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 브랜드 구축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고용 브랜드에도 마케팅이 필요하다

고용 브랜드 전파 프로세스
● 1단계 : 브랜드에 담길 명확한 컨텐츠 정립
● 2단계 : 내부 구성원을 통한 고용 브랜드 전파
● 3단계 : 대외 홍보를 위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활용

부서간 네트워크를 통해 시너지를 발휘

전사적 직장 이미지 관리 시스템을 구축

본문내용

들 수 있다. 선진 기업들의 경우, 이러한 지표를 기준으로 고용 브랜드의 사후 관리를 철저히 하고 있다. 예를 들어 Southwest Airlines는 연말에 전사적으로 ‘EVP 서베이’를 실시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CUNA Mutual Group은 입사 지원서 건수나 채용 웹 사이트 접속률 등을 체크하고 있는데, 실제로 직장 이미지를 홍보하기 시작하면서 예전에 비해 입사 지원서는 10%, 채용 웹 사이트 접속률은 20% 증가하였다고 한다.
고용 브랜드를 전담하는 책임자를 두는 것도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직장 이미지 관리를 촉진하는 유용한 방안이다. 고용 브랜드는 인사 뿐만 아니라 마케팅 및 홍보 분야와도 상당 부분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이 분야의 전문가가 지속적으로 전사적 관점에서 브랜드 관리를 위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주체와 책임을 분명히 하지 않는다면 인사 부서와 마케팅 부서가 서로 책임을 떠넘기다가 직장 이미지의 지속적 관리가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제 기업 경영의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다. 실업률이 높은 상황에서도 우수 인재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해 기업간 치열한 인재 전쟁이 벌어지는 것이 오늘날의 현실이다. 제품 뿐만 아니라 직장도 시장에 ‘Selling’해야만 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따라서 그 어느 때보다도 직장 ‘Selling’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인사의 전략적 마인드와 마케팅적 관점이 필요하다. 단순히 입사한 사람을 관리하던 관행에서 벗어나 고객 지향 관점에서 회사의 직장 브랜드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인사 제도를 변화시키려는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라 하겠다
  • 가격9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7.24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81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