도항력을 감소시키고, 동시에 이 작은 날개 위에 발생하는 양력을 추력의 성분으로 돌려서 항력의 감소를 도모하기 위해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R.위트컴이 고안하였다. 윙렛의 크기는 대체적으로 높이 8feet, 너비 4feet정도 된다.
Next-Generation 737 Production Winglets
장점 :
Winglet을 설치 하지 않을 때보다 이륙시 항공기 추력을 3% 덜 필요로 하고 순항시 추력을 4% 덜 필요로 하기 때문에 엔진 수명을 늘리고 엔진이 받는 부하가 적기 때문에 정비등에 관한 유지비가 적게 든다.
(상)
공기 흐름이 상판으로 올라오는 것을 막아줌
(좌) With winglet, Without winlet
유도항력(
날개 앞으로 들어온 공기가 뒷쪽으로 빠져나가는 도중에 압력의 차이가 생기고 이에따라 날개의 끝부분에서는 커다란 소용돌이가 생기게 되는데 이 소용돌이는 항공기의 속도가 비교적 느리고 각이진 날개를 가진것, 가로세로비가 작은(짧은) 날개인 것, 익면하중이 크고 날개 단면에서 위아래 굴곡차가 큰 항공기일수록 심하게 일어나며, 이를 유도항력이라 함)발생을 억제시켜 고고도 장거리 순항시 5~8%의 항력 감소를 나타내고 이는 연료가 5~8%정도 절감되는 것을 말해주며 환경 오염물질인 NOx의 발생을 5% 낮춰준다.
가로세로비를 크게한 것과 같은 효과와 가로안정성을 높여준다.
항력을 줄이므로써 순항거리를 늘려준다.
1 nm(해리) = 1.852km
Series
Range (nm) Normal Range
Range (nm) With Winglets
737-700
3250
3634
737-800
2930
3060
737-900
2670
2725
엔진 출력을 약간 낮출 수 있고 날개 끝에서 발생하는 흐름을 작게 함으로써 소음발생을 6.5% 낮춰준다.
Blended Winglets은 현대적인 항공기 디자인에 멋을 더해준다.
단점 :
윙렛에 의한 자중이 증가한다. 윙렛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더욱 단단한 구조가 필요하며, 윙렛의 1개당 132pound정도 되고 blending한 양 윙렛의 무게는 480pound정도 된다.
윙렛 형상에 의한 자체 유해항력이 발생한다.
현재 대부분의 민항기는 단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점의 효과가 더 크기 때문에 보잉 기준으로 하여 737Series부터는 윙렛이 일반화 되고 있다.
제작업체
엔진명칭
Engine Image
최대이륙추력(lb)
탑재기종
GE
CF6-80A
50,000
A310, B767
CF6-80C2
52,500 ~ 61,500
B747,767A300,310
CF6-80E1
67,500 ~ 72,000
A330
GE90시리즈
76,000 ~ 94,000
B777
GE90-115B
115,000
B777-200LR/-300ER
CFMI
CFM56-3
18,500 ~ 23,500
B737-300/400/500
CFM56-3A
22,000 ~ 26,500
A319,A320
CFM56-5B/5C/P
22,000 ~ 32,000
A318,A319
A320,A321
CFM56-7
18,000 ~ 26,400
B737-600
700/800
/900
제작업체
엔진명칭
Engine Image
최대이륙추력(lb)
탑재기종
RR
RB211-524H
60,600
B747-400B767-300
TRENT500
58,000 ~ 62,000
A340-500
/-600
TRENT700/800
68,000 ~ 92,000
A330
B777
TRENT900
69,000 ~ 84,000
A380
RB211-535E4
41,100 ~ 43,100
B757
IAE
V2500-A1
25,000
A320
V2500-A5
22,000 ~ 33,000
A319,A320A321
V2500-D5
25,000 ~ 28,000
MD90
GPEA
GP7200
67,000 ~ 80,000
A380
2. 조종면
A. 윙렛
날개 끝에 발생하는 소용돌이에 의한 유도항력을 감소시키고, 동시에 이 작은 날개 위에 발생하는 양력을 추력의 성분으로 돌려서 항력의 감소를 도모하기 위해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R.위트컴이 고안하였다. 윙렛의 크기는 대체적으로 높이 8feet, 너비 4feet정도 된다.
Next-Generation 737 Production Winglets
장점 :
Winglet을 설치 하지 않을 때보다 이륙시 항공기 추력을 3% 덜 필요로 하고 순항시 추력을 4% 덜 필요로 하기 때문에 엔진 수명을 늘리고 엔진이 받는 부하가 적기 때문에 정비등에 관한 유지비가 적게 든다.
(상)
공기 흐름이 상판으로 올라오는 것을 막아줌
(좌) With winglet, Without winlet
유도항력(
날개 앞으로 들어온 공기가 뒷쪽으로 빠져나가는 도중에 압력의 차이가 생기고 이에따라 날개의 끝부분에서는 커다란 소용돌이가 생기게 되는데 이 소용돌이는 항공기의 속도가 비교적 느리고 각이진 날개를 가진것, 가로세로비가 작은(짧은) 날개인 것, 익면하중이 크고 날개 단면에서 위아래 굴곡차가 큰 항공기일수록 심하게 일어나며, 이를 유도항력이라 함)발생을 억제시켜 고고도 장거리 순항시 5~8%의 항력 감소를 나타내고 이는 연료가 5~8%정도 절감되는 것을 말해주며 환경 오염물질인 NOx의 발생을 5% 낮춰준다.
가로세로비를 크게한 것과 같은 효과와 가로안정성을 높여준다.
항력을 줄이므로써 순항거리를 늘려준다.
1 nm(해리) = 1.852km
Series
Range (nm) Normal Range
Range (nm) With Winglets
737-700
3250
3634
737-800
2930
3060
737-900
2670
2725
엔진 출력을 약간 낮출 수 있고 날개 끝에서 발생하는 흐름을 작게 함으로써 소음발생을 6.5% 낮춰준다.
Blended Winglets은 현대적인 항공기 디자인에 멋을 더해준다.
단점 :
윙렛에 의한 자중이 증가한다. 윙렛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더욱 단단한 구조가 필요하며, 윙렛의 1개당 132pound정도 되고 blending한 양 윙렛의 무게는 480pound정도 된다.
윙렛 형상에 의한 자체 유해항력이 발생한다.
현재 대부분의 민항기는 단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점의 효과가 더 크기 때문에 보잉 기준으로 하여 737Series부터는 윙렛이 일반화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