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주택의 특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의 주택의 특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사합원- 북경

2. 황토고원의 요동

3. 휘주의 주택

4. 복건성 등의 토루

본문내용

수납공간으로 마른음식이나 의류 수납장으로 사용됨
♣ 한 세대가 각 층의 세로로 상하 연결된 단위공간을 주거로 사용
- 이들을 위한 수직동선은 각층마다 2~3층에만 설치되어 있다.
(예) 4층 주거의 경우 : 한가족은 단위주거의 수직으로 4개의 층을 다 사용하게 되는데, ∴ 일층은 부엌과 사회적 공간
∴ 2층은 곡물의 저장 및 수납공간
∴ 3층은 거주공간이 된다.
∴ 침실 등은 상층부분에 축사, 수납공간, 세면장, 부엌등은 저층부분에 두어 유교적인 공간의 위계질서가 나타나도록 하였다.
♣ 각 주거단위는 공일한 크기로 분할
- 가족의 어른이 거주하는 공간이나 지위여부가 잘 드러나지 않음.
- 이는 인종적으로 한족이 거의 없는 이곳에 한족이 이주하여 정착할 때 방어적 안전을 위한 신변보호 차원
- 또는 실제적 필요에 의해 새로운 사회적 형태를 발달시켰으며 가장의 권위에 대한 평등의식등이 발달하였을 것으로 보여진다.
♣ 조당: 조상의 위패를 모신 조당은 중정 한가운데에 위치
- 주위에 다른건물들에 둘러싸여 있음
♣ 사합원식 중정형 주택과 다른점
- 사합원은 조당이 주택의 가장 후면에 배치, 토루에서는 원의 중심에 상위의 공간이 위치하며 높이도 가장높아 조상이 소우주의 중심이 됨을 알 수 있다.
♣ 조당의 바깥 원주뒤 공간에는 부속실, 행정실, 학교등이 존재,
- 그 뒤에 가축우리, 우물등이 있었으며
- 맨 뒤 외벽이 있는곳에 가족을 위한 생활공간 배치
- 위계적으로 공적공간이 중심에 있고 외부로 나갈수록 사적인 공간위계 나타냄
♣ 객가족의 집
- 방어 위하여 저층부에는 창이 없거나 아주작은 창이 있고
- 상층부로 갈수록 창의 크기가 커진다. = 때로는 적들에 대해 화살쏘는 구멍이나 총구역할
♣ 외벽: 두꺼운 황토를 다져 넣어가며 쌓아올린 것
- 밑 부분이 넓고 윗부분은 좁은 사다리꼴 형태
- 벽 두께가 저층은 1~2m나 되고 상층도 40~60cm정도나 됨
♣ 토루는 여러 다양한 중국 토속주택 중 단일건물로는 규모가 가장 큼
- 가장 큰 주택은 높이 10m에 직경 60m가 넘는것도 있다. (규모가 굉장히 큼)
♣ 건축재
- 서쪽의 산지에서 가져옴
- 큰지름의 목재는 아주 희귀함
- 흙은 아주 손쉽게 구할 수 있음
- 벽을 만들기 위한 흙: 석회와 혼합한 흙, 접착을 위한 모래와 돌가루 등
- 벽의 수분이 잘 조절되면 아주 튼튼하여 못을 박아도 괜찮음
- 벽의 장점: 겨울에는 따뜻하게 여름에는 시원하게 해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6.21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33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