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행정과 조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1 절 조직의 개념
1. 조직의 중요성
2. 조직의 정의

제 2 절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
1.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의 차이
2. 비공식조직의 기능

제 3 절 계선참모조직

제 4 절 관료제 조직
1. 관료제의 기본 개념
2. 관료제의 특징
3. 관료제의 역기능

제 5 절 학교조직에 대한 대안적 모형
1. 이완체제
2. 조직화된 무질서

본문내용

을 학교에 적용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이미 관료제의 비판에서 보듯이 여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리하여 학교가 다른 조직과 구별되는 독자성과 특수성, 차별성을 추구하려는 관점에서 연구하려는 새로운 입장에서 고전적 조직론과 다른 대안적 모형이 있는데, 이는 이완체제, 조직화된 무질서라는 개념이다.
이완체제 또는 이완결합체제(loosely coupling systems)로 학교를 보는데 크게 기여한 사람은 Weick이다. 학교조직의 특수성은 관료제의 원칙처럼 분업화에 의해서, 권한의 계층관계에 의해서 횡적으로 잘 조정되고, 종적으로 지시·명령계통에 의해서 일사분란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된 조직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와같이 교원의 자율성과 전문성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학교는 각 부서, 과정, 활동 및 개인 등 조직의 구성요소가 단단하게 결합되지 못하고, 조잡하고 느슨하게 연결된 조직이라는 것이다.
2. 조직화된 무질서
조직화된 무질서 또는 무정부상태의 조직(organized anarchies)은 Cohen, March, 그리고 Olsen 등이 개념화한 것이다. 그들은 대학과 같은 조직은 늘 불안정하고, 유동적인 상황이며, 합리적이고 체계적이지 않기 때문에 무정부적이라는 것이다. 그것은 조직의 목표가 불분명하고, 구성원의 참여가 유동적이며, 기술(technology)이 불확실하다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첫째 속성은 목표의 불확실성이다.
둘째, 교육목표의 애매모호성은 그것을 달성하려고 하는 방법, 기술을 또한 불분명하게 한다.
셋째, 참여의 유동성이란 학교 구성원인 교사와 학생 및 학부모의 참여가 유동적이라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핀 바와 같이 학교조직은 늘 불안정하고, 유동적인 상황이기 때문에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의사결정이 어렵다고 보고, 무정부상태에서의 의사결정은 마치 쓰레기통에서 무엇을 선택하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고 하여, 의사결정의 쓰레기통 모형(garbage can model)을 설명하였다. 즉 그들이 비유하는 쓰레기통에는 ⑴문제, ⑵ 해결책, ⑶ 참여자, ⑷ 선택의 기회라는 네 개의 비교적 독립적인 영역이 혼합되어 있다. 이 모형의 기본 특징은 의사결정 과정이 문제에서 시작하여 문제의 해결로 끝나는 것이 조직에서 독립적인 상황의 흐름에 따라 결정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말하자면 학교와 같은 조직에서의 의사결정은 합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보다는 우연히, 주먹구구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8.03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87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