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시험의 목적
❑ 시험방법
❑ 시험내용(주의사항)
❑ 실험고찰
❑ 시험방법
❑ 시험내용(주의사항)
❑ 실험고찰
본문내용
빈율이 37.01~27.17이다. 이처럼 골재에서 빈율이 낮아지면 나타난다.
먼저 실적률로만 이 시료를 판단한다면 콘크리트에 물에 양을 줄일수 있다. 이는 콘크리트 배합시 물에 의한 수화열이 적게 발생함으로써 건조수축에 강하며, 장기강도에 유리하다.
두 번째로 단위용적당 공극의 수가 작아서 콘크리트의 내구성과 강도에 유리하며 단위 시멘트량을 줄일수 있다.
세 번째로 밀도가 커져서 마모저항성이 증가하여 투수성 및 흡수성이 작아진다.
전체적으로 이 시료를 판단해보면 2.54의 쇄석은 단위용적당 공극이 작고 쇄석의 특성상 표면이 거칠어 강도증진에 효과가 있으나 표면이 거칠어 워커빌리티가 낮고 w/c의 양이 증가하는 특징이 보여진다. 하지만 콘크리트 배합설계시 흡수율이 낮고 비중이 크며 입자가 작은 잔골재를 배합한다면 시멘트의 양을 줄임은 물론이며 W/C의 양을 줄이고 워커빌리티를 향상시킬수도 있으며 나아가서는 수화열을 낮춤으로써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잘견디고 장기강도가 큰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최신 건설재료학 박승범 저 문운당
건축시공실무자료집 곽영규저 정학사
http://www.aak.or.kr/main7/right7-2.htm
먼저 실적률로만 이 시료를 판단한다면 콘크리트에 물에 양을 줄일수 있다. 이는 콘크리트 배합시 물에 의한 수화열이 적게 발생함으로써 건조수축에 강하며, 장기강도에 유리하다.
두 번째로 단위용적당 공극의 수가 작아서 콘크리트의 내구성과 강도에 유리하며 단위 시멘트량을 줄일수 있다.
세 번째로 밀도가 커져서 마모저항성이 증가하여 투수성 및 흡수성이 작아진다.
전체적으로 이 시료를 판단해보면 2.54의 쇄석은 단위용적당 공극이 작고 쇄석의 특성상 표면이 거칠어 강도증진에 효과가 있으나 표면이 거칠어 워커빌리티가 낮고 w/c의 양이 증가하는 특징이 보여진다. 하지만 콘크리트 배합설계시 흡수율이 낮고 비중이 크며 입자가 작은 잔골재를 배합한다면 시멘트의 양을 줄임은 물론이며 W/C의 양을 줄이고 워커빌리티를 향상시킬수도 있으며 나아가서는 수화열을 낮춤으로써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잘견디고 장기강도가 큰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최신 건설재료학 박승범 저 문운당
건축시공실무자료집 곽영규저 정학사
http://www.aak.or.kr/main7/right7-2.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