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주제 설정과 범위
2. 제2이사야의 문서와 역사적 배경
3. 제2이사야의 문학양식 및 40장의 내용분석
1) 이사야 40 55장의 문학적 양식
2) 이사야 40장의 내용 분석 및 문체의 특징
3) 창조에 나타난 문학양식
Ⅱ. 본론: 제2이사야의 출애굽 전승과 창조전승
1. 옛 출애굽의 회고
1) 옛 출애굽의 회고
2) 새 출애굽의 전망과 이스라엘의 창조
3) 창조전승과 구원사
Ⅲ. 결론
1. 주제 설정과 범위
2. 제2이사야의 문서와 역사적 배경
3. 제2이사야의 문학양식 및 40장의 내용분석
1) 이사야 40 55장의 문학적 양식
2) 이사야 40장의 내용 분석 및 문체의 특징
3) 창조에 나타난 문학양식
Ⅱ. 본론: 제2이사야의 출애굽 전승과 창조전승
1. 옛 출애굽의 회고
1) 옛 출애굽의 회고
2) 새 출애굽의 전망과 이스라엘의 창조
3) 창조전승과 구원사
Ⅲ. 결론
본문내용
지혜논쟁(Wisdom bisputation form)이 있음을 인정했다. Melougin, "Deutero-Isaiah and Form Criticism" VT, 21 N.3(1971), p.133.
에서 먼저 야웨의 위대한 창조를 언급하고 있다. 구원에 관한 구원신탁은 이 창조전승(40:12 31)언급 다음에 41:8 13, 14 16, 17 20; 43:1 7, 43:16 21로 계속 등장하고 있으며 그 구원신탁들 중 출애굽 주제를 가진 41:17 20; 43:1 7; 43:16 21에 "창조"동사가 신학적 의미의 강화를 위해서 사용되어 있다. 제2이사야는 이렇게 최초의 우주창조의 독립성을 먼저 인정하고서 최초의 창조가 하나님의 구원 역사의 첫 출발점을 밝혀 보여 주고 있다.
Ⅲ. 결론
바벨론 포로기가 끝날 무렵에 등장한 무명의 예언자 제2이사야는 자기 동포들에게 위로와 해방과 구원의 멧세지를 선포하는 데에 있어서 출애굽 구원사고에서 야웨 하나님이 이룩하실 새 일은 새 출애굽을 전망하도록 하였다. 출애굽의 구원을 기억하는 문맥 속에서 창조 때 나타난 야웨의 위대한 힘을 보여주려고 창조신앙을 포로민들에게 일깨워 주었다. 그래서 출애굽 전승과 창조전승이 병합되어 있고 창조의 구원이 연결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2이사야가 단순히 옛 출애굽을 회고하도록 하는 데에만 만족하지 않고 창조신앙의 회복과 창조신앙의 원동력을 재해석해 줌으로써 구원을 기대하도록 한 창조신앙의 제 강조와 확립이 어떤 문맥에 강조되었으며 어떤 경로를 거쳐 창조전승이 제2이사야에게까지 전승되어 왔는가를 밝혀 보려고 하였다.
제2이사야에 나타난 창조전승 연구의 동향을 보면 von Rad의 전승사적 방법을 받아들이면서 그의 구원사적 입장에 치우친 신학적 방법에 입각하여 창조고리가 구원고리에 예속된 제2차적 기능밖에 안 가지고 있어온 방향으로 연구가 기울어진 것을 발견한다.
그 결과로 창조사상의 독자성이 약화되고 야웨가 창조자임을 믿는 창조신앙의 주체성이 희박하게 나타남을 느끼게 된다.
사실 von Rad의 구약신학적 입장은 창조관이 담겨 있는 창세기 1 11장의 태고사를 아브라함을 기점으로 하는 구원사(Heilsgeschichte)의 서론으로만 보고 구원신앙을 안전하게 하기 위해서 창조신앙을 보완적 수단으로만 해석한 구원사 편견에 빠지고 있다.
