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병기론과 한글전용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자병기론과 한글전용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내리비치 ◇

1. 머리말


2. 몸말
◎ 한자병기론과 한글전용론의 개념
◎ 국어정책의 변천과정
◎ 최근 논쟁이 대두되게 된 계기
◎ 한자병기론과 한글전용론
【한자병기론】
【한글전용론】
◎ 북한의 한글정책
◎ 한자병기론․한글전용론과 한자교육


3. 맺음말

본문내용

본, 중국기업, 동남아 화교 돈을 끌어들이기 이만저만 힘들지 않다는 것을 안 것이다. 요즘 하는 말로 국제화-개방화를 위해서였다.
한자병기론·한글전용론과 한자교육
한자병기론자들이나 한글전용론자들이나 모두들 한자교육에 관해서는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다. 한자교육의 쟁점은 한자교육의 조기 실시여부에 관한 것이다.
한자병기론자: 한자어 이해 저하가 학력 저하로 이어지고 있으며, 현장 교사들 또한 한자 조기 교육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있다. 현재는 초등학교 교장 재량으로 한자 학습을 하고 있기 때문에 학교마다 한자학습이 시행되고 있는 곳과 없는 곳이 있다. 또한 따로 수업시간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없다. 따라서 비체계적, 비효율적이므로 한자교육을 양성화하여 적극적으로 초등학교 한자 교육 도입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한글전용론자: 한자 교육이 필요하기는 하나, 일찍부터 실시하게 되면, 한자 교육의 특성상 암기 중심의 학습 방법이 아동의 창의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한자조기 교육은 합당하지 않다.
3. 맺음말
오래 전부터 한자와 한글은 우리말글살이에 뿌리깊이 공존해 왔으므로 한자병기론과 한글전용론에 대한 논쟁은 필연적이고 중요할 수밖에 없다. 한자병기론자라고 해서 중국에 대한 사대주의에 빠져 있는 것이 아니라, 한자병기론자이든 한글전용론자이든 간에 그들 주장의 바탕에는 우리말글을 사랑하는 마음이 깔려있다.
이러한 토론을 통해서 우리말글 사랑에 대해 생각하고 이를 위한 정신자세를 확립하고 실천해보는 계기가 되도록 하자.
<참고문헌 및 참고 사이트>
http://sookmyung.ac.kr/~minhs
http://www.chosun.ac.kr/cgi-bin/crbbs/upload/ongmi18
http://www.genealogy.co.kr/shinmoons/1+2ho/hanja.htm
http://home.opentown.net/~subyoung/한자 병용 논쟁 total.htm
http://maal.or.kr/maalgeul/hangeul-hanja/__mom.html
http://maal.or.kr/maalgeul/hangeul-hanja/III-hanja-byeong_yongron.html
이기문 『국어의 현실과 이상』- 문학과 지성사
최기호, 김미형 『현대교양인을 위한 언어와 사회』- 한국문화사
남명신 『국어천년의 실패와 성공』- 한마당
고등학교 국어(하)교과서 -2.국어와 생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6.20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34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