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본문내용
0세기에 들어서면서 치젝F. Cizek은 도제 형식에 의한 표현 기능 중심의 미술 교육에 비판을 제기하여 자유로운 자기표현에 의한 미술교육을 주장하였는데 이때부터 미술교육의 흐름이 바뀌기 시작하였으며 그후 로웬펠드V. Lowenfeld와 허버트 리드H. Lead, 다미코V. D'Amico 등이 아동의 자유로운 자기표현을 통한 창의성 계발, 간섭의 배제, 미술을 통한 교육 등을 주창하여 창의성 중심의 미술교육이라는 큰 흐름을 형성하였다.
그런데 1960년대부터 아이스너Elliot. W. Eisner를 비롯한 바칸M. Barkan, 펠드먼E. B. Feldman, 맥피J. K. McFee, 엑커D. Ecker 등은 이러한 창의성 중심의 미술교육이 방임에 가까운 실기와 표현 중심으로 흐르기 쉽고, 교사가 소극적일 수밖에 없으며, 미술 내용에 대한 교육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등의 비판을 제기하면서 세계미술교육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현재 우리나라 미술교육도 표면적으로는 창의성 중심의 흐름에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입시 위주의 교육과 미술에 대한 전통적인 편견 등으로 인하여 표현 중심의 미술 교육 흐름에 있는 실정인데, 이러한 흐름이 가져온 무조건적인 실기중심, 방임에 가까운 학생들의 표현 중심, 교사의 소극성 등에서 탈피하여 미술에 대한 이해와 감상이 강조되어야 하고, 교사의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지도가 필요하며, 문화의 시대에 대비하는 미술소비자 교육도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미술교육도 엄연한 하나의 교사교육학이므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와 접근을 통하여 논리적인 전개가 필요한 것이다.
그 동안의 로웬펠드의 자연주의 교육방법에 대한 문제점 해결을 위하여 최근 수십 년간 미국의 일반교육 뿐만 아니라 미술교육의 흐름을 대변하고 있는
DBAE는 모든 학생들을 위한 학교교육과 어른을을 위한 평생교육을 목표로 학문중심 교육과정을 강조하면서 시작되었다. 초기의 DBAE는 지적 수준의 향상과 그 결과로 얻어지는 경제적 경쟁력 확보를 위한 수월성 교육의 테두리 안에 존재했다. 이제는 학교교육에서 확고한 지위를 확보하기 위한 계통적이고 체계적인 커리큘럼, 즉 작품 활동 이외 미술사, 미술비평, 미학 4분야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인접 학문까지도 포괄하는 미술교육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어느 미술교육 이론보다도 강한 비판을 불러 일으켰던 DBAE는 비판적 시각에 대한 방어 논리를 개발하였으며, 교사들과 이론가들의 상호 교류로 이론과 실제에서의 괴리감 극복 등의 가시적 성과를 이루었다. 이러한 노력들이 하나의 이론으로서 체계를 갖추는데 도움을 준 것은 많은 학자들이 초기에 주장한 초기의 DBAE와 점차 다른 모습으로 변화 발전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오늘의 DBAE는 다문화 미술교육과 집단적 의사결정 과정 등과 통합되고 조화된다는 면에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 특징지어진다. 김황기.DBAE의 어제와 오늘, 미술교육논총, 6집 (1997)-요약부분 발췌
즉 DBAE는 환경적 요소를 이루는 교사와 학생들의 요구에 반응하고 다양한 학습결과를 허용한다. 미술교육은 종합적으로 운용되고, 다른 교과들과의 통합이 가능한 커리큘럼이 사회적 배경적 요구 안에서 개발된다.
DBAE는 미술교육을 하나의 독립 교과로 인식하면서 미술실기, 미술비평, 미술사, 미학에 이론적 배경을 두고 학습 구조를 반영하고 미술의 인식론적 측면을 중요시하며 교사의 역할을 강화하고 체계적인 지도를 통한 표현의 결과와 학습 성취의 결과를 강조한 미술 교육의 방법으로 미술교육에 있어서 수업을 통한 학습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학습내용은 미술의 지각, 창조, 이해, 판단을 하는 조형활동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학생은 자신이 실행하는 미술 분야의 학습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미학이나 미술사에 관한 정보탐색을 다각도로 실행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교사는 다양한 학습지도 방법을 연구해야 하는 것이다.
