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험 목적
2. 방법과 시료
3. 시험 순서
4. 시험 결과의 정리
5. 결과
6. 토론 및 고찰
2. 방법과 시료
3. 시험 순서
4. 시험 결과의 정리
5. 결과
6. 토론 및 고찰
본문내용
s
각 비중병
2.6357
2.5190
⑦
평 균
2.5773
① Ta ℃의 Ww'(g)
No.1 시료: Ww' = Wa' - Wf
= 137.82 - 44.64 = 93.18 (g)
No.2 시료: Ww' = Wa' - Wf
= 141.23 - 42.75 = 98.48 (g)
② Tb℃의 Ww (g)
No.1 시료: Ww(Tb℃) = × Ww'(Ta℃)
= × 93.18
= 93.03 (g)
No.2 시료: Ww(Tb℃) = × Ww'(Ta℃)
= × 98.48
= 98.33 (g)
③ Tb의 ‘병+물’ Wa (g)
No.1 시료: Wa(Tb℃) = Ww(Tb℃) + Wf
= 93.03 + 44.64 = 137.67 (g)
No.2 시료: Wa(Tb℃) = Ww(Tb℃) + Wf
= 98.33 + 42.75 = 141.08 (g)
④ 수중 무게 (Ws')
No.1 시료: Ws' = Wb -Wa
= 153.17 - 137.67 = 15.5 (g)
No.2 시료: Ws' = Wb -Wa
= 156.14 - 141.08 = 15.06 (g)
⑤ 부력
No.1 시료: Fb‘ = Ws - Ws'
= 25 - 15.5 = 9.5 (g)
No.2 시료: Fb‘ = Ws - Ws'
= 25 - 15.06 = 9.94 (g)
⑥ Tb℃에서의 Gs'
No.1 시료: Gs'==
= =2.523
No.2 시료: Gs'==
= =2.525
⑦ 표준온도(15℃)에서의 Gs
No.1 시료: Gs = × Gs'
= × 2.6316 = 2.6357
No.2 시료: Gs = × Gs'
= × 2.5151 = 2.5190
6. 토론 및 고찰
흙의 비중 두 시험 값이 G1 = 2.6357 G2 = 2.5190 평균값이 G = 2.5773 로 측정되었다.
전형적인 흙의 비중 2.6과 2.9사이의 범위에 속하는데 우리 조는 2.6에 가까이 나왔다.
하지만 두 시료의 값의 차이가 약간 크기 때문에 오차가 났음을 추정할 수 있다.
우선 온도는 실온에서의 온도가 아닌 건조기에서 꺼낸 비중병에 증류수를 넣고 온도를 쟀기
때문에 두 가지 실험의 온도차가 난다. 그리고 끓일 때 기포를 제거한 후에 피크노미터에 물을 주입할 때 공기가 들어 갈 수도 있다는 판단이다.
그리고 깔때기에 흙 25g 담을 때 25g의 중량을 유지하기 힘들었을 것이다.
그래도 두 시료의 평균값이 말로만 듣던 흙의 비중 이론 값과 근접한 결과가 나와서 실험값에 만족한다.
각 비중병
2.6357
2.5190
⑦
평 균
2.5773
① Ta ℃의 Ww'(g)
No.1 시료: Ww' = Wa' - Wf
= 137.82 - 44.64 = 93.18 (g)
No.2 시료: Ww' = Wa' - Wf
= 141.23 - 42.75 = 98.48 (g)
② Tb℃의 Ww (g)
No.1 시료: Ww(Tb℃) = × Ww'(Ta℃)
= × 93.18
= 93.03 (g)
No.2 시료: Ww(Tb℃) = × Ww'(Ta℃)
= × 98.48
= 98.33 (g)
③ Tb의 ‘병+물’ Wa (g)
No.1 시료: Wa(Tb℃) = Ww(Tb℃) + Wf
= 93.03 + 44.64 = 137.67 (g)
No.2 시료: Wa(Tb℃) = Ww(Tb℃) + Wf
= 98.33 + 42.75 = 141.08 (g)
④ 수중 무게 (Ws')
No.1 시료: Ws' = Wb -Wa
= 153.17 - 137.67 = 15.5 (g)
No.2 시료: Ws' = Wb -Wa
= 156.14 - 141.08 = 15.06 (g)
⑤ 부력
No.1 시료: Fb‘ = Ws - Ws'
= 25 - 15.5 = 9.5 (g)
No.2 시료: Fb‘ = Ws - Ws'
= 25 - 15.06 = 9.94 (g)
⑥ Tb℃에서의 Gs'
No.1 시료: Gs'==
= =2.523
No.2 시료: Gs'==
= =2.525
⑦ 표준온도(15℃)에서의 Gs
No.1 시료: Gs = × Gs'
= × 2.6316 = 2.6357
No.2 시료: Gs = × Gs'
= × 2.5151 = 2.5190
6. 토론 및 고찰
흙의 비중 두 시험 값이 G1 = 2.6357 G2 = 2.5190 평균값이 G = 2.5773 로 측정되었다.
전형적인 흙의 비중 2.6과 2.9사이의 범위에 속하는데 우리 조는 2.6에 가까이 나왔다.
하지만 두 시료의 값의 차이가 약간 크기 때문에 오차가 났음을 추정할 수 있다.
우선 온도는 실온에서의 온도가 아닌 건조기에서 꺼낸 비중병에 증류수를 넣고 온도를 쟀기
때문에 두 가지 실험의 온도차가 난다. 그리고 끓일 때 기포를 제거한 후에 피크노미터에 물을 주입할 때 공기가 들어 갈 수도 있다는 판단이다.
그리고 깔때기에 흙 25g 담을 때 25g의 중량을 유지하기 힘들었을 것이다.
그래도 두 시료의 평균값이 말로만 듣던 흙의 비중 이론 값과 근접한 결과가 나와서 실험값에 만족한다.
추천자료
액체의 비중 측정
[일반물리학]15 장 물질의 비중 측정 결과 보고서
[결과 레포트] 비중 및 밀도 측정
천칭에 의한 고체의 비중 측정 결과 레포트
고분자 식별법(비중측정, 연소 상태 관찰)
토목 - 비중 및 흡수량
잔골재 체가름과 시멘트 비중
결과보고서 - 물질의 비중 측정
시멘트 비중 보고서
[물리] (예비) 고체의 비중 측정
물질의 비중 측정
(예비) 물체의 밀도 측정 - 아르키메데스의 원리를 이용하여 물체의 부피와 같은 물의 무게를...
밀도 및 비중 측정.pptx
철근 콘크리트 실험 예비레포트 {배합설계, 골재의 체가름 실험, 슬럼프 실험, 공기량 시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