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역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역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교육사 연구의 목적

2) 다루고자 하는 범주

1.교육에 대한 긴급조치기(1945~1946)

2. 교수요목기(1946~1954)

3. 제1차 교육과정기(1954 - 1963)
1) 이념 및 기본방향
2)편제 및 운영

4. 제2차 교육과정기(1963~1974)

5. 제3차 교육과정기(1973~1981)

6. 제4차 교육과정기 (1981~1987)

7. 제 6차 교육과정

8. 제 7차 교육과정
1. 개정의 기본 방향
2. 학교교과 과정의 편성
3. 수준별 교육과정 도입
4.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편성 운영
5. 특별활동 교육과정의 편성 운영

9. 유치원 교육과정

본문내용

인지 발달, 언어 발달, 신체 발달 및 건강 영 역으로 구분.
연간 교육 일수는 200일, 주당 교육 시간은 18~24시간, 하루 학습 시간은 3~4시간.
두드러진 특징 : 1970년대부터 인지 발달을 강조하는 세계적 추세에 맞추어 인지 발달을 강조한 것.
4) 제3차 유치원 교육과정
▷이념 및 기본 방향
제3차 교육 과정은 그 이전처럼 유치원만 각급 학교와 분리되어 별도로 개정이 이루어 진 것이 아니라, 처음으로 초중등 학교 교육 과정의 개정과 함께 상호 연계성 속에서 이루어 짐.
종래와는 달리 문교부가 교육 전문 연구 기관인 한국 교육 개발원에 교육 과정의 연구 개발을 위탁하여 체계적인 연구에 의해 교육 과정을 개정.
교육 과정의 궁극적인 목적 : 민주복지정의 사회의 건설에 적극적으로 이바지할 수 있는 자주적이고 창의적인 국민을 길러 내는 것.
유치원 교육의 목적 : 유아에게 알맞은 교육 환경을 마련해 주어 전인적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것.
▷편제 및 운영
교육과정의 영역 : 교육 과정은 신체 발달, 정서 발달, 언어 발달, 인지 발달, 사회성 발 달의 5개 발달 영역별로 구성. (이는 제2차 유치원 교육 과정의 사회정서 영역을 둘로 나누어 정서 영역의 내용을 더 강조하고, 신체 발달 및 건강 영역에서 건강 영역을 신체 발달 영역에 포함.)
그 동안 무리했던 연간 교육 일수를 하향 조정하여 기존의 200일에서 180일 이상으로 축 소 조정하였고, 하루 교육 시간도 3~4시간을 기준.
운영 지침 : 융통성 있는 교육 과정 운영 계획, 유원장 및 교육 자료의 확보활용, 다양 한 학습 활동 등을 강조.
발달 영역의 통합적 지도, 개인차와 흥미에 따른 놀이 중심지도, 가정과의 연계를 지도 방법으로 제시, 처음으로 평가에 대한 지침도 제시.
5) 제4차 유치원 교육과정
▷이념 및 기본 방향
교육 목적 : 인격을 완성하고, 자주적 생활 능력과 민주 시민으로서 자질을 갖추어 민주 국가 발전에 봉사하며, 인류 공영의 이상 실현에 기여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었고,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건강한 사람, 자주적인 사람, 창조적인 사람, 도덕적인 사람을 기르는 데 역점을 둠.
구체적인 유치원 교육 과정의 목표 : 건강과 안전에 대한 올바른 생활 습관과 신체의 조 화로운 발달을 도모하고, 다른 사람의 말을 이해하며, 주변 현상에 대한 느낌을 표현할 수 있고, 자부심 및 가족과 이웃을 사랑할 줄 아는 마음씨를 지니게 하는 것.
▷편제 및 운영
교육과정의 영역 : 제3차와 마찬가지로 신체 발달, 언어 발달, 인지 발달, 정서 발달, 사 회성 발달의 5개영역으로 구성.
연간 교육 일수는 180일 이상, 하루 교육 시간은 3시간을 기준.
