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교육평가의 개념
1) 측정
2) 평가
3) 총평
2.교육평가의 명제
3.교육평가의 기능
4.교육평가의 유형
1)준거지향평가
2) 규준지향평가
3) 집단평가
4) 형성평가
5) 총합평가
1) 측정
2) 평가
3) 총평
2.교육평가의 명제
3.교육평가의 기능
4.교육평가의 유형
1)준거지향평가
2) 규준지향평가
3) 집단평가
4) 형성평가
5) 총합평가
본문내용
경쟁을 통하여 동기유발
단점
첫째, 교수학습이론에 부적절
→ 무엇을 얼마만큼 알고 있는지에 관심을 두지 않기 때문에 교육목표, 교육과정, 교 수방법, 학습 효과 등을 경시
둘째, 참다운 의미에서의 학력평가가 불가능
→ 집단 내에서의 상대적 비교로 성취도가 판정되므로 학습내용을 완전히 이해한 학습 자라도 집단 전체가 우수하다면 학업 성취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
셋째, 과다한 경쟁 심리로 인성교육을 방해
3) 집단평가
정의
교수학습이 시작되기 전에 학습자가 소유하고 있는 특성을 사전에 파악하여 교수의 효율화와 학습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목표 및 계획을 수립하는 데 목적을 둔다.
예) 수업 시간 전에 쪽지검사, 퀴즈, 수업 실시 전에 복습 여부를 묻는 질문
기능
첫째, 학습의 예진적 기능
→ 학습자들의 기번적인 학습 능력, 학습 동기 , 선수 학습의 정도를 확인하여 학습 지도에 이용할 수 있다.
둘째, 학습 실패의 교육 외적 원인의 파악
→ 수업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면서도 학습 실패의 원인이 되고 있는 여러 가지 학 습 장애 요인을 밝히는 것
(장애요인) 신체적요인: 건강 상태의 이상, 운동감각 기능의 장애
정서적 요인: 심리적 갈등
환경적 요인: 물질적 경제적 빈곤, 문화 실조
4) 형성평가
정의
수업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교육행위가 계획한 대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확인
수시로 실시, 교사가 제작한 자작검사나 교육전문 기관에서 제작한 검사 이용
학습자에게 송환효과를 줄며 교육과정이나 수업방법을 개선
기능
첫째, 학습 진행 속도를 조절
둘째, 학습에 대한 강화의 역할
→ 학습목표를 거의 달성하였다는 사실을 학습자가 확인함으로써 뒤에 이어지는 학습 을 용이하게 해주고 학습동기를 유발
셋째, 학습 곤란을 진단하고 교정
넷째, 학습지도 방법의 개선에 이바지
5) 총합평가〓총괄평가
정의
-교수학습이 끝난 다음 교수목표의 달성, 성취여부를 종합적으로 판정하는 평가
-총합평가는 학습자가 도달하도록 의도된 교육목표를 어느 정도 성취하였는지에 관심
-교사 자작검사, 표준화 검사, 작품평가방법
기능
첫째, 학습자들의 성적을 결정
→ 교수의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를 판단하고 결과에 의해 성적을 내고 평점을 주며 서열을 결정 한다
둘째, 학습자들의 미래의 학업 성적을 예측
→ 현재의 학업 성적은 미래의 학업 성적과 높은 상관관계
셋째, 집단간의 성적 비교할 수 있는 정보 제공
넷째, 학습자의 자격을 인정하는 판단의 역할
단점
첫째, 교수학습이론에 부적절
→ 무엇을 얼마만큼 알고 있는지에 관심을 두지 않기 때문에 교육목표, 교육과정, 교 수방법, 학습 효과 등을 경시
둘째, 참다운 의미에서의 학력평가가 불가능
→ 집단 내에서의 상대적 비교로 성취도가 판정되므로 학습내용을 완전히 이해한 학습 자라도 집단 전체가 우수하다면 학업 성취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
셋째, 과다한 경쟁 심리로 인성교육을 방해
3) 집단평가
정의
교수학습이 시작되기 전에 학습자가 소유하고 있는 특성을 사전에 파악하여 교수의 효율화와 학습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목표 및 계획을 수립하는 데 목적을 둔다.
