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킬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인간 구원을 위하여서는 중보자되시는 그리스도의 도움이 절대적으로 요청된다. 기독론의 특징은 그리스도의 존재와 사역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기독론에서는 그리스도의 이름, 그리스도의 본성, 그리스도의 비하(卑下) 신분 그리스도의 비하 신분에 대하여 개혁파의 일반적 견해는 성육신, 수법(受法), 수난, 사망, 장사의 5단계로 보고 있다. 그러나 개혁파의 일부 학자 및 다른 교파에서는 그리스도의 지옥 강하(降下)를 비하의 최종 단계로 본다. 즉 카톨릭은 장사된 그리스도께서 선조(先祖) 림보에 내려가서 구약의 성도들을 구속하셨다 하고 루터 파는 지옥에 내려가서 흑암 권세에 대한 승리를 선포하셨다고 주장한다(엡4:9;벧전3:18,19;4:4-6;시16:8-10) 그러나 대부분의 개혁파 학자들은 지옥 강하를 ㉠ 겟세마네와 십자가상의 고통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말이거나 ㉡ 장사된 3일 간의 상태를 비유적으로 묘사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 그리스도의 승귀(昇貴) 신분, 그리스도의 직임 등의 내용이 다루어진다.
④구원론 - 그리스도는 인간의 구원을 위해 죽으시고 부활하심으로 객관적이고도 역사적인 구속 사역을 행하셨다. 구원론은 이러한 그리스도의 사역이 성령의 사역을 통하여 성도들 각각에게 적용되는 전과정 성령께서 각 개인에게 구원을 적용시키는 순서에 대하여는 여러 입장이 있다. 크게 카톨릭과 루터파와 알미니안파 그리고 개혁파가 다르고, 같은 계파 안에서도 학자들에 따라 견해를 달리한다. 그런데 개혁파는 인간의 의지나 선행 그리고 공로가 구원의 본질적 요소가 아니며, 구원의 열쇠는 전적으로 하나님만 가지셨다는 입장을 지지한다.
을 기술한다. 구원의 순서라 할 때 그것은 단순한 시각적 순서가 아니라 논리적 순서를 말한다.
구원의 순서에 대한 다양한 견해 가운데 일반적으로 소명, 중생, 신앙과 회개, 칭의, 영화가 공통되고, 성도의 견인, 양자, 성화가 유동적이다. 그러나 여기서는 이러한 모든 것을 포괄해서 다루며, 구원의 순서에 있어서 기초가 되며 전제가 되는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앞서 서술하게 된다. 본서에서는 일반적 견해에 따라 구원의 순서(서정)을 소명, 중생, 회심(회개와 신앙), 칭의, 양자, 성화, 견인, 영화로 다루었다.
구원론에서는 성령과 구원론과의 관계, 구원의 순서, 그리스도와의 연합, 소명, 중생, 회심(회개와 신앙), 칭의, 양자됨, 성화, 성도의 견인, 영화가 다루어지는데 이것은 구원에 있어서의 순서를 의미하기도 한다.
⑤교회론 - 신론에서 구원론까지는 개인의 구원 문제를 다루었으나 교회론은 구원받은 성도들의 모임에 대해서 다룬다. 그리스도는 자신을 희생하여 교회를 세우셨으며(마16:18; 엡5:25) 복음 전파가 교회 조직을 통해 이루어졌고, 오늘날의 성도들이 교회를 통하여 신앙의 성숙을 도모하므로 이 교회 연구에 대한 작업은 큰 가치를 지닌다.
교회론에서는 교회의 개념, 교회의 기원, 교회의 속성, 교회의 표지, 교회의 정치, 교회의 권세와 본질, 은혜의 수단에 관한 내용이 주로 나타난다.
⑥종말론 - 언약의 책인 성경에는 개인의 마지막과 더불어 세상의 종말, 그리고 내세에 일어날 일들이 예언되어 있다. 그러나 성경의 기록은 간략하고 암시적이므로 인간의 모든 궁금증을 충분히 풀어줄 수 없다. 따라서 이 문제를 다룰 때 인간의 억측이 개입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함은 물론 어떤 문제에 대하여는 보류하는 겸손과 여유를 가져야 한다.
