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태자교육의 전통과 유교이념
3. 서연제도의 성립과 그 성격
4. 맺음말
2. 태자교육의 전통과 유교이념
3. 서연제도의 성립과 그 성격
4. 맺음말
본문내용
예종 1년(1469) 司經을 司書로 변경함. 譯註 經國大典 주석편, 108쪽, 실록에 司書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사용된 것은 <성종 185 16/11/10(丁巳)>이다.
<표4> 서연과 시강원의 왕별 용어 빈도표
대수
시호
재위시기
기간
서연
시강원
경연
비고
1
태조
1392-1398
7
4
0
13
* 태종 때의 시강원 기사는 실제로는 시강원이라는 단어가 나오지 않으며, 단지 번역·편찬과정에 붙인 기사제목에 시강원으로 적혀있기에 검색된 것일 뿐이다.
<태종 016 08/10/25(己亥)>, <태종 018 09/08/25(甲子)>
조선왕조실록 최초로 시강원기사가 나오는 것은 세조12년 (1466)이다.
2
정종
1399-1400
2
3
0
37
3
태종
1400-1418
18
82
2*
55
4
세종
1418-1449
32
115
0
2,014
5
문종
1450-1452
2
13
0
240
6
단종
1452-1455
3
3
0
73
7
세조
1455-1468
14
60
11
44
8
예종
1468-1469
1
6
3
19
9
성종
1469-1494
25
59
35
4,349
1번 CD 소계 (102년간)
345
51
6,844
10
연산군
1494-1506
12
40
11
831
11
중종
1506-1544
39
122
310
1,757
12
인종
1544-1545
1
9
1
25
13
명종
1545-1567
22
25
98
451
14
선조
1567-1608
41
23
286
448
선조 수정 실록
0
3
131
15
광해군
1608-1623
15
22
110
193
16
인조
1623-1649
27
25
67
245
17
효정
1649-1659
10
36
10
178
18
현종
1659-1674
15
24
16
213
현종 수정 실록
34
27
276
2번 CD 소계 (180년간)
361
939
4,760
19
숙종
1674-1720
46
74
25
355
숙종 보완 실록
7
0
33
20
경종
1720-1724
4
7
1
28
경종 수정 실록
4
3
11
21
영조
1724-1776
52
143
55
349
22
정조
1776-1800
24
58
31
470
23
순조
1800-1834
34
41
28
110
24
헌종
1834-1849
15
2
0
30
25
철종
1849-1863
14
0
0
18
3번 CD 소계 (189년간)
336
143
1,404
총 합계
987
1,133
13,008
<표4> 서연과 시강원의 왕별 용어 빈도표
대수
시호
재위시기
기간
서연
시강원
경연
비고
1
태조
1392-1398
7
4
0
13
* 태종 때의 시강원 기사는 실제로는 시강원이라는 단어가 나오지 않으며, 단지 번역·편찬과정에 붙인 기사제목에 시강원으로 적혀있기에 검색된 것일 뿐이다.
<태종 016 08/10/25(己亥)>, <태종 018 09/08/25(甲子)>
조선왕조실록 최초로 시강원기사가 나오는 것은 세조12년 (1466)이다.
2
정종
1399-1400
2
3
0
37
3
태종
1400-1418
18
82
2*
55
4
세종
1418-1449
32
115
0
2,014
5
문종
1450-1452
2
13
0
240
6
단종
1452-1455
3
3
0
73
7
세조
1455-1468
14
60
11
44
8
예종
1468-1469
1
6
3
19
9
성종
1469-1494
25
59
35
4,349
1번 CD 소계 (102년간)
345
51
6,844
10
연산군
1494-1506
12
40
11
831
11
중종
1506-1544
39
122
310
1,757
12
인종
1544-1545
1
9
1
25
13
명종
1545-1567
22
25
98
451
14
선조
1567-1608
41
23
286
448
선조 수정 실록
0
3
131
15
광해군
1608-1623
15
22
110
193
16
인조
1623-1649
27
25
67
245
17
효정
1649-1659
10
36
10
178
18
현종
1659-1674
15
24
16
213
현종 수정 실록
34
27
276
2번 CD 소계 (180년간)
361
939
4,760
19
숙종
1674-1720
46
74
25
355
숙종 보완 실록
7
0
33
20
경종
1720-1724
4
7
1
28
경종 수정 실록
4
3
11
21
영조
1724-1776
52
143
55
349
22
정조
1776-1800
24
58
31
470
23
순조
1800-1834
34
41
28
110
24
헌종
1834-1849
15
2
0
30
25
철종
1849-1863
14
0
0
18
3번 CD 소계 (189년간)
336
143
1,404
총 합계
987
1,133
13,008
추천자료
정서의 의미와 전통적 정서교육
전통적 지식관과 교육내용관 신 교육사회학
전통적인 수업 vs 매체활용 수업 (국어교육을 중심으로)
IEP(개별화교육계획, 개별화교육프로그램) 일반적지침, IEP(개별화교육계획, 개별화교육프로...
STS학습모형(수업,과학기술사회)의 개념, 특성, 중요성, STS학습모형(수업,과학기술사회)의 ...
한국화교육(한국전통회화지도)의 중요성과 실태, 한국화교육(한국전통회화지도)의 용구, 한국...
[지적전통][지적영역][지적자산][지적교수시스템][지적사고처리어][지적설계][지적자유]사서...
방송교육(TV방송의 교육적 활용)의 유형과 성격, 방송교육(TV방송의 교육적 활용)과 유아교육...
도자공예수업(도자기공예교육)의 중요성, 도자공예수업(도자기공예교육)의 지도원리, 도자공...
[문식성교육(문식성지도)]문식성교육(문식성지도)의 정의, 문식성교육(문식성지도)의 변천과...
[공기놀이][공기][공기놀이 기원][공기놀이 규칙]공기놀이의 기원, 공기놀이의 규칙, 공기놀...
저소득층 아동의 방과 후 시간을 알차게 보내기 위한 전통악기 교육 프로그램 - 방화초등학교...
[국어교육] 전통 율격 교육의 난맥상 _ 음보율의 이론적 타당성, 7·5조와 3음보의 관계, 7·5...
한국의 전통적인 교육문화를 분류하고 그 특징을 기술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