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한자교육 정책의 변천과정(▶표로 제시)
Ⅲ.초등학교 한자교육의 필요성
1. 초등학교 한자교육에 대한 논쟁
1) 한글 전용론의 입장
2) 국한혼용론의 입장
2. 초등학교 한자교육과 교과 학습 능력과의 관계
Ⅳ. 초등학교 교육한자의 선정
1. 국어교육과 한자지도
2. 초등학교 교육한字의 선정과정
1) 한자어․한자 추출 단계
2) 한자의 사용빈도별 분류
3) 선정된 교육한자의 체계화
Ⅴ. 초등학교 한자지도 방법
1. 자형의 지도
1) 상형문자
2) 지사문자
3) 회의문자
4) 형성문자
2. 자음의 지도
3. 자의의 지도
4. 필순의 지도
1) 필순의 지도방법
2) 필순 지도의 유의점
5. 한자어로서의 지도
1) 한자어의 성격
2) 한자어 지도
Ⅵ. 결론
Ⅱ. 한자교육 정책의 변천과정(▶표로 제시)
Ⅲ.초등학교 한자교육의 필요성
1. 초등학교 한자교육에 대한 논쟁
1) 한글 전용론의 입장
2) 국한혼용론의 입장
2. 초등학교 한자교육과 교과 학습 능력과의 관계
Ⅳ. 초등학교 교육한자의 선정
1. 국어교육과 한자지도
2. 초등학교 교육한字의 선정과정
1) 한자어․한자 추출 단계
2) 한자의 사용빈도별 분류
3) 선정된 교육한자의 체계화
Ⅴ. 초등학교 한자지도 방법
1. 자형의 지도
1) 상형문자
2) 지사문자
3) 회의문자
4) 형성문자
2. 자음의 지도
3. 자의의 지도
4. 필순의 지도
1) 필순의 지도방법
2) 필순 지도의 유의점
5. 한자어로서의 지도
1) 한자어의 성격
2) 한자어 지도
Ⅵ. 결론
본문내용
같은 낱말을 지도할 경우 너무 한 자 한 자의 자의에 집착하면 오 히려 곤란할 때도 있다.
예를 들면, 학생들은 흔히 '學問'을 '學文'으로 써야 한다고 고집할 때가 있 다.
넷째, 한자의 형음의를 떼어서 생각할 것이 아니라 서로 관련시켜 이해해야 한다.
4. 필순의 지도
1) 필순의 지도방법
(1) 初等學校에서는 위에서 아래로 쓰는 漢字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는 漢字 의 정도를 알고 천천히 쓰도록 한다.
(2) 字劃을 헤아리면서 천천히 느린 속도로 쓰도록 한다.
(3) 漢字의 자획 하나가 마치 독립된 文字인 것처럼 정성을 기울여 쓰도록 한다.
2) 필순 지도의 유의점
(1) 정확한 筆順을 지도해야 한다. 만일 교사 자신이 알쏭달쏭하게 느껴지는 한자 가 있을 경우에는 미리 調査 硏究하여 正確한 筆順을 분명히 안 연후에 지도해야 한다.
(2) 漢字에 따라서는 두 가지 혹은 세 가지의 필순을 가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자를 除外 한 필순이 확실한 漢字에 대해서는 정확한 필순을 지도해야 한다.
(3) 筆順 지도는 한자마다 해야 한다. 특히 초보 한자지도에서는 한 자도 빠뜨리 지말고 지도해야 한다. 설령 학생 스스로가 필순의 원리를 깨달은 듯한 反應을 보이더라도 계속 철저히 지도해야 한다.
(4) 筆順을 철저히 지도하면 자획도 따라서 이해된다.
(5) 筆順으로 지도할 때에는 필순만을 집중적으로 指導해야 한다. 자음·자의 등 을 겸하면 필순 지도에 혼란을 가져오기 쉽다.
(6) 筆順 지도는 그 漢字가 가장 처음 나왔을 때 지도해야 한다. 즉, 그 漢字에 대한 印象이 新鮮할 때 지도해야 효과적이다.
(7) 筆順이 이해되면 자의·자음 등을 순차적으로 지도해야 한다.
5. 한자어로서의 지도
1) 한자어의 성격
(1) 漢字語는 언어이다.
의사의 표현수단이 어문 중에서 뜻을 나타내는 표의문자로써 구성되는 언어인 한자어는 소리대로 표현하는 고유어와는 달리 독특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2)漢字語에는 동음이의어가 많다.