DBAE는 미술실기 활동, 미술 비평, 미술사, 미학의 네 영역이 미술활동에 하나의 조화를 이루는 연속적이며 총괄적인 미술교과 과정을 뜻하는 것이므로 네 영역 각각의 독립적인 중요성을 인식하기보다는 미술표현활동을 중심으로 네 영역이 서로 균형을 이루고 상호 연관성을 지니며 수업할 때 그 효율성은 배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시점에서 우리의 미술교육도 21세기에 맞는 사상과 이론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통해 장단점을 명확히 파악하고, 그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극복하는 한국적인 미술교육 방법을 창출하여 여러 현대 미술교육의 흐름들이 한국의 교육 현실에 맞는 우리의 미술교육 방안을 만들어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김정 외 『미술교육학원론』 예경, 1998, 서울
· 김삼랑 저 『미술교육개론』 미진사, 1994, 서울
· 이규선, 김동영, 전상수 공저 『미술교육학개론』 교육과학사, 1995, 서 울
E.W. 아이스너 지음/서울교대 미술교육연구회 옮김 『새로운 눈으로 보 는 미술 교육』 예경, 1995, 서울
한국 미술교과 교육학회 『미술교육학』 교육과학사, 2000,서울
· 로웬펠드·브레테인 저, 서울교육대학교 미술교육연구회 옮김『인간을 위 한 미술 교육』 미진사, 1993, 서울
· 김춘일 저 『아동미술론』 미진사, 1985, 서울
최윤재 DBAE에 대한 비평적 고찰, 미술교육논총 제2집 p. 33, 한국미술 교육학회, 1993, 서울
한국미술교과 교육학회, 미술교육학, 교육과학사, 2000
외국 서적 참고
Wilson, B. The quiet evolution, Los Angeles, CA, The Getty Education Institute for the Art (1997)
Greer, W. D. Art as a basic: The reformation in art education, Phi Bloomington, Indiana, Delta Kappa Education Foundation (1997)
인터넷 참고 주소
http://artsea.co.kr/artedu/elementary/elementary_dbae4.htm
htte://www.misoola.com/html/p4/p4-9-1.htm,
그런데 1960년대부터 아이스너Elliot. W. Eisner를 비롯한 바칸M. Barkan, 펠드먼E. B. Feldman, 맥피J. K. McFee, 엑커D. Ecker 등은 이러한 창의성 중심의 미술교육이 방임에 가까운 실기와 표현 중심으로 흐르기 쉽고, 교사가 소극적일 수밖에 없으며, 미술 내용에 대한 교육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등의 비판을 제기하면서 세계미술교육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현재 우리나라 미술교육도 표면적으로는 창의성 중심의 흐름에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입시 위주의 교육과 미술에 대한 전통적인 편견 등으로 인하여 표현 중심의 미술 교육 흐름에 있는 실정인데, 이러한 흐름이 가져온 무조건적인 실기중심, 방임에 가까운 학생들의 표현 중심, 교사의 소극성 등에서 탈피하여 미술에 대한 이해와 감상이 강조되어야 하고, 교사의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지도가 필요하며, 문화의 시대에 대비하는 미술소비자 교육도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미술교육도 엄연한 하나의 교사교육학이므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와 접근을 통하여 논리적인 전개가 필요한 것이다.
그 동안의 로웬펠드의 자연주의 교육방법에 대한 문제점 해결을 위하여 최근 수십 년간 미국의 일반교육 뿐만 아니라 미술교육의 흐름을 대변하고 있는
DBAE는 모든 학생들을 위한 학교교육과 어른을을 위한 평생교육을 목표로 학문중심 교육과정을 강조하면서 시작되었다. 초기의 DBAE는 지적 수준의 향상과 그 결과로 얻어지는 경제적 경쟁력 확보를 위한 수월성 교육의 테두리 안에 존재했다. 이제는 학교교육에서 확고한 지위를 확보하기 위한 계통적이고 체계적인 커리큘럼, 즉 작품 활동 이외 미술사, 미술비평, 미학 4분야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인접 학문까지도 포괄하는 미술교육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어느 미술교육 이론보다도 강한 비판을 불러 일으켰던 DBAE는 비판적 시각에 대한 방어 논리를 개발하였으며, 교사들과 이론가들의 상호 교류로 이론과 실제에서의 괴리감 극복 등의 가시적 성과를 이루었다. 이러한 노력들이 하나의 이론으로서 체계를 갖추는데 도움을 준 것은 많은 학자들이 초기에 주장한 초기의 DBAE와 점차 다른 모습으로 변화 발전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오늘의 DBAE는 다문화 미술교육과 집단적 의사결정 과정 등과 통합되고 조화된다는 면에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 특징지어진다. 김황기.DBAE의 어제와 오늘, 미술교육논총, 6집 (1997)-요약부분 발췌
즉 DBAE는 환경적 요소를 이루는 교사와 학생들의 요구에 반응하고 다양한 학습결과를 허용한다. 미술교육은 종합적으로 운용되고, 다른 교과들과의 통합이 가능한 커리큘럼이 사회적 배경적 요구 안에서 개발된다.
