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절 피아제의 인지 발달
1. 용어 정의
1) 도식(schemes)
2) 동화(assimilation)
3) 조절(accommodation)
4) 평형화(equilibrium)
제 2절 인지발달 단계
1. 감각 운동기 (sensorimotor stage)
1) 반사적 행동 단계(reflex activity) / 출생~1개월
2) 1차적 순환 반응 단계(primary circular reactions) / 1~4개월
3) 2차적 순환 반응 단계(secondary circular reactions) / 4~8개월
4) 2차적 순환 반응의 통합단계(coordinating secondary circular reactions) / 8~12개월
5) 3차적 순환 반응 단계(tertiary secondary circular reactions) / 12~18개월
6) 지적 결합과 표상의 단계(mental combination & representation) / 18~24개월
2. 전조작기(preoperational period)
1) 전 개념기(2세~4세)
(1) 전 개념기에 있는 유아들의 특징
2) 직관적 사고기(4세~7세)
(1) 직관적 사고기에 있는 유아들의 특징
3. 구체적 조작기(concrete operational period)
1) 보존 개념의 획득
2) 분류 및 위계
3) 서열화
4) 자율적 도덕성
5) 전조작기와 구체적 조작기의 비교
4. 형식적 조작기(formal operational period)
1) 조합적 사고(combinational thinking)
2) 가설 - 연역적 사고(hypothetico-deductive thinking)
3) 구체적 조작기와 형식적 조작기의 비교
1. 용어 정의
1) 도식(schemes)
2) 동화(assimilation)
3) 조절(accommodation)
4) 평형화(equilibrium)
제 2절 인지발달 단계
1. 감각 운동기 (sensorimotor stage)
1) 반사적 행동 단계(reflex activity) / 출생~1개월
2) 1차적 순환 반응 단계(primary circular reactions) / 1~4개월
3) 2차적 순환 반응 단계(secondary circular reactions) / 4~8개월
4) 2차적 순환 반응의 통합단계(coordinating secondary circular reactions) / 8~12개월
5) 3차적 순환 반응 단계(tertiary secondary circular reactions) / 12~18개월
6) 지적 결합과 표상의 단계(mental combination & representation) / 18~24개월
2. 전조작기(preoperational period)
1) 전 개념기(2세~4세)
(1) 전 개념기에 있는 유아들의 특징
2) 직관적 사고기(4세~7세)
(1) 직관적 사고기에 있는 유아들의 특징
3. 구체적 조작기(concrete operational period)
1) 보존 개념의 획득
2) 분류 및 위계
3) 서열화
4) 자율적 도덕성
5) 전조작기와 구체적 조작기의 비교
4. 형식적 조작기(formal operational period)
1) 조합적 사고(combinational thinking)
2) 가설 - 연역적 사고(hypothetico-deductive thinking)
3) 구체적 조작기와 형식적 조작기의 비교
본문내용
에서 가역성의 개념은 실린더의 물을 비커에 부으면 다시 똑같은 높이의 물이 된다는 것을 이해하는 반전의 개념과 실린더의 물이 더 높은 것은 밑면이 적기 때문이라는 보상성의 개념을 통해 이루어진다.
4. 형식적 조작기(formal operational period)
아동의 인지 구조가 질적인 변화를 하는 마지막 단계인 형식적 조작기는 11세 이후 시작되어 성인기까지 지속된다. 사춘기가 시작되면서 아동의 사고는 또 한번 중요한 변화를 겪게 된다. 구체적 조작기 아동이 시간적, 공간적으로 바로 현재에 진행되고 있는 사실에 대해서 사고를 하는 반면에 형식적 조작기의 아동은 현실적 세계를 넘어서서 가상적인 가정이나 사태에 대하여 논리적으로 추론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이상 관찰 가능한 것에 얽매여 사고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형식적 조작기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완전한 상징적 추론이 가능하게 되며, 가설을 세우고 그 가설을 체계적으로 검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추상적 개념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 사태를 일반화할 수 있게 된다. 이 단계의 사고는 다음과 같은 세가지 특징으로 구체적 조작기와 구별된다.