同音異議語는 한글로 식별하기 어렵다. 앞뒤 문맥으로 식별할 수 없는 것은 아니지만 다소 어려운 점이 있다.
(3) 漢字語는 한국어이다.
한국어에는 고유어와 한자어가 한데 합쳐져서 일체를 이루고 있다.
(4) 漢字語를 고유어로 바꾸는 일은 지극히 어렵다.
한자어는 13만여 단어에 이르고 있으므로 고유어로 번역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5) 漢字語에는 축약성이 있다.
한자어를 우리말로 번역해 보면 그 분량이 몇 배로 늘어난다.
(6) 漢字語의 기억은 암기에 의하는 것이 아니다.
사유의 이해로 성립되는 기억이기 때문에 그 파악된 개념이 정확하고 정밀하여 오래간다.
(7) 漢字語를 학습한 효과로서 중·일의 언어에 서툴러도 한자, 단어로서 뜻을 상 통할 수 있는 유익한 점도 있다.
2) 한자어 지도
(1) 造語 指導
實際 文章에서 단 한 자의 한자가 고립해서 쓰이는 예는 거의 없다. 두 자 이상이 결합해서 쓰인다.
예를 들면 '國' 자가 '國民' 이라는 단어로 처음 사용되었응 경우 조어의 지도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國 + 家 國家
軍 國軍
會 國會
萬 + 國 萬國
全 全國
天 天國
韓 韓國
(2) 文章 속에서의 指導
· 學習한 한자를 이용한 짧은 글을 지어보는 것도 한자어 학습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예; '注意' "다음에 注意해서 글을 읽어봅시다.")
· 교과서에 나온 한자어를 그 문장과 함께 학습하여 한자어의 쓰임을 명확히 알 게 한다.
Ⅵ. 결론
지금까지 한자교육의 필요성과 그 개선방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우리나라는 중국, 일본과 더불어 한자 문화권이라고 불릴 만큼 한자문화가 뿌리깊게 자리잡고 다. 본고에서도 살펴봤듯이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언어의 약 70%가 한자로 되어 있다는 것 또한 이를 잘 뒷받침 해 주고 있다. 한자를 알고, 모르고를 떠나서 이미 한자는 한글의 형태로 우리와 함께 생활해 나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한자를 잘 안다는 것은 곧 우리의 말과 글을 올바르고 조리 있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과 직결된다는 것은 다시 말하지 않아도 잘 아는 사실이다. 그리고, 말과 글을 떠나서 우리가 생활하며 이루어내고 있는 모든 문화, 그것이 유형이든 무형이든 간에 그것은 곧 우리 문화의 근간인 한자문화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좀더 우리를 치장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우리 정신 문화의 근간인 한자에 대해서 꼭 알고 쓸 필요가 있다. 이것은 단순히 한자 옹호론에 치우친 생각으로 받아들여 질 수 있으나 그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우리의 글과 문화를 좀더 효율적이고 한층 더 세련되게 발전시키기 위한 수단이고 방법이 될 수 있으며, 언어 사고력 신장의 지름길이라는 생각을 가져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한자교육은 반드시 조기교육이 필요하며, 한자교육의 지도방안이 좀더 구체화되어야 하겠다.
이를 위하여 무계획적이고 암기식인 한자교육방법을 버리고 보다 다양한 학습방법 및 학습자료의 개발로 흥미 있는 한자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학교 현장에서의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
1. 정연택,『중·고등학교의 한자교육의 당위성과 효과적인 지도방법』, 학위논문,1986
2. 안승덕, 『한자교육』, 배영사, 1987
3. 안승덕, 『한자교육의 학습과 지도』, 배영사, 1977
4. 권택룡(역), 『중국 문자학 개설』, 형설출판사, 1988
5. 허세욱(편역), 『한문통론』,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76
6. 남광우, 『한자는 어려서부터 가르쳐야』, 교육자료6, 1990
7. 정우상, 『초등학교 한자교육의 필요성』, 한글+한자문화1, 1999
8. 정우상, 『한문과 교육정책과 한문교육용 기초한자의 선정』,한자한문교육, 1994
9. 안승덕, 『초등학교 한자교육』, 국어교육59·60, 1987
10. 김왕규, 『초등학교 한자교육의 현황과 방향』, 한자한문교육1, 1994
11. 김왕규, 『초등한자교육의 지도 내용』, 새국어교육 58, 1999
12. 안승덕, 『한자교육론, 아세아문화사』, 1993
13. 이교훈, 『한자교육의 효과적인 방법연구』, 학위논문, 1974
예를 들면, 학생들은 흔히 '學問'을 '學文'으로 써야 한다고 고집할 때가 있 다.
