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NEIS의 정의
2. NEIS의 도입의 이유
3. NEIS 시스템
4. 이용자별 분석
5. NEIS의 편리성
6. NEIS의 단점
7. NEIS와 CS의 비교(긍정적 주장)
8. NEIS의 갈등요소
9. NEIS의 현주소
10. 정리하면서
2. NEIS의 도입의 이유
3. NEIS 시스템
4. 이용자별 분석
5. NEIS의 편리성
6. NEIS의 단점
7. NEIS와 CS의 비교(긍정적 주장)
8. NEIS의 갈등요소
9. NEIS의 현주소
10. 정리하면서
본문내용
1. 교육행정정보시스템 [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의 정의
'NEIS'로 약칭되며, '나이스'로 통칭한다. 2003년 4월 11일부터 시행된 제도이다. 교육 관련 정보를 공동으로 이용하기 위해 전국 1만여 개의 초•중등학교, 16개 시•도 교육청 및 산하기관, 교육인적자원부를 인터넷으로 연결하는 전국 단위의 교육행정 정보시스템을 말한다.즉, 27개 분야의 교육행정 업무를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은 전국 시•도 교육청에 메인컴퓨터를 두고 전국의 모든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성적과 주민등록번호, 가족사항 등 개인정보와 학부모 정보, 교사정보를 입력해 교육부•교육청•학교 등 교육기관과 연계돼 전국적으로 공유된다. 취학업무 간소화, 졸업•성적증명서 어디서나 발급가능, 교육정책 기본통계 자동생성 등의 기능이 제공된다.
-. NEIS의 현재
약 5백21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2000년 9월부터 작년 10월까지 2년 여간 개발됐으며, 작년 8월 교사연수를 거쳐 9월 교육부가 지정한 15개 학교와 시•도 교육청이 지정한 2백61개 학교에서 시범운영을 했다. 이달 초 학교별 담당교사 연수를 마치고 다음달 1일 시행을 준비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교사들이 보안문제를 들어 인증을 거부하고 있어 당분간은 NEIS와 CS의 이원화 운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2. NEIS의 도입의 이유
- NEIS는 시도교육청이 시스템을 구축해 전국의 모든 교육행정기관과 초중고교를 인터넷으로 연결하는 시스템. 개별 학교의 행정 처리는 물론 교육청 등에서 처리해야 하는 학사 인사 예산 회계 등 27개의 교육행정 업무를 통합 관리한다.
- NEIS가 개통되면 학생들의 성적 및 졸업증명서를 떼기 위해 해당 학교를 찾아갈 필요 없고 학부모들은 인터넷을 통해 자녀의 출결과 성적 상황을 직접 확인할 수 있게 된다.
- 또 학생이 전학을 가거나 상급학교에 진학할 때 학교간에 학생 자료를 쉽게 공유할 수 있고 대학입시 전형 자료 취합이 용이해져 입시 관련 업무를 간소화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 교육부는 또 CS의 경우 일선 학교에 데이터베이스 운영체제에 밝은 교사가 없어 관리가 어렵지만 NEIS는 통합 관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오히려 효율적이며 시스템을 유지 보수하는데도 비용이 훨씬 적게 든다고 주장한다.
3. NEIS 시스템
NEIS는 관리자아이디와 사용자아이디로 구분된다. 관리자는 학교의 기본정보 입력과 사용자에게 권한을 주는 역할밖에 하지 못한다. 그 외에는 건드릴 수 없다. 예를 들어 관리자가 학교의 시간표와 과목별 담당교사를 입력하면 NEIS 시스템은 자동적으로 그 과목 담당교사에게만 해당과목의 성적을 처리할 수 있는 권한을 준다. 기존의 C/S 시스템은 관리자 아이디로 모든 부분을 수정할 수 있었지만, NEIS는 해당 교과목의 담당교사에게만 권한을 준다는 점에서 보안성은 더 낫다고 볼 수도 있다. 하지만 관리자가 마음먹고 변조하려 든다면 막을 수는 없다. 모든 시간표에 자신을 담당교사로 넣으면 문제가 없다. 다만 C/S 시스템보다는 그 과정이 더 복잡하고, 더불어 수정한 아이디가 나타나기 때문에 변조 후에 추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NEIS'로 약칭되며, '나이스'로 통칭한다. 2003년 4월 11일부터 시행된 제도이다. 교육 관련 정보를 공동으로 이용하기 위해 전국 1만여 개의 초•중등학교, 16개 시•도 교육청 및 산하기관, 교육인적자원부를 인터넷으로 연결하는 전국 단위의 교육행정 정보시스템을 말한다.즉, 27개 분야의 교육행정 업무를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은 전국 시•도 교육청에 메인컴퓨터를 두고 전국의 모든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성적과 주민등록번호, 가족사항 등 개인정보와 학부모 정보, 교사정보를 입력해 교육부•교육청•학교 등 교육기관과 연계돼 전국적으로 공유된다. 취학업무 간소화, 졸업•성적증명서 어디서나 발급가능, 교육정책 기본통계 자동생성 등의 기능이 제공된다.
