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자원회수시설과 연계되는 열병합발전
2.열병합발전 개론
3.지역냉난방과 열병합발전
3-1. 지역냉난방 개론
3-2. 지역냉난방의 열병합발전 시스템 이용
4.열병합발전과 환경
4-1. 열병합 발전과 대기오염
4-2. 해결에 대한 시도
4-2-1.디젤엔진과 가스엔진 NO2의 저감법
4-2-2.가스터빈
5.결론
6.참고문헌
자원회수시설과 연계되는 열병합발전
2.열병합발전 개론
3.지역냉난방과 열병합발전
3-1. 지역냉난방 개론
3-2. 지역냉난방의 열병합발전 시스템 이용
4.열병합발전과 환경
4-1. 열병합 발전과 대기오염
4-2. 해결에 대한 시도
4-2-1.디젤엔진과 가스엔진 NO2의 저감법
4-2-2.가스터빈
5.결론
6.참고문헌
본문내용
여 지역주민들에게 이익이 되게 하고 있다. 쓰레기를 소각할 때 나오는 열을 이용한 열병합발전의 장점인 경제적 효율에 대해 생각해보아야한다. 열병합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생길지도 모르는 환경오염에 관하여 제대로 알고 오염에 대한 방지책을 확실히 한다면 혐오시설로만 비춰지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자원회수시설(쓰레기소각장)과 열병합발전소등의 부지를 허용한 지역에는 여러 가지 우대제도를 도입하여야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열병합발전이 탁월한 에너지 효율을 보인다고 해도 자원회수시설(쓰레기소각장)의 소각열로 이용될 경우 쓰레기 소각장 폐열 이용이 저조하게되면 난방가격은 오르게 될 수 밖에 없다. 열병합발전소에 연계되는 쓰레기 소각장은 인근 주민들이 타 지역 쓰레기 반입을 반대해 가동률이 30%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소각장의 공동 이용(광역화)을 추진하고 있다. 인근 3~5개 자치구의 쓰레기를 반입해 처리하자는 것이다. 그러나 광역화를 위해서는 우선 소각장 인근 주민대표 등으로 구성된 협의체의 승인을 얻어야 하기 때문에 쉽지 않다. 조선일보 2004/02/07일자
서울시 관계자는 “인근 주민들도 개별적으로는 공동 이용의 필요성은 인정하고 있지만, 작년에 노원 소각장의 다이옥신 배출농도 조작 논란 등이 터지면서 답보상태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환경오염 물질에 대한 조작 보고 등은 지역주민들의 불안을 더욱 크게 할 뿐이다.
지역난방과 연계된 대형열병합발전에 대해 논의를 전개해왔지만 소형열병합발전도 그 에너지 효율에 있어 두드러지기 때문에 간과해서는 안된다. 현행 국내의 관련법규에는 소형열병합발전에 관한개념은 거의 없고 대형열병합발전(공업단지 열병합이나 지역난방 등)을 위해 규정된 법규가 대부분이다. 국내는 규제의 편리성을 위해 대도시에 가스이외의 연료사용을 금지하는 방법으로 규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현재의 경제적, 기술적 여건에서 나름대로의 경제성이 있는 디젤 열병합발전의 보급을 제한하게되어 소형열병합발전의 보급이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는 요인으로 작용된다. 일본의 경우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대기오염방지장치의 개발로 인해 동경같은 대도시에서도 디젤 열병합발전이 주종을 이루며 보급되고 있다. 김정호 외, 소형 열병합 발전 시스템 최적화 연구에 관한 최종보고서, 통상 산업부, 1996, p.454
일본의 경우를 우리와 비교하여 관련법규나 금융·세제지원에 대한 비교와 검토를 통해 소형열병합발전시스템의 보급환경에 대한 문제점 과 개선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겠다.
6.참고문헌
김진천, 열병합 발전 핸드북(Cogeneration Handbook),1994.
김정호 외, 소형열병합발전시스템 최적화 연구에 관한 최종보고서,1996.
양영재 외, 공업단지 열병합 발전도입에 의한 에너지 이용 효율화, 1991.
참고 싸이트
집단에너지사업단 (www.massenergy.co.kr)
한국전력공사 ( www.kepco )
한국열병합발전협회(사)( www.kcga.or.kr )
한국지역난방공사 (www.kdhc.co.kr )
열병합발전이 탁월한 에너지 효율을 보인다고 해도 자원회수시설(쓰레기소각장)의 소각열로 이용될 경우 쓰레기 소각장 폐열 이용이 저조하게되면 난방가격은 오르게 될 수 밖에 없다. 열병합발전소에 연계되는 쓰레기 소각장은 인근 주민들이 타 지역 쓰레기 반입을 반대해 가동률이 30%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소각장의 공동 이용(광역화)을 추진하고 있다. 인근 3~5개 자치구의 쓰레기를 반입해 처리하자는 것이다. 그러나 광역화를 위해서는 우선 소각장 인근 주민대표 등으로 구성된 협의체의 승인을 얻어야 하기 때문에 쉽지 않다. 조선일보 2004/02/07일자
서울시 관계자는 “인근 주민들도 개별적으로는 공동 이용의 필요성은 인정하고 있지만, 작년에 노원 소각장의 다이옥신 배출농도 조작 논란 등이 터지면서 답보상태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환경오염 물질에 대한 조작 보고 등은 지역주민들의 불안을 더욱 크게 할 뿐이다.
지역난방과 연계된 대형열병합발전에 대해 논의를 전개해왔지만 소형열병합발전도 그 에너지 효율에 있어 두드러지기 때문에 간과해서는 안된다. 현행 국내의 관련법규에는 소형열병합발전에 관한개념은 거의 없고 대형열병합발전(공업단지 열병합이나 지역난방 등)을 위해 규정된 법규가 대부분이다. 국내는 규제의 편리성을 위해 대도시에 가스이외의 연료사용을 금지하는 방법으로 규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현재의 경제적, 기술적 여건에서 나름대로의 경제성이 있는 디젤 열병합발전의 보급을 제한하게되어 소형열병합발전의 보급이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는 요인으로 작용된다. 일본의 경우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대기오염방지장치의 개발로 인해 동경같은 대도시에서도 디젤 열병합발전이 주종을 이루며 보급되고 있다. 김정호 외, 소형 열병합 발전 시스템 최적화 연구에 관한 최종보고서, 통상 산업부, 1996, p.454
일본의 경우를 우리와 비교하여 관련법규나 금융·세제지원에 대한 비교와 검토를 통해 소형열병합발전시스템의 보급환경에 대한 문제점 과 개선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겠다.
6.참고문헌
김진천, 열병합 발전 핸드북(Cogeneration Handbook),1994.
김정호 외, 소형열병합발전시스템 최적화 연구에 관한 최종보고서,1996.
양영재 외, 공업단지 열병합 발전도입에 의한 에너지 이용 효율화, 1991.
참고 싸이트
집단에너지사업단 (www.massenergy.co.kr)
한국전력공사 ( www.kepco )
한국열병합발전협회(사)( www.kcga.or.kr )
한국지역난방공사 (www.kdhc.co.kr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