제 4차 교육과정은 제 3차 교육과정과 마찬가지로 과거에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유아 교육이 발전을 이룩하며 축적해 온 다양한 아동중심 교육 이론들의 장점이 골고루 영향을 미치며 개정이 이루어 짐.
6) 제5차 유치원 교육과정
▷이념 및 기본 방향
1991년 교육법이 개정되어 유치원 입학 연령이 기존의 만 4~5세에서 만 3~5세로 조정되 면서 만 3세 유아의 유치원 입학이 합법화.
제5차 교육 과정이 적용되기 시작하는 1995년부터는 지방 자치제에 의한 교육 자치가 실 시되었기 때문에 그러한 사회적 추세가 교육 과정 개정에 반영 ­ 각각 교육 과정 편성, 운영 지침과 유치원 교육 과정을 마련하여 각 지역의 실정에 맞는 교육을 하도록 함.
제5차 교육 과정은 이전의 교육 과정보다는 한국 사회가 유아 교육 기관에 바라는 요구를 반영하고자 상당히 노력.
(예 - 취업모의 증가에 따른 유치원 종일반 운영을 강조함으로써 사회적 요구를 교육 과정 에 반영, 유아의 발달 특징에 알맞은 읽기쓰기 교육에 관한 지침을 구체적으로 제 시하여 학부모의 요구도 교육 과정에 반영하고자 노력, 교육 현장의 요구를 수용하 기 위하여 교육 과정의 모든 영역에서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사는 지식, 기술, 태도를 익힐 수 있는 사회적 관계와 기본 생활 습관을 강조)
이상적인 인간상 : 건강한 사람, 자주적인 사람, 창의적인 사람, 도덕적인 사람.
교육 과정의 구성의 중점 : 기본 생활 교육의 강조, 유아의 흥미요구개별성의 존중, 놀이 중심 교육, 유아의 전인적 성장 발달 등.]
▷편제 및 운영
교육 과정의 영역 : 제2, 3, 4차 교육 과정이 발달 영역별로 구성되었던 것과 달리 건강 생활, 사회 생활, 표현 생활, 언어 생활, 탐구 생활의 5개 생활 영역으로 구성.
연간 교육 일수는 기존과 같이 180일 기준이며, 하루의 교육 시간과 180분을 기준.
유치원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지침으로 교육 활동의 통합적 운영, 민주적이고 수용적인 활동 분위기의 조성, 균형 있는 일과활동, 실물을 통한 직접 경험, 부모와의 연계 등을 강조.
구체적인 평가의 내용과 방법, 유의점 등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제시.
7)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
▷이념 및 기본 방향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 개정의 기본방향 : ‘21세기의 세계화정보화시대를 주도할 자율 적이고 창의 적인 한국인 육성’으로 설정하고 기초기본 교육의 충실, 자기 주도적 능력 의 신장, 유아중심 교육의 실천, 지역 및 유치원의 자율성 확대에 중점.
추구하는 인간상 : 전인적 성장의 기반 위에 개성을 추구하는 사람, 기초능력을 토대로 창의적인 능력을 발휘하는 사람, 민주 시민 의식을 기초로 공동체의 발전에 공헌하는 사 람 (다면적 인간상 설정)
교육목표 : 건강하게 자랄 수 있는 경험, 기본으로 표현하는 경험과 바르게 언어를 사용 하는 경험, 일상생활의 문제에 대하여 스스로 궁리하는 태도는 갖는데 목표를 둠.
▷편제 및 운영
교육과정의 영역 : 제5차 교육과정과 마찬가지로 건강 생활, 사회생활, 표현생활, 언어생 활, 탐구생활의 5개 생활영역으로 구성.
연간교육일수 180일 이상 하루의 교육시간도 180분을 기준.
개정의 중점 : 학습내용의 정선 및 수준별 적절성을 도모함.
교육 시간 운영의 다양성을 추구함.
기본생활습관 및 협동적인 생활태도를 강조함.
감성 개발 교육을 강조함.
창의성과 정보능력 함양교육을 강화.
세계화에 대비한 전통문화 교육에 충실히 함.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5.07.06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61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