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체세포 순응 검사도구의 활용과 적용 전략에 관한 고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II. 추체 순응 검사도구

III. 적용 전략

IV. 제 언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확대해서 제공하여 줄 수 없으므로 저시력 학생을 담당하는 특수교사는 저시력 학생의 자각증상을 적절하게 파악해서 독특한 특수교육적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어야 한다(Corn, 2004).
저시력 학생의 수는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를 반영하여 맹학교에 이료과목 교과서를 포함한 저시력 학생용 중고등부 교과서가 공급되고 있다. 또, 시기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도 연구되어 그 기술이 보급되고는 있으나 아직 교사들이 학생들의 시각 능력을 파악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과 보급이 미진하여 현장 교사들이 저시력 학생들의 욕구를 파악하기 곤란하다.
앞으로 이 검사도구가 저시력 학생의 시환경 인지 능력을 파악해서 저시력 학생을 위한 묵자 교재나 기타 읽기 매체의 선정에 도움을 주어 학습환경을 개선하고 일상생활 능력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시각적 환경 수정 방법을 고안하는데 활용되어지기를 기대하며, 관련 연구가 후속되기를 소망한다.
참 고 문 헌
국립특수교육원 (1997). 저시력 학생의 이해와 지도. 안산: 국립특수교육원.
임안수(2002). 시각장애아교육. 대구: 도서출판 해동.
이해균 (2003). 저시력학생용 교재 개발을 위한 적정 확대문자 연구. 특수교육학 연구, 37(4), 123-142.
한국저시력연구회 (2002). 저시력의 이해(3판). 서울: 한국실명예방재단.
Bailey, I. L., Lueck, A. H., Greer, R. B., Tuan, K. M., Bailey, V. M. & Dornbusch, H. G. (2003).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print size and reading in low visio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 Blindness, 97, 325-334.
Barraga, N. C.(1983). Visual handicaps and learning. Austin, TX: Exceptional Resources.
Corn, Anne L., Bell, Jennifer K., Andersen, Erika, Bachofer, Cynthia, Jose, Randall T., Perez, Ana M., (2003). Providing access to the visual environment: a model of low vision services for childre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 Blindness, Vol. 97.
Lueck, Amanda Hall, Bailey, Ian L., Greer, Robert B., Tuan, Kuang Mon, Bailey, Valerie M., Dornbusch, Helen G., (2003). Exploring print-size requirements and reading for students with low visio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 Blindness, Vol. 97, 335-354.
  • 가격7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7.11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68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