종말론은 개인적 종말론, 그리스도의 재림, 천년왕국, 부활, 최후의 심판, 최후의 상태 등에 관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참고도서
Anthony A. Hoekema, Created in God's Image, 류호준 역, 개혁주의 인간론,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0)
Daniel L. Migliore, Faith Seeking Understanding, 장경철 역, 기독교 조직신학 개론,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4)
Doctrines of the christian religion 조직신학개론, 윌리엄 W. 스티븐즈 저, (서울: 침례신학대학출판부 2000)
Herman Bavinck, Magnalia Dei, 김영규 역, 하나님의 큰 일,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2)
Louis Berkhof, Manual of Christian Doctrine, 신복윤 역, 기독교 신학 개론, (서울: 성광문화사, 1996)
Louis Berkhof, Systematic Theology, 권수경, 이상원 역, 벌코프 조직신학(상),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2)
Millard J. Erickson, Christian Theology, 신경수 역, 복음주의 조직신학,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6)
Millard J. Erickson, Christian Theology, 현재규 역, 복음주의 조직신학(중),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7)
Wayne Grudem, Systematic Theology, 노진준 역, 조직신학(상), (서울: 도서출판 은성, 1997)
기독교 조직신학, 이현감 저, (서울: 기독교문사 1987)
설교로 풀어쓴 조직신학, 최한구 저, (서울: 한글출판사 2000)
알기 쉬운 조직 신학, 염명수 저, (서울: 요나 2000)
웨슬레의 조직신학, 한영태 저, (서울: 성광문화사 1993)
조직신학 개론, 이종성 저, (서울: 종로서적, 1984)
조직신학 성경연구, 박상걸 저, (서울: 말씀과만남 1999)
조직신학(하), 황승룡 저,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8)
조직신학논총제5집, 한국조직신학회 저, (서울: 한들 출판사 1997)
조직신학의 이해, 오영석 저,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3)
조직신학입문, 이신건 저,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조직신학 편람1, 김영규 저, (서울: 개혁주의성경연구소, 2000)
차트 조직신학, 이인우, 채천석 저, (서울: 기독교문서 선교회 1999)
챠트로 본 조직신학, 박해경 저, (서울: 아가페문화사 1999)
평신도 조직신학, 임 옥 저 (서울: 할렐루야서원 2000)
기독론에서는 그리스도의 이름, 그리스도의 본성, 그리스도의 비하(卑下) 신분 그리스도의 비하 신분에 대하여 개혁파의 일반적 견해는 성육신, 수법(受法), 수난, 사망, 장사의 5단계로 보고 있다. 그러나 개혁파의 일부 학자 및 다른 교파에서는 그리스도의 지옥 강하(降下)를 비하의 최종 단계로 본다. 즉 카톨릭은 장사된 그리스도께서 선조(先祖) 림보에 내려가서 구약의 성도들을 구속하셨다 하고 루터 파는 지옥에 내려가서 흑암 권세에 대한 승리를 선포하셨다고 주장한다(엡4:9;벧전3:18,19;4:4-6;시16:8-10) 그러나 대부분의 개혁파 학자들은 지옥 강하를 ㉠ 겟세마네와 십자가상의 고통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말이거나 ㉡ 장사된 3일 간의 상태를 비유적으로 묘사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 그리스도의 승귀(昇貴) 신분, 그리스도의 직임 등의 내용이 다루어진다.
④구원론 - 그리스도는 인간의 구원을 위해 죽으시고 부활하심으로 객관적이고도 역사적인 구속 사역을 행하셨다. 구원론은 이러한 그리스도의 사역이 성령의 사역을 통하여 성도들 각각에게 적용되는 전과정 성령께서 각 개인에게 구원을 적용시키는 순서에 대하여는 여러 입장이 있다. 크게 카톨릭과 루터파와 알미니안파 그리고 개혁파가 다르고, 같은 계파 안에서도 학자들에 따라 견해를 달리한다. 그런데 개혁파는 인간의 의지나 선행 그리고 공로가 구원의 본질적 요소가 아니며, 구원의 열쇠는 전적으로 하나님만 가지셨다는 입장을 지지한다.
을 기술한다. 구원의 순서라 할 때 그것은 단순한 시각적 순서가 아니라 논리적 순서를 말한다.
구원의 순서에 대한 다양한 견해 가운데 일반적으로 소명, 중생, 신앙과 회개, 칭의, 영화가 공통되고, 성도의 견인, 양자, 성화가 유동적이다. 그러나 여기서는 이러한 모든 것을 포괄해서 다루며, 구원의 순서에 있어서 기초가 되며 전제가 되는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앞서 서술하게 된다. 본서에서는 일반적 견해에 따라 구원의 순서(서정)을 소명, 중생, 회심(회개와 신앙), 칭의, 양자, 성화, 견인, 영화로 다루었다.
구원론에서는 성령과 구원론과의 관계, 구원의 순서, 그리스도와의 연합, 소명, 중생, 회심(회개와 신앙), 칭의, 양자됨, 성화, 성도의 견인, 영화가 다루어지는데 이것은 구원에 있어서의 순서를 의미하기도 한다.
