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고 사전에 조를짠 상태이다. 조별 학습은 산만해 지기 쉬우므로 사전 신호나 약속을 미리 정해 놓으면 더 좋을 것이다. (수업전에 동요를 한곡 선정하여 다같이 부르면서 수업을 준비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교사는 미리 오늘 학습할 내용을 소단원으로 재구성한 종이를 아이들에게 나누어 주고 자율적인 주제 선택을 유도해야 한다. 바느질의쓰임, 바느질 용구의 종류, 바느질 용구의 쓰임새, 바느질 용구ㅗ를 사용할 때의 유의 할 점, 바느질 할 때의 올바른 자세, 천의 종류 등으로 주제를 세분화 시키고 각 주제에 대한 전문가 활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도 교사는 전문가 활동중의 생활규칙을 안내하여 산만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소곤소곤 말해요, 사뿐사뿐 걸어요, 끝까지 열심히 해요 등) 전문가 집단의 활동이 마무리된면 자기 조로 돌아가 잔문가 집단에서 학습한 내용을 전달한다. 이때 중요한 내용만을 학습지에 정리하도록 학습지도 교사가 미리 제시 한다. 그리고 학습한 내용을 조별로 발표하도록 하는데 이때 발표는 매 시간 돌아가면서 할 수 있도록 약속하는 것이 좋다. 학습한 내용을 여러 방법으로 발표하도록 유도한 다음 교사는 부족한 내용을 보충설명 하고 성취도에 대한 조별 보상을 한다. 이때 각 조에 대한 평가를 교사가 직접 할 수 도 있지만 각각의 조에서 발표조에 대한 평가를 하는 방법도 있다. 이 차시의 목표는 다음 실습차시에 필요한 지식 습득으로 다음 학습 방안에 대해 모두가 인식할 수 있어 좋다.
3~6차시는 구상한 용품 손바느질로 만들기인데 협동학습은 이론적인 학습보다는 실습에 활용하기 더 쉽다. 예를 들면 홈질이 무엇인지, 박음질이 무엇인지, 시침질이 무엇인지, 단추달기 등 주제를 세분화 할 수 있고 혼자서는 한꺼번에 이해하기 힘들고 교사가 직접 하나하나 보여줄 수 없는 경우 전문가 집단이 조원에게 직접 그 과정을 보여 줄 수 있어 제2의 교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소단원을 학습할 때 학생들이 두가지 활동을 하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하나는 조단위의 주머니 만들기와 개인별 주머니 만들기를 하는 것이다. 각 전문가 집단에서 마름질, 시침질, 작음질, 단추달기 등을 학습하고 조로 돌아와서 아이들이 그냥 시범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 주머니를 만드는 순서에 맞추어 하나의 주머니를 완성해 가는 것이다. 마름질을 하는 전문가 활동을 한 아이는 직접 마름질을 하는데 개인의 천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조에서 제출할 천으로 하는 것이다. 다음 시침질, 홈질을 같은 천에 이어서 하고 단추도 이어서 단다. 하나의 천으로 주머니가 완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협동학습을 하게 되면 각 조별 만들어진 주머니로 평가도 가능하고 각 활동별 전문가 집단에서의 활동도 조원에게 쉽게 설명할 수 있고 자연스럽게 시범을 보일 수 있다. 이렇게 조별 주머니를 만든 후 개인 주머니 만들기를 하면 한번 처음부터 주머니만들기를 관찰하였으므로 빠르게 다시 확인학습할 수 있고 하면서 잘 안되는 부분은 각 부분을 맡은 전문가아이에게 다시 묻고 학습할 수 있다.
3~6차시는 구상한 용품 손바느질로 만들기인데 협동학습은 이론적인 학습보다는 실습에 활용하기 더 쉽다. 예를 들면 홈질이 무엇인지, 박음질이 무엇인지, 시침질이 무엇인지, 단추달기 등 주제를 세분화 할 수 있고 혼자서는 한꺼번에 이해하기 힘들고 교사가 직접 하나하나 보여줄 수 없는 경우 전문가 집단이 조원에게 직접 그 과정을 보여 줄 수 있어 제2의 교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소단원을 학습할 때 학생들이 두가지 활동을 하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하나는 조단위의 주머니 만들기와 개인별 주머니 만들기를 하는 것이다. 각 전문가 집단에서 마름질, 시침질, 작음질, 단추달기 등을 학습하고 조로 돌아와서 아이들이 그냥 시범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 주머니를 만드는 순서에 맞추어 하나의 주머니를 완성해 가는 것이다. 마름질을 하는 전문가 활동을 한 아이는 직접 마름질을 하는데 개인의 천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조에서 제출할 천으로 하는 것이다. 다음 시침질, 홈질을 같은 천에 이어서 하고 단추도 이어서 단다. 하나의 천으로 주머니가 완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협동학습을 하게 되면 각 조별 만들어진 주머니로 평가도 가능하고 각 활동별 전문가 집단에서의 활동도 조원에게 쉽게 설명할 수 있고 자연스럽게 시범을 보일 수 있다. 이렇게 조별 주머니를 만든 후 개인 주머니 만들기를 하면 한번 처음부터 주머니만들기를 관찰하였으므로 빠르게 다시 확인학습할 수 있고 하면서 잘 안되는 부분은 각 부분을 맡은 전문가아이에게 다시 묻고 학습할 수 있다.
추천자료
교수방법론(강의법,토의법,개별학습,협동학습)
협동학습이란?
협동학습에 대한 이론적 고찰(개념, 필요성, 특징, 효과, 종류)
협동학습과 협동학습을 이용한 사회과 지도안
협동학습(이론과 활용)
협동학습에 대해서.
협동학습에 대한 교수학습 지도안
국어교육(국어과교육) 역할놀이학습과 가치탐구학습, 국어교육(국어과교육) 자기주도적학습, ...
도덕과교육 ICT(정보통신기술)활용학습, 도덕과교육 역할놀이학습, 도덕과교육 신문활용학습(...
사회과교육(수업) 토의학습과 가치수용학습, 사회과교육(수업) 연표학습과 현장체험학습, 사...
사회과교육 탐구학습, 사회과교육 집단탐구학습, 사회과교육 ICT활용학습, 사회과교육 문제해...
[정서교육][체험학습][정서지능][협동학습]정서교육의 의미, 정서교육의 내용, 정서교육과 체...
협동학습에 대해서
영유아교수학습모델에는 개념학습모델, 탐구학습모델, 직접적 교수모델, 협동학습모델 등이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