-. NEIS의 현재
약 5백21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2000년 9월부터 작년 10월까지 2년 여간 개발됐으며, 작년 8월 교사연수를 거쳐 9월 교육부가 지정한 15개 학교와 시•도 교육청이 지정한 2백61개 학교에서 시범운영을 했다. 이달 초 학교별 담당교사 연수를 마치고 다음달 1일 시행을 준비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교사들이 보안문제를 들어 인증을 거부하고 있어 당분간은 NEIS와 CS의 이원화 운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2. NEIS의 도입의 이유
- NEIS는 시도교육청이 시스템을 구축해 전국의 모든 교육행정기관과 초중고교를 인터넷으로 연결하는 시스템. 개별 학교의 행정 처리는 물론 교육청 등에서 처리해야 하는 학사 인사 예산 회계 등 27개의 교육행정 업무를 통합 관리한다.
- NEIS가 개통되면 학생들의 성적 및 졸업증명서를 떼기 위해 해당 학교를 찾아갈 필요 없고 학부모들은 인터넷을 통해 자녀의 출결과 성적 상황을 직접 확인할 수 있게 된다.
- 또 학생이 전학을 가거나 상급학교에 진학할 때 학교간에 학생 자료를 쉽게 공유할 수 있고 대학입시 전형 자료 취합이 용이해져 입시 관련 업무를 간소화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 교육부는 또 CS의 경우 일선 학교에 데이터베이스 운영체제에 밝은 교사가 없어 관리가 어렵지만 NEIS는 통합 관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오히려 효율적이며 시스템을 유지 보수하는데도 비용이 훨씬 적게 든다고 주장한다.
3. NEIS 시스템
NEIS는 관리자아이디와 사용자아이디로 구분된다. 관리자는 학교의 기본정보 입력과 사용자에게 권한을 주는 역할밖에 하지 못한다. 그 외에는 건드릴 수 없다. 예를 들어 관리자가 학교의 시간표와 과목별 담당교사를 입력하면 NEIS 시스템은 자동적으로 그 과목 담당교사에게만 해당과목의 성적을 처리할 수 있는 권한을 준다. 기존의 C/S 시스템은 관리자 아이디로 모든 부분을 수정할 수 있었지만, NEIS는 해당 교과목의 담당교사에게만 권한을 준다는 점에서 보안성은 더 낫다고 볼 수도 있다. 하지만 관리자가 마음먹고 변조하려 든다면 막을 수는 없다. 모든 시간표에 자신을 담당교사로 넣으면 문제가 없다. 다만 C/S 시스템보다는 그 과정이 더 복잡하고, 더불어 수정한 아이디가 나타나기 때문에 변조 후에 추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추천자료
네이스(NEIS)의 정의와 문제점 그리고 여러 의견들... -교육행정정보시스템-
네이스(NEIS)논쟁에 대한 찬성 반대
NEIS (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교육행정정보시스템)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에 관한 총체적 논의
NEIS(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도입에 관한 연구
NEIS(교육정보시스템) 찬반 양상과 분석
[교육행정][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교육행정의 정의, 교육행정의 원리, 교육행정의 성격, ...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의 정의, 배경, 필요성, 보안체제와 교...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네이스]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의 정의, 배경, 목표와 교육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