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법정해제권의 발생에 관한 판례 검토 (민법)
1. 이행지체로 인한 해제권의 발생
2. 이행불능으로 인한 해제권의 발생(§546) : 최고없이 해제
3. 불완전 이행으로 인한 해제권의 발생
4. 채권자 지체로 인한 해제권의 발생
5. 사정변경으로 인한 해제권 발생
1. 이행지체로 인한 해제권의 발생
2. 이행불능으로 인한 해제권의 발생(§546) : 최고없이 해제
3. 불완전 이행으로 인한 해제권의 발생
4. 채권자 지체로 인한 해제권의 발생
5. 사정변경으로 인한 해제권 발생
본문내용
수령을 최고하고 해제(다수설)
5. 사정변경으로 인한 해제권 발생
1) 통설 : 긍정, 최고없이 해제가능
2) 판례 : 부정
- 주요 판례
<사정변경으로 인한 해제권 발생여부>
매매계약을 맺은 때와 그 잔대금을 지급할 때와의 사이에 장구한 시일이 지나서 그 동안에 화폐가치의 변동이 극심하였던 탓으로 매수인이 애초에 계약할 당시의 금액표시대로 잔대금을 제공한다면 그 동안에 폭등한 매매 목적물의 가격에 비하여 그것이 현저하게 균형을 잃은 이행이 되는 경우라 할지라도 민법상 매도인으로 하여금 사정변경의 원리를 내세워서 그 매매계약을 해제할 수 있는 권리는 생기지 않는다. (大判 1963. 9. 12. 63다452)
<부수적 주의의무 위반의 경우 해제권 발생여부>
1. 계약본래의 목적은 이미 달성되었고 부수적 채무의 이행만이 지체중에 있는 경우에는 그 불이행으로 인하여 채권자가 계약을 달성할 수 없는 경우 또는 특별한 약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원칙적으로 계약 전체의 해제를 허용할 수 없다고 해석함이 상당하다.(大判 1968. 11. 5. 68다1808)
2. 여러 필지의 토지를 매매함에 있어 그중 일 필지상에 있는 분묘 2기의 이장을 담보하기 위하여 매수인이 잔금중 일부를 따로 보관하였다가 이장을 확인한 후 이를 지급키로 약정한 경우에는 매도인의 분묘 이장 의무나 매수인의 위 잔금 일부 지급의무는 모두 위 매매에 따른 부수적인 사항이라 할 것인바 매매 당사자 일방은 상대방의 위와 같은 부수적인 사항에 대한 의무위반을 이유로 그 계약 전체를 해제할 수는 없다. (大判 1976. 4. 27. 74다2151)
5. 사정변경으로 인한 해제권 발생
1) 통설 : 긍정, 최고없이 해제가능
2) 판례 : 부정
- 주요 판례
<사정변경으로 인한 해제권 발생여부>
매매계약을 맺은 때와 그 잔대금을 지급할 때와의 사이에 장구한 시일이 지나서 그 동안에 화폐가치의 변동이 극심하였던 탓으로 매수인이 애초에 계약할 당시의 금액표시대로 잔대금을 제공한다면 그 동안에 폭등한 매매 목적물의 가격에 비하여 그것이 현저하게 균형을 잃은 이행이 되는 경우라 할지라도 민법상 매도인으로 하여금 사정변경의 원리를 내세워서 그 매매계약을 해제할 수 있는 권리는 생기지 않는다. (大判 1963. 9. 12. 63다452)
<부수적 주의의무 위반의 경우 해제권 발생여부>
1. 계약본래의 목적은 이미 달성되었고 부수적 채무의 이행만이 지체중에 있는 경우에는 그 불이행으로 인하여 채권자가 계약을 달성할 수 없는 경우 또는 특별한 약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원칙적으로 계약 전체의 해제를 허용할 수 없다고 해석함이 상당하다.(大判 1968. 11. 5. 68다1808)
2. 여러 필지의 토지를 매매함에 있어 그중 일 필지상에 있는 분묘 2기의 이장을 담보하기 위하여 매수인이 잔금중 일부를 따로 보관하였다가 이장을 확인한 후 이를 지급키로 약정한 경우에는 매도인의 분묘 이장 의무나 매수인의 위 잔금 일부 지급의무는 모두 위 매매에 따른 부수적인 사항이라 할 것인바 매매 당사자 일방은 상대방의 위와 같은 부수적인 사항에 대한 의무위반을 이유로 그 계약 전체를 해제할 수는 없다. (大判 1976. 4. 27. 74다2151)
추천자료
근로계약 체결시 근로자 보호
항변에 관해서
부동산에스크로제도의 정착방안과 재건축아파트, 주상복합건물의 장단점
법학개론
행정 행위의 부관
근로계약 체결시 근로자 보호
손해배상액 산정 기준결정의 법경제학적 접근과 손해배상책임 범위산정의 최근판례
본인과 대리인의 관계에 대한 법적 연구 (민법)
민법상 법률행위의 종류에 대하여
민법상 법률행위 착오의 효과 및 적용범위
에스크로 제도의 정착방안
물권법 용어와 개념
[재판청구권, 재판청구권 분류, 재판청구권 소권성, 재판청구권 절차, 재판청구권 효력]재판...
생활법률과제(등장인물의 법률행위에 관한 문제의 답을 교재와 TV강의의 제1부(가정생활과 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