DBAE는 미술교육을 하나의 독립 교과로 인식하면서 미술실기, 미술비평, 미술사, 미학에 이론적 배경을 두고 학습 구조를 반영하고 미술의 인식론적 측면을 중요시하며 교사의 역할을 강화하고 체계적인 지도를 통한 표현의 결과와 학습 성취의 결과를 강조한 미술 교육의 방법으로 미술교육에 있어서 수업을 통한 학습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학습내용은 미술의 지각, 창조, 이해, 판단을 하는 조형활동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학생은 자신이 실행하는 미술 분야의 학습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미학이나 미술사에 관한 정보탐색을 다각도로 실행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교사는 다양한 학습지도 방법을 연구해야 하는 것이다.
DBAE는 미술실기 활동, 미술 비평, 미술사, 미학의 네 영역이 미술활동에 하나의 조화를 이루는 연속적이며 총괄적인 미술교과 과정을 뜻하는 것이므로 네 영역 각각의 독립적인 중요성을 인식하기보다는 미술표현활동을 중심으로 네 영역이 서로 균형을 이루고 상호 연관성을 지니며 수업할 때 그 효율성은 배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시점에서 우리의 미술교육도 21세기에 맞는 사상과 이론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통해 장단점을 명확히 파악하고, 그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극복하는 한국적인 미술교육 방법을 창출하여 여러 현대 미술교육의 흐름들이 한국의 교육 현실에 맞는 우리의 미술교육 방안을 만들어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김정 외 『미술교육학원론』 예경, 1998, 서울
· 김삼랑 저 『미술교육개론』 미진사, 1994, 서울
· 이규선, 김동영, 전상수 공저 『미술교육학개론』 교육과학사, 1995, 서 울
E.W. 아이스너 지음/서울교대 미술교육연구회 옮김 『새로운 눈으로 보 는 미술 교육』 예경, 1995, 서울
한국 미술교과 교육학회 『미술교육학』 교육과학사, 2000,서울
· 로웬펠드·브레테인 저, 서울교육대학교 미술교육연구회 옮김『인간을 위 한 미술 교육』 미진사, 1993, 서울
· 김춘일 저 『아동미술론』 미진사, 1985, 서울
최윤재 DBAE에 대한 비평적 고찰, 미술교육논총 제2집 p. 33, 한국미술 교육학회, 1993, 서울
한국미술교과 교육학회, 미술교육학, 교육과학사, 2000
외국 서적 참고
Wilson, B. The quiet evolution, Los Angeles, CA, The Getty Education Institute for the Art (1997)
Greer, W. D. Art as a basic: The reformation in art education, Phi Bloomington, Indiana, Delta Kappa Education Foundation (1997)
인터넷 참고 주소
http://artsea.co.kr/artedu/elementary/elementary_dbae4.htm
htte://www.misoola.com/html/p4/p4-9-1.htm,
추천자료
[미술과]미술교과평가(미술교육평가)의 의의, 목표와 상관관계, 미술교과평가(미술교육평가)...
중학교(중등) 미술교육(미술과)의 제6차와 제7차교육과정 내용체계, 중학교(중등) 미술교육(...
[중학교미술과]중등(중학교) 미술과(미술교육)의 교육실태, 중등(중학교) 미술과(미술교육)의...
[미술과]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의 변천과 개정, 고등학교 미술과(미술교육)의 10학년, 11...
초등학교 3학년 미술과(미술교육)의 성취기준과 실태, 초등학교 3학년 미술과(미술교육)의 내...
[초등학교 조소교육]초등학교 미술과(미술교육) 조소지도(조소교육) 특징과 의의, 초등학교 ...
중학교(중등) 미술과(미술교육)의 특성과 목적, 중학교(중등) 미술과(미술교육)의 시간배당, ...
[미술교과서][미술][교과서][미술교육][미술과교육]미술교육의 목표, 미술교육의 역할, 미술...
초등학교 미술과(미술교육)의 교육과정변천, 초등학교 미술과(미술교육) 교육목적, 초등학교 ...
[미술과][미술교육][미술교과서]미술과(미술교육)의 특징, 미술과(미술교육)의 목적, 미술과(...
[그림지도][미술교육][모둠활동][교사역할][유아그림][초등학생그림]그림지도(미술교육) 현황...
[미술사][미술사교육][미술사교육 내용변화][미술사교육 초등학교미술과교육][미술사교육 방...
[미술관][사이버미술관][미술관교육][감상교육]미술관의 의의, 미술관의 접근성, 사이버미술...
[창의적 미술교육]창의적 미술교육 유형, 창의적 미술교육 필요성, 창의적 미술교육 장점, 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