1) 조합적 사고(combinational thinking)
피아제와 인헬더는 무체용액의 실험을 통해 형식적 조작기에 있는 아동은 조합적 사고가 가능한 것으로 보고 하였다. 무색 투명한 4가지 액체를 각각 1,2,3,4컵에 담고 g라고 이름 붙여진 다른 작은 컵에도 무색 투명한 액체를 넣은 다음 액체를 혼합하여 노란색이 나오도록 해보라고 지시하였다. 그 중에서 컵1과 3 그리고 g의 혼합에서 노란색의 액체를 만들어 내는데 전조작기나 구체적 조작기의 아동은 단순한 방법이나, 흰트에 따른 방법에 따르다가 포기 하고 마는데 형식적 조작기의 아동은 이 실험과제에서 2액체의 혼합, 3액체의 혼합, 4액체의 혼합, 5액체의 혼합 이라는, 체계적으로 모든 가능성을 생각해 보아 문제를 해결 하였다. 그러므로 노란색 액체를 만들기 위해 처음에는 두 액체만 혼합해 보아 의도했던 결과가 나오지 않으면 다음에 용액 셋을 조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즉 체계를 갖고 가능한 조합을 차례차례 시도하는 것이다.
2) 가설 - 연역적 사고(hypothetico-deductive thinking)
조합적 사고가 가능해지면서 연역적 사고도 가능해진다. 구체적 조작기의 아동이 구체적인 현실에서 출발하여 여러 가지 경험에 의해 일반적 사실에 도달하는 한편, 형식적 조작기에 이르면 일반적인 사실에서 출발하여 특정한 사실에 도착할 수 있게 된다. 즉 “만약 ~ 이면 ~ 이다.”라는 연역적 사고가 가능해 진다. 그 결과를 가정하여 여러 방법 중에서 가장 정확한 것을 시도해 본다. 구체적 조작기의 아동과는 달리 이시기의 아이들은 미래에 대해서 자신이 나아갈 사회에 대한 생각을 하기 시작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그들은 새로 갖춘 인지적 능력에 의해서 새로운 이상향(utopia)의 개념도 갖게 된다. 자유, 정의, 사랑과 같은 추상적 이념들에 대하여 자신들의 사고를 집중할 수 있게 되며, 현재의 실제 사회와는 아주 다른 가상적 사회 (假想的社會)에 대한 꿈을 꾸기도 한다. 그리하여 이 시기에 현실과 동떨어져 꿈이 많은 이상주의자가 되며, 때로는 문제를 일으키는 젊은이가 된다. 그러나 지적 발달의 한 과정이므로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 가능한 것에 대해 체계적으로 추론 할 수 있는 능력은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문제해결 상황에서 다양하게 적용되어 고차적인 사고를 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사고는 과학적인 사고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 정치 종교 철학 등 전 영역에 걸친 이상주의(idealism)로 확장된다. 그러나 모든 청소년과 모든 성인이 매사에 형식적 조작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
현실에 기초한 사고
경험적 귀납적 사고
명제 내 사고
조합적 사고 불가능
가역적 사고 (상보성, 반전의 논리중
택 의존)
가상성에 기초한 사고
가설적 연역적사고
명제 간 사고
조합적 사고 가능
상보성과 반전의 두 개념 다 통합
3) 구체적 조작기와 형식적 조작기의 비교
≪ 참 고 문 헌 ≫
유효순 , 아동발달 , 창지사 1999
이기숙외 3인 공저 , 유아교육개론 , 양서원 2003
이영조연순 공저 , 아동의 세계 , 양서원 1997
서봉연이순성 발달심리학-아동발달- 중앙적성출판사 1983
조복희정옥분 유가효 인간발달-발달심리적 접근- 교문사 1989
이옥형 아동청년 발달 집문당 2002
4. 형식적 조작기(formal operational period)
아동의 인지 구조가 질적인 변화를 하는 마지막 단계인 형식적 조작기는 11세 이후 시작되어 성인기까지 지속된다. 사춘기가 시작되면서 아동의 사고는 또 한번 중요한 변화를 겪게 된다. 구체적 조작기 아동이 시간적, 공간적으로 바로 현재에 진행되고 있는 사실에 대해서 사고를 하는 반면에 형식적 조작기의 아동은 현실적 세계를 넘어서서 가상적인 가정이나 사태에 대하여 논리적으로 추론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이상 관찰 가능한 것에 얽매여 사고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형식적 조작기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완전한 상징적 추론이 가능하게 되며, 가설을 세우고 그 가설을 체계적으로 검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추상적 개념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 사태를 일반화할 수 있게 된다. 이 단계의 사고는 다음과 같은 세가지 특징으로 구체적 조작기와 구별된다.
