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의 뒤를 이어 코무로 사단의 자존심을 지켜가고 있는 鈴木あみ(스즈끼 아미) 등이 우타다 히까루의 뒤를 이어 99년도를 대표하는 여성 아티스트들이다. 이와 같은 여성 아티스트들의 맹활약과 함께 여성만으로 구성된 떼거리(?) 그룹 モ-ニング娘(모닝구 무스메)등도 엄청난 인기를 구가한다.
이와 같은 새로운 장르의 대두와 여성 아티스트들의 눈에 띄는 활약 속에서도 이 해에는 한가지 집고 넘어가야 할 재미있는(?) 사건이 있었다. 사건이라는 것은 다름이 아니라 [だんご3兄弟(당고 3형제)]라고 하는 어린이용 노래가 브라운관을 타고 역대사상 최고의 싱글판매량으로 공전의 히트를 기록한 일이었다. 수십 년간 수많은 발전과 변모를 거듭해온 J-POP의 그 화려한 역사 속에서 결국 세기말을 맞으며 정상의 권좌를 장식한 음악은 다름 아닌 동요(?)였다. 진정한 대중음악의 의미를 다시 한번 곰곰이 생각해 보게 하는 세기말 마지막 사건이었다.
지금까지 일본의 음악과 그 음악을 주도한 음악 산업에 대해서 간략하게나마 알아보았다. 일본음악 산업과 우리나라 음악 산업과는 많은 차이를 보이는데 그 차이중 하나다 기획사의 스카웃의 차이이다. 우리나라 댄스팀의 대부분은 기획사에서 말그대로 계획적으로 만들어져 교육을 받은후에 공중파를 타고 데뷔하는 식이다. 하지만 일본의 산업은 확연히 다르다. 우선 일본은 지역지역에서 활동하는 밴드들이나 댄스팀을 기획사에서 눈여겨본다. 그리고 그들의 무대를 면밀히 관찰한후 스카웃하는 것이다. 이때 그 지역의 인지도도 중요 체크사항이된다. 그들은 기획사의 눈에 들기위해 피나게 노력하게 되는 것이다. 또 그들과 우리의 차이중 음악인의 차이를 들어본다면 위에서 설명한 타이업이 그것이다. 우리나라의 음악인들은 만화영화 주제곡을 부른다는 것에 대해 그다지 좋지 않은 생각을 가지고 있다. 많이 좋아지기는 하였으나 아직도 만화영화는 만화영화일 뿐이라는 생각에서 나오는지 싶다. 드라마나 CM 은 많이 참여하고는 있지만 그 수준도 미비한 수준일 뿐이다. 하지만 일본 음악인들은 우리와는 전혀 생각이 다르다. 그들은 자신의 곡이 만화영화에 쓰여지는 것을 전혀 거리낌 없이 생각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이젠 일본의 음악 시장에 못지 않은 규모를 가지고 있다. 세계에서도 동남아시아 시장 = 일본, 이라는 등식에서 한국이라는 시장으로 눈을 돌린지 오래이다. 이제는 우리도 좀더 나은 문화와 거기에 많는 산업으로 대응해 가야하지 않을까?
이와 같은 새로운 장르의 대두와 여성 아티스트들의 눈에 띄는 활약 속에서도 이 해에는 한가지 집고 넘어가야 할 재미있는(?) 사건이 있었다. 사건이라는 것은 다름이 아니라 [だんご3兄弟(당고 3형제)]라고 하는 어린이용 노래가 브라운관을 타고 역대사상 최고의 싱글판매량으로 공전의 히트를 기록한 일이었다. 수십 년간 수많은 발전과 변모를 거듭해온 J-POP의 그 화려한 역사 속에서 결국 세기말을 맞으며 정상의 권좌를 장식한 음악은 다름 아닌 동요(?)였다. 진정한 대중음악의 의미를 다시 한번 곰곰이 생각해 보게 하는 세기말 마지막 사건이었다.
지금까지 일본의 음악과 그 음악을 주도한 음악 산업에 대해서 간략하게나마 알아보았다. 일본음악 산업과 우리나라 음악 산업과는 많은 차이를 보이는데 그 차이중 하나다 기획사의 스카웃의 차이이다. 우리나라 댄스팀의 대부분은 기획사에서 말그대로 계획적으로 만들어져 교육을 받은후에 공중파를 타고 데뷔하는 식이다. 하지만 일본의 산업은 확연히 다르다. 우선 일본은 지역지역에서 활동하는 밴드들이나 댄스팀을 기획사에서 눈여겨본다. 그리고 그들의 무대를 면밀히 관찰한후 스카웃하는 것이다. 이때 그 지역의 인지도도 중요 체크사항이된다. 그들은 기획사의 눈에 들기위해 피나게 노력하게 되는 것이다. 또 그들과 우리의 차이중 음악인의 차이를 들어본다면 위에서 설명한 타이업이 그것이다. 우리나라의 음악인들은 만화영화 주제곡을 부른다는 것에 대해 그다지 좋지 않은 생각을 가지고 있다. 많이 좋아지기는 하였으나 아직도 만화영화는 만화영화일 뿐이라는 생각에서 나오는지 싶다. 드라마나 CM 은 많이 참여하고는 있지만 그 수준도 미비한 수준일 뿐이다. 하지만 일본 음악인들은 우리와는 전혀 생각이 다르다. 그들은 자신의 곡이 만화영화에 쓰여지는 것을 전혀 거리낌 없이 생각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이젠 일본의 음악 시장에 못지 않은 규모를 가지고 있다. 세계에서도 동남아시아 시장 = 일본, 이라는 등식에서 한국이라는 시장으로 눈을 돌린지 오래이다. 이제는 우리도 좀더 나은 문화와 거기에 많는 산업으로 대응해 가야하지 않을까?
추천자료
영화'러브레터'에 나타난 일본문학의 특징
한국 청소년 문화와 일본문화이 수용
[마케팅] SM엔터테인먼트의 아시아시장 진출 분석 - 중국 및 일본 시장을 중심으로
두산주류(두산경월)의 일본시장진출전략과 마케팅분석
겨울연가 텍스트의 해석과 수용을 중심으로 살펴본 일본의 한류 열풍
[드라마분석A+] 겨울연가,후유노 소나타(冬のソナタ) 드라마분석과 일본의 한류열풍
[음악산업][음반산업]음악산업(음반산업)의 역사, 음악산업(음반산업)의 현황, 음악산업(음반...
카라,한류 - 카라(KARA)의 성공적 일본진출을 위한 마케팅 전략 제안
[게이샤][게이샤 정의][게이샤 역사][게이샤와 영화 게이샤의 추억][게이샤와 소설 게이샤][...
상대 - 근세 일본문학
[동양문학의 이해] 일본 - 가부키(카부키)かぶき(歌舞伎(가무기))
영화음악 분석 - 영화 음악의 정의와 작품과 음악 분석
[동아시아 문화] 우리나라의 전통음악소개, 전통음악의 현실과 문제점, 전통음악의 미래연구 ...
대중음악의 역사와 변화과정 및 고찰 (인물로 알아보는 대중음악의 역사, 대중음악의 변화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