그러기에 제2이사야에게 출애굽전승이 있음을 확인하고 또 다른 전승인 창조전승이 있음을 인정하였지만 von Rad는 창조전승을 선택전승에 예속화시킨 그의 6경 신학해석 때문에 제2이사야의 창조신앙의 재강조와 창조자 야웨를 믿는 야웨의 독자성 확립에 공헌한 신학적 공헌을 약화시키고 말았다. 이 논문에서는 제2이사야에 국한해서 그의 창조전승을 이스라엘 역사를 중심한 구원사의 부속으로 보지 말고 제2이사야가 전승받은 창조신앙이 외래적이던 본래적이던 그 창조신앙의 독자성을 발견하여 그것이 어떻게 야웨신앙의 주체성에 의하여 재해석되고 재발견되어 이스라엘 역사창조에 생동성을 주게 되었는가를 출애굽의 전승을 중심으로 밝혀보려고 한 것이다.
참고문헌
■ 국내문헌
김정준, "이스라엘의 신앙과 신학", 서울: 성문학사, 1967.
───,"구약신학의 이해", 서울: 한국신학대학 출판부, 1973.
───, "폰 라드의 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3.
김찬국, "제2이사야의 문학양식에 대한 최근 연구동향", 현대와 신학 제5집, 1969, pp63 88.
김철현, "제2이사야 연구서설", 신학연구 제9집, 한신대, 1965, pp.127 144.
───, "민사소송양식연구", 현대와 신학 3호, 연합신학대학원, 1966, pp.63 88.
문익환, "구속사와 창조사", 신학연구 10집, 한신대, 1967.
■ 국외문헌
Allis, Osward T., The Unity of Isaiah(Philadelphia: The Presbyterian & Reformed Publishing Co., 1950).
Anderson, B.W., Exodus Typology in second Isaiah, in: Israelis Prophetic Heritage(London: SCM Press, 1962), p.180
Childa, B.S., Memory and tradition in Israels(London: SCM Press, 1962), p.58.
Morgenstern, Julian., Deutero-Isaiahs Terminology for universal God, JBL, Vol.62, 1943, pp.269 280.
Muilenburg, J., Isaiah 40 66, 1B, Vol.Ⅴ, p.602.
Smart, J.D., History and Theology in Second Isaiah(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965), p.18.
Smart, J.D., History and Theology in Second Isaiah(Westminster, 1965), p.41.
Stuhlmueller, C., Creative Redemption in Deutero-Isaiah(Rome: Biblical Institute Press, 1970), p.227.
von Rad, G., Old Testament Theology, tr. by D.M.G. Stalker, Ⅰ, Ⅱ(New York, Haper & Row), 1965.
Westermann, C., Forschung am alten Testament(Munchen: Chr. Kaiser Verlag, 1964), p.124.
Westermann, C., Isaiah 40 66, (OTL), tr. by D.M.G. Stalker(London: SCM Press), 1969.
Whitley, Chales F., The Exilic Age(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957)
Young, Edward J., Studies in Isaiah(Grand Rapids: Westminster Bible Eerdmans Publishing Co., 1954).
에서 먼저 야웨의 위대한 창조를 언급하고 있다. 구원에 관한 구원신탁은 이 창조전승(40:12 31)언급 다음에 41:8 13, 14 16, 17 20; 43:1 7, 43:16 21로 계속 등장하고 있으며 그 구원신탁들 중 출애굽 주제를 가진 41:17 20; 43:1 7; 43:16 21에 "창조"동사가 신학적 의미의 강화를 위해서 사용되어 있다. 제2이사야는 이렇게 최초의 우주창조의 독립성을 먼저 인정하고서 최초의 창조가 하나님의 구원 역사의 첫 출발점을 밝혀 보여 주고 있다.
Ⅲ. 결론
바벨론 포로기가 끝날 무렵에 등장한 무명의 예언자 제2이사야는 자기 동포들에게 위로와 해방과 구원의 멧세지를 선포하는 데에 있어서 출애굽 구원사고에서 야웨 하나님이 이룩하실 새 일은 새 출애굽을 전망하도록 하였다. 출애굽의 구원을 기억하는 문맥 속에서 창조 때 나타난 야웨의 위대한 힘을 보여주려고 창조신앙을 포로민들에게 일깨워 주었다. 그래서 출애굽 전승과 창조전승이 병합되어 있고 창조의 구원이 연결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2이사야가 단순히 옛 출애굽을 회고하도록 하는 데에만 만족하지 않고 창조신앙의 회복과 창조신앙의 원동력을 재해석해 줌으로써 구원을 기대하도록 한 창조신앙의 제 강조와 확립이 어떤 문맥에 강조되었으며 어떤 경로를 거쳐 창조전승이 제2이사야에게까지 전승되어 왔는가를 밝혀 보려고 하였다.