예) 수업 시간 전에 쪽지검사, 퀴즈, 수업 실시 전에 복습 여부를 묻는 질문
기능
첫째, 학습의 예진적 기능
→ 학습자들의 기번적인 학습 능력, 학습 동기 , 선수 학습의 정도를 확인하여 학습 지도에 이용할 수 있다.
둘째, 학습 실패의 교육 외적 원인의 파악
→ 수업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면서도 학습 실패의 원인이 되고 있는 여러 가지 학 습 장애 요인을 밝히는 것
(장애요인) 신체적요인: 건강 상태의 이상, 운동감각 기능의 장애
정서적 요인: 심리적 갈등
환경적 요인: 물질적 경제적 빈곤, 문화 실조
4) 형성평가
정의
수업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교육행위가 계획한 대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확인
수시로 실시, 교사가 제작한 자작검사나 교육전문 기관에서 제작한 검사 이용
학습자에게 송환효과를 줄며 교육과정이나 수업방법을 개선
기능
첫째, 학습 진행 속도를 조절
둘째, 학습에 대한 강화의 역할
→ 학습목표를 거의 달성하였다는 사실을 학습자가 확인함으로써 뒤에 이어지는 학습 을 용이하게 해주고 학습동기를 유발
셋째, 학습 곤란을 진단하고 교정
넷째, 학습지도 방법의 개선에 이바지
5) 총합평가〓총괄평가
정의
-교수학습이 끝난 다음 교수목표의 달성, 성취여부를 종합적으로 판정하는 평가
-총합평가는 학습자가 도달하도록 의도된 교육목표를 어느 정도 성취하였는지에 관심
-교사 자작검사, 표준화 검사, 작품평가방법
기능
첫째, 학습자들의 성적을 결정
→ 교수의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를 판단하고 결과에 의해 성적을 내고 평점을 주며 서열을 결정 한다
둘째, 학습자들의 미래의 학업 성적을 예측
→ 현재의 학업 성적은 미래의 학업 성적과 높은 상관관계
셋째, 집단간의 성적 비교할 수 있는 정보 제공
넷째, 학습자의 자격을 인정하는 판단의 역할
추천자료
전략적 정보기술 활용의 성숙도 모형에 의한 중앙행정기관 평가 사례
수학과교육 측정영역학습지도의 개념, 수학과교육 측정영역학습지도의 의의, 수학과교육 측정...
[온도측정][측정실험][광학식 온도측정][카타온도계][KATA온도계]온도측정과 측정실험, 온도...
[품질측정, 고객만족, 대학도서관, 공공서비스, 서비스고객, 서비스잠재력]고객만족의 품질측...
[브랜드자산측정, 브랜드자산, 마케팅커뮤니케이션, 텔레비전 채널브랜드]브랜드자산측정과 ...
[효과측정]산업교육프로그램의 효과측정, 인터넷비즈니스 활동의 효과측정, 공공서비스의 효...
[유량측정, 유량측정 종류, 유량측정 방법, 유량측정 소요예산, 유량측정과 유량계수산출, 유...
[점도측정, 점도측정과 점도계, 점도측정과 점도실험, 점도측정과 아밀로그래프, 점도측정과 ...
[탄성측정, 탄성측정과 탄성체 봉, 탄성측정과 탄성파, 탄성측정과 탄성률, 탄성계수, 광탄성...
[속도측정, 탄성파 속도측정, 전자 속도측정, 탄환 속도측정, 빛 속도측정, 중력가속도 속도...
[광고효과측정][측정지표][방송광고][인터넷광고][기사식 광고]광고효과측정과 측정지표, 광...
[측정][관광이벤트측정]측정과 관광이벤트측정, 효율성측정, 측정과 연상강도측정, 보건수준...
[측정, 라돈측정, 식물호흡량측정]측정과 라돈측정, 측정과 식물호흡량측정, 측정과 절대연대...
[측정][환경측정][토양측정][토양함수량측정][하천유사량측정][지하수수질측정]측정과 환경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