넷째, 한자의 형음의를 떼어서 생각할 것이 아니라 서로 관련시켜 이해해야 한다.
4. 필순의 지도
1) 필순의 지도방법
(1) 初等學校에서는 위에서 아래로 쓰는 漢字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는 漢字 의 정도를 알고 천천히 쓰도록 한다.
(2) 字劃을 헤아리면서 천천히 느린 속도로 쓰도록 한다.
(3) 漢字의 자획 하나가 마치 독립된 文字인 것처럼 정성을 기울여 쓰도록 한다.
2) 필순 지도의 유의점
(1) 정확한 筆順을 지도해야 한다. 만일 교사 자신이 알쏭달쏭하게 느껴지는 한자 가 있을 경우에는 미리 調査 硏究하여 正確한 筆順을 분명히 안 연후에 지도해야 한다.
(2) 漢字에 따라서는 두 가지 혹은 세 가지의 필순을 가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자를 除外 한 필순이 확실한 漢字에 대해서는 정확한 필순을 지도해야 한다.
(3) 筆順 지도는 한자마다 해야 한다. 특히 초보 한자지도에서는 한 자도 빠뜨리 지말고 지도해야 한다. 설령 학생 스스로가 필순의 원리를 깨달은 듯한 反應을 보이더라도 계속 철저히 지도해야 한다.
(4) 筆順을 철저히 지도하면 자획도 따라서 이해된다.
(5) 筆順으로 지도할 때에는 필순만을 집중적으로 指導해야 한다. 자음·자의 등 을 겸하면 필순 지도에 혼란을 가져오기 쉽다.
(6) 筆順 지도는 그 漢字가 가장 처음 나왔을 때 지도해야 한다. 즉, 그 漢字에 대한 印象이 新鮮할 때 지도해야 효과적이다.
(7) 筆順이 이해되면 자의·자음 등을 순차적으로 지도해야 한다.
5. 한자어로서의 지도
1) 한자어의 성격
(1) 漢字語는 언어이다.
의사의 표현수단이 어문 중에서 뜻을 나타내는 표의문자로써 구성되는 언어인 한자어는 소리대로 표현하는 고유어와는 달리 독특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2)漢字語에는 동음이의어가 많다.
同音異議語는 한글로 식별하기 어렵다. 앞뒤 문맥으로 식별할 수 없는 것은 아니지만 다소 어려운 점이 있다.
(3) 漢字語는 한국어이다.
한국어에는 고유어와 한자어가 한데 합쳐져서 일체를 이루고 있다.
(4) 漢字語를 고유어로 바꾸는 일은 지극히 어렵다.
한자어는 13만여 단어에 이르고 있으므로 고유어로 번역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5) 漢字語에는 축약성이 있다.
한자어를 우리말로 번역해 보면 그 분량이 몇 배로 늘어난다.
(6) 漢字語의 기억은 암기에 의하는 것이 아니다.
사유의 이해로 성립되는 기억이기 때문에 그 파악된 개념이 정확하고 정밀하여 오래간다.
(7) 漢字語를 학습한 효과로서 중·일의 언어에 서툴러도 한자, 단어로서 뜻을 상 통할 수 있는 유익한 점도 있다.
2) 한자어 지도
(1) 造語 指導
實際 文章에서 단 한 자의 한자가 고립해서 쓰이는 예는 거의 없다. 두 자 이상이 결합해서 쓰인다.
예를 들면 '國' 자가 '國民' 이라는 단어로 처음 사용되었응 경우 조어의 지도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國 + 家 國家
軍 國軍
會 國會
萬 + 國 萬國
全 全國
天 天國
韓 韓國
(2) 文章 속에서의 指導
· 學習한 한자를 이용한 짧은 글을 지어보는 것도 한자어 학습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예; '注意' "다음에 注意해서 글을 읽어봅시다.")
· 교과서에 나온 한자어를 그 문장과 함께 학습하여 한자어의 쓰임을 명확히 알 게 한다.
