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훈 [화장]의 기호학적 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플롯
2. 서사구조
3. 화장의 이중적 의미
4. 상징적 의미
5. 김춘수의 꽃과 추은주
6. 주제
7. 결론

본문내용

통해서 몸의 누적된 고통, 또는 기능 상실이 그로 하여금 그의 아내의 죽음에 얼마나 무덤덤해지는지를 보여준다. 그리고 아내의 죽음에 대비해 추은주를 통해 몸에 대한 희망을 회복하려 노력하는데 마지막에 추은주의 사퇴는 그러한 희망마저 사그라뜨린다. 정신은 그 나름의 알맹이를 가지는 것이 아니고 그저 몸의 변화에 따른 표피적인 것, 부수적인 것, 물위에 뜨는 기름 같은 것이라는 이야기이다.
7. 결론
허무주의는 어떠한 실재(實在)나 진리도 인정하지 않고 그에 대한 인식의 가능성과 가치까지도 부정하는 사상적 개념이므로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무(無)의 사상이다. 화자는 아내의 장례가 진행되는 동안에도 회사의 광고 이미지를 잡아야 하고 장례를 마치고 돌아와서는 지극히 사무적으로 추은주의 사직서를 결재해야 하는 무서운 일상이다. 소멸의 어둠과 환한 빛의 삶 모두 일상의 질서를 이루는 무심한 현실일 뿐이다. 또한 그는 전립선염으로 인한 몸의 불편으로 아내의 죽음에 슬퍼하지도, 추은주에게 다가가지도 못하는 인간이다. 이러한 부분이 화자로 하여금 허무주의에 빠져들게 만든 것이다.
요새 우리 사회는 그야말로 외모지상주의의 늪에 허덕이고 있다. 실로 한 인간의 내면을 살펴보기 보다는, 특히 여성에 있어서 회사 면접을 볼 때도 '용모단정'이라는 말 아래 외모가 자신의 미래를 결정하게 만들기도 한다.
이 작품을 통해서 우리는 외면에 집착하지 말고 그것의 존재적 가치에 대해 깊이 생각할 필요가 있으며, 그동안 영혼이나 정신의 중요성만 생각해온 우리들에게 몸의 불편이 영혼이라 정신을 잠식할 우려가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키워드

김훈,   화장,   기호학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6.20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36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