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오브제의 개념
*오브제의 설립배경
*오브제의 이념
*오브제의 전개양상
1.큐비즘에서의 오브제
2.다다이즘 (Dadaism)에서의 오브제
3.쉬르리얼리즘(Surralism)에서의 오브제
4.팝 아트 (Pop Art)에서의 오브제
5.환경예술에서의 오브제
*오브제의 설립배경
*오브제의 이념
*오브제의 전개양상
1.큐비즘에서의 오브제
2.다다이즘 (Dadaism)에서의 오브제
3.쉬르리얼리즘(Surralism)에서의 오브제
4.팝 아트 (Pop Art)에서의 오브제
5.환경예술에서의 오브제
본문내용
부에 있는 사막에 자신의 표상 개념에 의한 오목자형의 긴 도랑을 팠으며 로버트 스미슨 (Robert Smithson)은 거대한 나선형의 둑을 만드는 작업을 했다.
이들 작업에서 풀, 건초더미 등의 물체들은 다분히 환경적인 것으로 그 오브제들은 그대로의 존재 세계를 드러내 보여 주도록 제시하는 매개체임을 알 수 있다. 즉 보여지는 오브제는 작가의 이상이나 생각의 표출 과정에서 파생되는 것을 중요시 하는 작업은 크리스토의 예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그는 근 25년 동안 실내나 옥외의 물체를 쌓거나 덮어 씌우는 유일한 방법을 고수 했는데, 70년엔 <포장된 해안선)이라는 제목의 작품으로 오스트리아 시드니 근교의 1마일 정도의 해안을 밧줄과 천으로포장했으며 또 1976년 <달리는 울타리>라는 제목의 작업을 하였다. 나일론 천으로 15마일 가량의 계곡을 따라 덮어 씌워서 전체적으로 볼 때 대자연 안에서 숨쉬고 있는 운동감을 느끼게 하기도 했다. 그는 이 과정에서 창조적으로 얻어진 물체만이 아니라 계곡을 메우는 전체과정 즉 땅을 다지고, 주변을 정리하고, 지휘를 하고, 구경하는 것을 비롯한 그 이외의 모든 것이 다 그의 작품이라고 주장함으로써 이 작업에 행동을 같이 하게 되는 일반 사람까지도 오브제의 일부분에 포함 시킨다. 이같은 크리스토의 작품은 대지를 하나의 오브제로 설정하고 그 위에 다른 오브제들을 중첩시켜 새로운 매세지를 전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볼 때 환경예술에 있어서의 오브제는 그 자체의 독립성 보다 작가의 개년을 전달아는 매개체로서, 혹은 상항을 인지하게 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어 진다고 하겠다.
이들 작업에서 풀, 건초더미 등의 물체들은 다분히 환경적인 것으로 그 오브제들은 그대로의 존재 세계를 드러내 보여 주도록 제시하는 매개체임을 알 수 있다. 즉 보여지는 오브제는 작가의 이상이나 생각의 표출 과정에서 파생되는 것을 중요시 하는 작업은 크리스토의 예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그는 근 25년 동안 실내나 옥외의 물체를 쌓거나 덮어 씌우는 유일한 방법을 고수 했는데, 70년엔 <포장된 해안선)이라는 제목의 작품으로 오스트리아 시드니 근교의 1마일 정도의 해안을 밧줄과 천으로포장했으며 또 1976년 <달리는 울타리>라는 제목의 작업을 하였다. 나일론 천으로 15마일 가량의 계곡을 따라 덮어 씌워서 전체적으로 볼 때 대자연 안에서 숨쉬고 있는 운동감을 느끼게 하기도 했다. 그는 이 과정에서 창조적으로 얻어진 물체만이 아니라 계곡을 메우는 전체과정 즉 땅을 다지고, 주변을 정리하고, 지휘를 하고, 구경하는 것을 비롯한 그 이외의 모든 것이 다 그의 작품이라고 주장함으로써 이 작업에 행동을 같이 하게 되는 일반 사람까지도 오브제의 일부분에 포함 시킨다. 이같은 크리스토의 작품은 대지를 하나의 오브제로 설정하고 그 위에 다른 오브제들을 중첩시켜 새로운 매세지를 전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볼 때 환경예술에 있어서의 오브제는 그 자체의 독립성 보다 작가의 개년을 전달아는 매개체로서, 혹은 상항을 인지하게 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어 진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