1) 조합적 사고(combinational thinking)
피아제와 인헬더는 무체용액의 실험을 통해 형식적 조작기에 있는 아동은 조합적 사고가 가능한 것으로 보고 하였다. 무색 투명한 4가지 액체를 각각 1,2,3,4컵에 담고 g라고 이름 붙여진 다른 작은 컵에도 무색 투명한 액체를 넣은 다음 액체를 혼합하여 노란색이 나오도록 해보라고 지시하였다. 그 중에서 컵1과 3 그리고 g의 혼합에서 노란색의 액체를 만들어 내는데 전조작기나 구체적 조작기의 아동은 단순한 방법이나, 흰트에 따른 방법에 따르다가 포기 하고 마는데 형식적 조작기의 아동은 이 실험과제에서 2액체의 혼합, 3액체의 혼합, 4액체의 혼합, 5액체의 혼합 이라는, 체계적으로 모든 가능성을 생각해 보아 문제를 해결 하였다. 그러므로 노란색 액체를 만들기 위해 처음에는 두 액체만 혼합해 보아 의도했던 결과가 나오지 않으면 다음에 용액 셋을 조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즉 체계를 갖고 가능한 조합을 차례차례 시도하는 것이다.
2) 가설 - 연역적 사고(hypothetico-deductive thinking)
조합적 사고가 가능해지면서 연역적 사고도 가능해진다. 구체적 조작기의 아동이 구체적인 현실에서 출발하여 여러 가지 경험에 의해 일반적 사실에 도달하는 한편, 형식적 조작기에 이르면 일반적인 사실에서 출발하여 특정한 사실에 도착할 수 있게 된다. 즉 “만약 ~ 이면 ~ 이다.”라는 연역적 사고가 가능해 진다. 그 결과를 가정하여 여러 방법 중에서 가장 정확한 것을 시도해 본다. 구체적 조작기의 아동과는 달리 이시기의 아이들은 미래에 대해서 자신이 나아갈 사회에 대한 생각을 하기 시작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그들은 새로 갖춘 인지적 능력에 의해서 새로운 이상향(utopia)의 개념도 갖게 된다. 자유, 정의, 사랑과 같은 추상적 이념들에 대하여 자신들의 사고를 집중할 수 있게 되며, 현재의 실제 사회와는 아주 다른 가상적 사회 (假想的社會)에 대한 꿈을 꾸기도 한다. 그리하여 이 시기에 현실과 동떨어져 꿈이 많은 이상주의자가 되며, 때로는 문제를 일으키는 젊은이가 된다. 그러나 지적 발달의 한 과정이므로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 가능한 것에 대해 체계적으로 추론 할 수 있는 능력은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문제해결 상황에서 다양하게 적용되어 고차적인 사고를 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사고는 과학적인 사고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 정치 종교 철학 등 전 영역에 걸친 이상주의(idealism)로 확장된다. 그러나 모든 청소년과 모든 성인이 매사에 형식적 조작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
현실에 기초한 사고
경험적 귀납적 사고
명제 내 사고
조합적 사고 불가능
가역적 사고 (상보성, 반전의 논리중
택 의존)
가상성에 기초한 사고
가설적 연역적사고
명제 간 사고
조합적 사고 가능
상보성과 반전의 두 개념 다 통합
3) 구체적 조작기와 형식적 조작기의 비교
≪ 참 고 문 헌 ≫
유효순 , 아동발달 , 창지사 1999
이기숙외 3인 공저 , 유아교육개론 , 양서원 2003
이영조연순 공저 , 아동의 세계 , 양서원 1997
서봉연이순성 발달심리학-아동발달- 중앙적성출판사 1983
조복희정옥분 유가효 인간발달-발달심리적 접근- 교문사 1989
이옥형 아동청년 발달 집문당 2002
키워드
추천자료
성격발달이론중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조사 정리 및 인지발달이론 선정이유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Piaget의 인지발달 이론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이론-감각...
인간과교육3공통) (1)현대사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이유, (2)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이론] 인지발달이론, 장 피아제 인지발달이론, 발달의 일반적 원리, 피아제 이론 관...
[인지발달이론] 인지발달이론, 장 피아제 인지발달이론, 발달의 일반적 원리, 피아제 이론 관...
피아제(piaget) 인지발달 이론과 영아발달을 비교해 논하시오 (영아기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유아발달]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과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인지이론을 각각 설명하고 각 이...
(A+ 레포트) [인간과 교육]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단계이론에 대해 설명하고, 그 교육적 ...
(A+) [인간과 교육]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단계이론에 대해 설명,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
[인간과교육] 1. 주입식 교육관과 성장식 교육관(자연주의 교육관, 진보주의 교육관, 실존주...
아동발달이론에서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이론과 자신의 아동발달에 대한 관점과 비교 검...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콜버그의 도덕발달이론, 반두라의 사회학...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 피아제의 인지발달개념과 인지발달단계에 대해 설명하시오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의 기본개념과 인지발달단계의 특성을 설명하고 인지발달이론의 한계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