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기 앞서
2. 한용운과의 만남
3. 한용운의 삶과 사회활동
4. 한용운의 시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5. 한용운의 시집과 문학적 특성
6. 한용운의 공간과 시간 의식
7. 우리들의 한용운
8. 한용운과의 만남 - 심우장
2. 한용운과의 만남
3. 한용운의 삶과 사회활동
4. 한용운의 시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5. 한용운의 시집과 문학적 특성
6. 한용운의 공간과 시간 의식
7. 우리들의 한용운
8. 한용운과의 만남 - 심우장
본문내용
생께서 살아계실 때 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무거운 짐을 가지고 당신을 찾았다고 합니다. 그러면 선생은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다 맞아주셨다지요. 우리는 진실로 나약한지라 각자의 삶을 끌어줄 누군가를 필요로 합니다. 삶의 등대를 갈구하고 위안을 얻을 수 있는 곳에 몰려들기 일쑤입니다.
세월이 많이 흘렀지만 여전히 사람들은 위안과 등대를 원하고 있습니다. 선생의 시 또한 마른 국화를 비벼 코에 대이는 것과 같이 되지 못하고 아직도 여러 사람의 손에서 읽혀지고 있습니다. 저 또한 이러한 구도자와의 만남을 바라고 있었기에 이와 같은 교제가 얼마나 큰 과육(果肉)이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다분히 시로서만 당신을 연구해도 좋을 것이고, 사상적으로 선생의 '유가적 성격이 녹아있는 불교적 사상'에 대해 고찰해 보는 것도 좋았을 것입니다. 책은 많은 것을 말해주고 있으니까요. 그러나 저는 단지 인간으로서 당신을 만나고 싶었습니다. 선생님께서 전해주시려 했던 그 깨달음을 얻고자 했습니다. 당신의 시를 감상하는 이유가 궁극적으로는 그러한 깨달음을 얻기 위함이기 때문입니다. 당신은 학문적으로 다가가기 전에 인간적으로 제게 다가와 주셨기 때문입니다.
내 마음의 어딘 듯 한 편에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
돋쳐 오르는 아침 날 빛이 빤질한
은결을 도도네
가슴엔 듯 눈엔 듯 또 핏줄엔 듯
마음이 도른도른 숨어 있는 곳
내 마음의 어딘 듯 한 편에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 김영랑>
심우장을 내려오는 길, 담장 위로 쏟아지는 꽃떨기를 맞으며 '아침 날 빛이 빤질한 은결을 도도네'라는 시 귀를 떠올렸습니다.
세월이 많이 흘렀지만 여전히 사람들은 위안과 등대를 원하고 있습니다. 선생의 시 또한 마른 국화를 비벼 코에 대이는 것과 같이 되지 못하고 아직도 여러 사람의 손에서 읽혀지고 있습니다. 저 또한 이러한 구도자와의 만남을 바라고 있었기에 이와 같은 교제가 얼마나 큰 과육(果肉)이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다분히 시로서만 당신을 연구해도 좋을 것이고, 사상적으로 선생의 '유가적 성격이 녹아있는 불교적 사상'에 대해 고찰해 보는 것도 좋았을 것입니다. 책은 많은 것을 말해주고 있으니까요. 그러나 저는 단지 인간으로서 당신을 만나고 싶었습니다. 선생님께서 전해주시려 했던 그 깨달음을 얻고자 했습니다. 당신의 시를 감상하는 이유가 궁극적으로는 그러한 깨달음을 얻기 위함이기 때문입니다. 당신은 학문적으로 다가가기 전에 인간적으로 제게 다가와 주셨기 때문입니다.
내 마음의 어딘 듯 한 편에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
돋쳐 오르는 아침 날 빛이 빤질한
은결을 도도네
가슴엔 듯 눈엔 듯 또 핏줄엔 듯
마음이 도른도른 숨어 있는 곳
내 마음의 어딘 듯 한 편에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 김영랑>
심우장을 내려오는 길, 담장 위로 쏟아지는 꽃떨기를 맞으며 '아침 날 빛이 빤질한 은결을 도도네'라는 시 귀를 떠올렸습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