Ⅵ. 결론
지금까지 한자교육의 필요성과 그 개선방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우리나라는 중국, 일본과 더불어 한자 문화권이라고 불릴 만큼 한자문화가 뿌리깊게 자리잡고 다. 본고에서도 살펴봤듯이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언어의 약 70%가 한자로 되어 있다는 것 또한 이를 잘 뒷받침 해 주고 있다. 한자를 알고, 모르고를 떠나서 이미 한자는 한글의 형태로 우리와 함께 생활해 나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한자를 잘 안다는 것은 곧 우리의 말과 글을 올바르고 조리 있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과 직결된다는 것은 다시 말하지 않아도 잘 아는 사실이다. 그리고, 말과 글을 떠나서 우리가 생활하며 이루어내고 있는 모든 문화, 그것이 유형이든 무형이든 간에 그것은 곧 우리 문화의 근간인 한자문화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좀더 우리를 치장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우리 정신 문화의 근간인 한자에 대해서 꼭 알고 쓸 필요가 있다. 이것은 단순히 한자 옹호론에 치우친 생각으로 받아들여 질 수 있으나 그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우리의 글과 문화를 좀더 효율적이고 한층 더 세련되게 발전시키기 위한 수단이고 방법이 될 수 있으며, 언어 사고력 신장의 지름길이라는 생각을 가져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한자교육은 반드시 조기교육이 필요하며, 한자교육의 지도방안이 좀더 구체화되어야 하겠다.
이를 위하여 무계획적이고 암기식인 한자교육방법을 버리고 보다 다양한 학습방법 및 학습자료의 개발로 흥미 있는 한자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학교 현장에서의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
1. 정연택,『중·고등학교의 한자교육의 당위성과 효과적인 지도방법』, 학위논문,1986
2. 안승덕, 『한자교육』, 배영사, 1987
3. 안승덕, 『한자교육의 학습과 지도』, 배영사, 1977
4. 권택룡(역), 『중국 문자학 개설』, 형설출판사, 1988
5. 허세욱(편역), 『한문통론』,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76
6. 남광우, 『한자는 어려서부터 가르쳐야』, 교육자료6, 1990
7. 정우상, 『초등학교 한자교육의 필요성』, 한글+한자문화1, 1999
8. 정우상, 『한문과 교육정책과 한문교육용 기초한자의 선정』,한자한문교육, 1994
9. 안승덕, 『초등학교 한자교육』, 국어교육59·60, 1987
10. 김왕규, 『초등학교 한자교육의 현황과 방향』, 한자한문교육1, 1994
11. 김왕규, 『초등한자교육의 지도 내용』, 새국어교육 58, 1999
12. 안승덕, 『한자교육론, 아세아문화사』, 1993
13. 이교훈, 『한자교육의 효과적인 방법연구』, 학위논문, 1974
추천자료
[진로교육][진로지도][초등학교교육]초등학교진로교육(진로지도)의 의의, 초등학교진로교육(...
진로지도(진로교육) 이론 고찰과 중학교진로지도(진로교육)의 목표, 중학교진로지도(진로교육...
진로교육(진로지도)의 개념, 진로교육(진로지도)의 필요성, 진로교육(진로지도)의 목표, 진로...
독서교육(독서지도)의 가치, 독서교육(독서지도)의 필요성, 독서교육(독서지도)의 경향, 독서...
예절교육(예절지도)의 개념과 기본방향, 예절교육(예절지도)의 목적, 예절교육(예절지도) 태...
예절지도(예절교육) 주요내용, 예절지도(예절교육) 가정예절지도, 예절지도(예절교육) 학교예...
독서교육(독서지도)의 개념, 독서교육(독서지도)의 필요성, 독서교육(독서지도)의 ICT(정보통...
방과후아동지도(방과후교육, 공부방) 개념과 역할, 방과후아동지도(방과후교육, 공부방) 기능...
진로교육(진로지도)의 의미, 진로교육(진로지도)의 중요성, 진로교육(진로지도)의 주요 영역,...
서예영역교육(서예지도, 서예수업)의 기초와 학습단계, 서예영역교육(서예지도, 서예수업)의 ...
사물놀이지도법(교육방법), 리코더합주지도법(교육방법), 감상문쓰기지도법(교육방법), 산만...
읽기교육(읽기지도)의 원리, 읽기교육(읽기지도)의 성격, 읽기교육(읽기지도)의 단계, 읽기교...
한국전통음악지도(국악교육)의 중요성, 한국전통음악지도(국악교육)의 장단지도, 창작지도, ...
쓰기교육(쓰기지도) 창의성, 쓰기교육(쓰기지도) 과정, 쓰기교육(쓰기지도) 영역, 쓰기교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