⑤교회론 - 신론에서 구원론까지는 개인의 구원 문제를 다루었으나 교회론은 구원받은 성도들의 모임에 대해서 다룬다. 그리스도는 자신을 희생하여 교회를 세우셨으며(마16:18; 엡5:25) 복음 전파가 교회 조직을 통해 이루어졌고, 오늘날의 성도들이 교회를 통하여 신앙의 성숙을 도모하므로 이 교회 연구에 대한 작업은 큰 가치를 지닌다.
교회론에서는 교회의 개념, 교회의 기원, 교회의 속성, 교회의 표지, 교회의 정치, 교회의 권세와 본질, 은혜의 수단에 관한 내용이 주로 나타난다.
⑥종말론 - 언약의 책인 성경에는 개인의 마지막과 더불어 세상의 종말, 그리고 내세에 일어날 일들이 예언되어 있다. 그러나 성경의 기록은 간략하고 암시적이므로 인간의 모든 궁금증을 충분히 풀어줄 수 없다. 따라서 이 문제를 다룰 때 인간의 억측이 개입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함은 물론 어떤 문제에 대하여는 보류하는 겸손과 여유를 가져야 한다.
종말론은 개인적 종말론, 그리스도의 재림, 천년왕국, 부활, 최후의 심판, 최후의 상태 등에 관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참고도서
Anthony A. Hoekema, Created in God's Image, 류호준 역, 개혁주의 인간론,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0)
Daniel L. Migliore, Faith Seeking Understanding, 장경철 역, 기독교 조직신학 개론,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4)
Doctrines of the christian religion 조직신학개론, 윌리엄 W. 스티븐즈 저, (서울: 침례신학대학출판부 2000)
Herman Bavinck, Magnalia Dei, 김영규 역, 하나님의 큰 일,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2)
Louis Berkhof, Manual of Christian Doctrine, 신복윤 역, 기독교 신학 개론, (서울: 성광문화사, 1996)
Louis Berkhof, Systematic Theology, 권수경, 이상원 역, 벌코프 조직신학(상),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2)
Millard J. Erickson, Christian Theology, 신경수 역, 복음주의 조직신학,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6)
Millard J. Erickson, Christian Theology, 현재규 역, 복음주의 조직신학(중),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7)
Wayne Grudem, Systematic Theology, 노진준 역, 조직신학(상), (서울: 도서출판 은성, 1997)
기독교 조직신학, 이현감 저, (서울: 기독교문사 1987)
설교로 풀어쓴 조직신학, 최한구 저, (서울: 한글출판사 2000)
알기 쉬운 조직 신학, 염명수 저, (서울: 요나 2000)
웨슬레의 조직신학, 한영태 저, (서울: 성광문화사 1993)
조직신학 개론, 이종성 저, (서울: 종로서적, 1984)
조직신학 성경연구, 박상걸 저, (서울: 말씀과만남 1999)
조직신학(하), 황승룡 저,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8)
조직신학논총제5집, 한국조직신학회 저, (서울: 한들 출판사 1997)
조직신학의 이해, 오영석 저,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3)
조직신학입문, 이신건 저,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조직신학 편람1, 김영규 저, (서울: 개혁주의성경연구소, 2000)
차트 조직신학, 이인우, 채천석 저, (서울: 기독교문서 선교회 1999)
챠트로 본 조직신학, 박해경 저, (서울: 아가페문화사 1999)
평신도 조직신학, 임 옥 저 (서울: 할렐루야서원 2000)
추천자료
생태윤리 신학자 연구
이사야 창조신학 연구
줄기세포 연구,줄기세포의 개념 및 소개,줄기세포 연구의 쟁점,배아 줄기세포 연구 찬반 입장...
신약 바울 신학에서 본 불교 유교 이슬람 비교 연구
[기업위험]기업위험(기업리스크)의 종류, 기업위험(기업리스크)의 중요성, 기업위험(기업리스...
하나님의 계시에 대한 구약적 연구 (앤더슨: 구약신학)(브레바드 S. 차일즈: 구약신학)
집현전- 설립배경,집현전의 기능(고제의 조사, 연구,경연과 서연,편찬 사업,),홍문관의 조직 ...
[조직문화연구의 발전배경] 조직문화의 개념에 영향을 준 연구 (조직체 연구의 관련제학적인 ...
고객만족(CS)의 정의, 고객만족(CS)의 비교이론, 고객만족(CS)의 선행연구, 고객만족(CS)의 ...
[기업 개발][공동기술개발][예절교육프로그램개발][공동기술개발]기업 공동연구개발, 기업 직...
조직관리, 연구조사, 조직규정(사회복지윤리와철학, 조직관리사례, 연구조사평가사례, 조직규...
[간호지도자론2017](1)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리더십 연구를 기초로 하여 자신이 속해 있는 조...
((간호지도자론2017))오하이오 주립대학의 리더십 연구를 기초로 하여 자신이 속해 있는 조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