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행정학의 지식기반을 위한 미래와 과제에 대한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행정학의 지식기반을 위한 미래와 과제에 대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 언

II. 지식기반의 특징

III. 교육행정학에서의 지식기반

IV. 교육행정학 지식기반의 반성

V. 교육행정학에서 지식기반의 과제

VI. 결 어

<참고문헌>

본문내용

역으로 교육 일선을 중심으로 생성되고 축적된 교육행정 관련 지식과 정보는 한 차원 더 높은 새로운 교육행정학 관련 지식과 정보를 생성하는 원동력이 되어야 한다. 교육행정학 과련 지식과 정보는 미래 우리 교육행정의 비전을 제공해 주는 자료로 활용되어야 한다. 또 교육행정학 지식이나 정보를 활용하는 집단과 연계하여 이들이 활용하기 위해 요구하는 소위 말하는 “맞춤 연구”를 하여 그 결과를 활용하는 방안도 생각할 수 있다. 예컨대, 일선학교 교장 협의회를 지역 교육청별로 결성하여 이들 협의회에서 필요로 하는 학교경영의 문제를 특정 대학교 연구소나 학회에 요청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 맞춤연구나 컨설팅을 교육행정 전공자들이 제공해 줄 수 있다.
또 지식기반 사회에서는 학교장의 창의적 경영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교육행정학의 새로운 지식과 정보가 일선 학교경영에 활용될 수 있어야 한다. 창의적 학교경영을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다양하고 참신한 아이디어와 학교장의 전문적 식견이 활용되어야 한다.
다섯째, 교육행정학 영역에서 생성되고 축적되고 확산되고 활용되는 지식과 정보는 수시로 평가 되어야 한다. 평가는 교육행정학 관련 지식과 정보의 질을 보장해 줄 뿐만 아니라 결국은 교육행정학의 발전에 기여하게 된다. 따라서 학술지에 실리는 교육행정학 관련 논문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현재 학술진흥재단에서는 여러 학회에서 발행하는 학술지를 평가하여 등재지 여부를 판정하고 있다. 이런 평가 활동 때문에 각 학회에서는 학술지에 실릴 논문을 비교적 엄격하게 평가하고 있지만 이처럼 타의에 의해서가 아니고 자의로 학회지의 질을 높이고 학술지에 실린 논문의 질을 보장하기 위하여 논문 심사 요건을 더 강화해야 한다. 또 번거롭고 귀찮겠지만 현재 대학교육협의회에서 실시하고 있는 학부의 학문 분야별 평가처럼 대학원 평가도 학문 분야별로 실시하여 지식수준을 향상시키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여섯째, 교육행정학의 지식기반을 굳건히 하기위하여 장기적인 전략과 단기적인 전술로 우수한 고급 인적 자원을 확보해야 한다. 교육행정학 관련 지식과 정보는 학문의 전당인 대학과 연구소 그리고 그 속에서 활동하는 교수와 학생 그리고 연구자들에 의하여 대부분 창출된다. 따라서 질 높은 지식과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식과 정보의 생성자인 우수한 인력을 대학으로 유인하고, 이들이 훌륭한 연구 환경에서 학문생활을 할 수 있도록 제도와 풍토를 조성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장기적인 전략과 단기적인 전술이 필요하다. 단기적인 전술로는 대학원 교육을 내실화 하고, 확보된 인력이 학문에만 매진할 수 있도록 장학금 내지 생활비 지원과 같은 지원정책이 뒷받침 되어야 하고, 대학원 졸업 후 일자리가 보장되도록 교육행정 영역을 전문화 시켜야 한다. 장기적인 전략으로는 대학원과정에서 교육행정학 전공을 마친 자에게 교육행정가 자격증이 부여되도록 제도화 되어야 한다. 이는 현금에 우리 교육계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어 있는 교장 자격증이 없이도 교장이 될 수 있게 하자는 움직임과 관련하여 그 대체 방안으로 대학원에서 교육행정을 전공한 자에게 교육행정가 자격증을 부여하고, 이런 자격증을 소지하고 동시에 다른 요건도 갖춘 자에게 교장 공모에 응모자격을 부여하는 방안이다. 또 학교행정실 근무 요건으로 교육행정 자격증을 필수화 할 수도 있다.
VI. 결 어
이 글에서는 지식기반의 특징과 교육행정학에서의 지식기반의 개념, 내용, 교육행정학에서의 지식기반의 반성과 과제를 기술하였다. 지식기반은 전자 정보통신 기술의 활용, 인간의 창의력 중시, 지식 및 정보의 확산과 활용, 노동시장의 변화, 지식인 중심 인적자본 중시 등을 강조하는 특징이 있다. 교육행정학에서의 지식기반을 튼튼히 하기 위하여 풀어야 할 문제가 많으나 접근할 수 있는 대상 또한 넓고도 다양하다. 교육행정학에서의 지식기반은 교육행정학의 지식과 정보를 창출하고, 축적하고, 확산하고, 활용하고, 평가하는데 있다. 따라서 교육행정학에서의 지식기반이 어떻게 창출, 축적, 확산, 활용, 평가되어 왔는지를 반성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해 보았다. 앞으로 우리 학회의 과제는 이번 학술대회에서 여러 각도에서 제시하고 있는 보다 나은 교육행정학의 지식기반을 위한 방안들을 구체적으로 실현하는데 있다.
<참고문헌>
강영삼(2002). “한국교육행정학의 형성과 발전,” 한국교육행정학 연구의 반성과 발전방향 탐색. 2002년도 한국교육행정학회 연차학술대회 발표집. pp. 35-62.
교육부(2000). 지식기반 사회와 교육. 교육부 자료집.
김병찬(2003). “교육행정연구에서의 질적 접근,” 교육행정학연구. 제21권 제2호. pp.
503-526.
김흥주(2000). “교육행정의 지식기반 분석과 그 함의,” 한국교육. 제27권 제 1호.
박종열(2005). “지식기반 사회의 교육행정 패러다임 변화,”한국교육행정학회소식. 제84호. pp.1-6.
신현석(2002). “한국교육행정학의 동향과 과제: 연구내용 측면에 대한 토론.”한국교육행정 학 연구의 반성과 발전방향 탐색. pp. 129134.
유현숙(2000). “지식기반 사회에 부응하는 고등교육체제,”교육행정학연구. 제18권 제4호.
이일용(2002). “한국교육행정학의 동향과 과제: 연구방법 측면,” 한국교육행정학 연구의 반 성과 발전방향 탐색. pp. 151-167.
이종재(2002). “교육행정학의 학문적 이론 수립의 현황과 발전 좌표,” 교육학의 학문적 이 론 수립의 현황과 발전좌표. 2002년도 한국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 115-156.
임연기(2002). “교육행정학의 학문적 특성과 과제,” 한국교육행정학 연구의 반성과 발전방향 탐색. 2002년도 한국교육행정학회 연차학술대회 발표집. pp. 71-93.
정태범(2002). “한국교육행정학연구의 반성과 발전 방향,” 한국교육행정학 연구의 반성과 발전방향 탐색. 2002년도 한국교육행정학회 연차학술대회 발표집. pp. 3-32.
허병기(2002). “교육학연구의 동향과 전망 : 교육행정학 분야,” 한국학술단체연합회, 한국학 술연구의 동향과 전망. 서울: 한국학술단체연합회. pp. 278-296.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0.04.04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62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