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의의
2.요건
(1)이행기의 도래
(2)채무의 이행의 가능
(3)채무자의 귀책사유
(4)이행하지 않은 것이 위법할것
3.이행지체의 효과
(1)이행강제
(2)손해배상
(3)책임가중
(4)계약해제
2.요건
(1)이행기의 도래
(2)채무의 이행의 가능
(3)채무자의 귀책사유
(4)이행하지 않은 것이 위법할것
3.이행지체의 효과
(1)이행강제
(2)손해배상
(3)책임가중
(4)계약해제
본문내용
수 있다.
(3)책임가중(392)
채무자가 이행지체에 빠진 경우 불가항력적인 사유에 의하여 이행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하더라도 이에 관한 책임을 진다. 즉 채무자는 이행기 후의 불가항력으로 대항할 수 없다. 이행지체중 채무자는 불가항력에 의한 손해에 대하여도 책임을 지나, 채무자가 이행기에 이행하여도 채권자가 손해를 면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392조단서).
(4)계약해제권(544조,545조,551조)
채권자는 이행지체를 이유로 계약을 해제할 수 있는데 계약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계약을 체결한 사실, 채무불이행이 있었던 사실, 상당한 기간을 정하여 이행을 최고한 사실, 해제의 의사표시가 상대방에게 도달한 사실등을 주장, 입증하여 해제할 수 있으며 해제는 손해배상의 청구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3)책임가중(392)
채무자가 이행지체에 빠진 경우 불가항력적인 사유에 의하여 이행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하더라도 이에 관한 책임을 진다. 즉 채무자는 이행기 후의 불가항력으로 대항할 수 없다. 이행지체중 채무자는 불가항력에 의한 손해에 대하여도 책임을 지나, 채무자가 이행기에 이행하여도 채권자가 손해를 면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392조단서).
(4)계약해제권(544조,545조,551조)
채권자는 이행지체를 이유로 계약을 해제할 수 있는데 계약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계약을 체결한 사실, 채무불이행이 있었던 사실, 상당한 기간을 정하여 이행을 최고한 사실, 해제의 의사표시가 상대방에게 도달한 사실등을 주장, 입증하여 해제할 수 있으며 해제는 손해배상의 청구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추천자료
채무불이행의 위법성과 비진의의사표시 사례
비쌍무계약에서 인정되는 동시이행항변권
로마법상의 과실(culpa)개념- culpa의 개념의 성립과 분화과정 및 우리민법과의 비교 -
민법 한글법전
민법조문
민법총칙 핵심 서브 요약 정리
[장애인고용][장애인취업]장애인고용 관련 법률, 장애인권리의 보장, 장애인고용의 필요성, ...
민법용어정리
임대차에서 토지임차인의 지상물매수청구권 (민법)
본인과 대리인의 관계에 대한 법적 연구 (민법)
민법 중요어문 조합
[정부계약][정부계약의 종류][정부계약의 내용][정부계약의 지체][정부계약의 해지][정부계약...
법정해제권의 발생에 관한 판례 검토 (민법)
계약의 해제에 대한 판례 검토 (민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