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IP주소란?
2. IP주소 구성 및 체계
3. 사설IP주소
※Class IP
4. Domain name ; 도메인 이름
[인터넷 도메인 이름의 부여 원칙]
2. IP주소 구성 및 체계
3. 사설IP주소
※Class IP
4. Domain name ; 도메인 이름
[인터넷 도메인 이름의 부여 원칙]
본문내용
및 소속 국가를 나타내는 도메인 등 보통 4개의 단어를 마침표(.)로 구분하여 표현한 것이 각 호스트 고유의 이름이다. 이것은 호스트의 인터넷 주소(Internet address)와 같은 것으로, 도메인 네임 또는 FQDN(fully qualified domain name)이라고도 한다. 전자 우편(E-mail) 등 인터넷상의 각종 서비스에 사용된다. 예를 들면, 데이콤 천리안의 도메인 네임은 chollian.dacom. co.kr인데, 이 경우 co는 기관의 종류(회사기업체)를, kr는 소속 국명(한국)을 나타낸다. 전자 우편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메인 네임에 추가하여 개인의 ID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ID가 skpark이면 전자 우편 주소는 skpark@ chollian.dacom.co.kr이 된다. 여기에서 @는 앳(at mark)라고 하며 영어의 at을 의미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골뱅이라고 한다. 또 개인용 컴퓨터(PC)로 인터넷에 접속을 설정할 때에 호스트의 도메인 네임에 대응하는 164.124.101.2와 같은 고유 번호인 IP 주소가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도메인 네임 서버에 의한 도메인 네임과 IP 주소의 변환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