제2이사야에 나타난 창조전승 연구의 동향을 보면 von Rad의 전승사적 방법을 받아들이면서 그의 구원사적 입장에 치우친 신학적 방법에 입각하여 창조고리가 구원고리에 예속된 제2차적 기능밖에 안 가지고 있어온 방향으로 연구가 기울어진 것을 발견한다.
그 결과로 창조사상의 독자성이 약화되고 야웨가 창조자임을 믿는 창조신앙의 주체성이 희박하게 나타남을 느끼게 된다.
사실 von Rad의 구약신학적 입장은 창조관이 담겨 있는 창세기 1 11장의 태고사를 아브라함을 기점으로 하는 구원사(Heilsgeschichte)의 서론으로만 보고 구원신앙을 안전하게 하기 위해서 창조신앙을 보완적 수단으로만 해석한 구원사 편견에 빠지고 있다.
그러기에 제2이사야에게 출애굽전승이 있음을 확인하고 또 다른 전승인 창조전승이 있음을 인정하였지만 von Rad는 창조전승을 선택전승에 예속화시킨 그의 6경 신학해석 때문에 제2이사야의 창조신앙의 재강조와 창조자 야웨를 믿는 야웨의 독자성 확립에 공헌한 신학적 공헌을 약화시키고 말았다. 이 논문에서는 제2이사야에 국한해서 그의 창조전승을 이스라엘 역사를 중심한 구원사의 부속으로 보지 말고 제2이사야가 전승받은 창조신앙이 외래적이던 본래적이던 그 창조신앙의 독자성을 발견하여 그것이 어떻게 야웨신앙의 주체성에 의하여 재해석되고 재발견되어 이스라엘 역사창조에 생동성을 주게 되었는가를 출애굽의 전승을 중심으로 밝혀보려고 한 것이다.
참고문헌
■ 국내문헌
김정준, "이스라엘의 신앙과 신학", 서울: 성문학사, 1967.
───,"구약신학의 이해", 서울: 한국신학대학 출판부, 1973.
───, "폰 라드의 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3.
김찬국, "제2이사야의 문학양식에 대한 최근 연구동향", 현대와 신학 제5집, 1969, pp63 88.
김철현, "제2이사야 연구서설", 신학연구 제9집, 한신대, 1965, pp.127 144.
───, "민사소송양식연구", 현대와 신학 3호, 연합신학대학원, 1966, pp.63 88.
문익환, "구속사와 창조사", 신학연구 10집, 한신대, 1967.
■ 국외문헌
Allis, Osward T., The Unity of Isaiah(Philadelphia: The Presbyterian & Reformed Publishing Co., 1950).
Anderson, B.W., Exodus Typology in second Isaiah, in: Israelis Prophetic Heritage(London: SCM Press, 1962), p.180
Childa, B.S., Memory and tradition in Israels(London: SCM Press, 1962), p.58.
Morgenstern, Julian., Deutero-Isaiahs Terminology for universal God, JBL, Vol.62, 1943, pp.269 280.
Muilenburg, J., Isaiah 40 66, 1B, Vol.Ⅴ, p.602.
Smart, J.D., History and Theology in Second Isaiah(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965), p.18.
Smart, J.D., History and Theology in Second Isaiah(Westminster, 1965), p.41.
Stuhlmueller, C., Creative Redemption in Deutero-Isaiah(Rome: Biblical Institute Press, 1970), p.227.
von Rad, G., Old Testament Theology, tr. by D.M.G. Stalker, Ⅰ, Ⅱ(New York, Haper & Row), 1965.
Westermann, C., Forschung am alten Testament(Munchen: Chr. Kaiser Verlag, 1964), p.124.
Westermann, C., Isaiah 40 66, (OTL), tr. by D.M.G. Stalker(London: SCM Press), 1969.
Whitley, Chales F., The Exilic Age(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957)
Young, Edward J., Studies in Isaiah(Grand Rapids: Westminster Bible Eerdmans Publishing Co., 1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