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현상의 이해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자살 현상의 역사적․문화적 배경

2. 자살에 관한 이론

3. 자살연구의 논점들

4. 자살의 인구학적 현황

5. 한국사회의 자살 특징

6. 자살방지전략

7.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자들의 주변 사람들은 심리적인 충격을 받게 되고 자살에 대한 의문과 죄책감, 분노 등의 감정에 시달리게 만들기도 한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연속자살로 이어지기도 한다. 유지단계는 이러한 자살피해자를 대상으로 취하는 특별한 방지 프로그램이다. 대체로 이 프로그램은 자살피해자들이 정상적으로 애도와 사별의 과정을 겪고 이를 극복해 원래의 생활로 돌아가도록 돕기 위해서 개발되었다.
1) 사후예방
사후예방은 자살사건후 취하는 계획된 활동으로 두 가지의 목표가 있다. 첫째는, 자살사건의 여파로 발생하는 자살피해자들의 고통을 최소화하여 이들이 생산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둘째는, 자살을 시도한 자들이 심리적 상처를 치유받고 다시 자살을 시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사후예방의 최우선과제는 자살피해자들이 고인을 마음에서 보내고 자살을 현실로 받아들일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이 목표를 위해서 상담자는 자살피해자들의 부정적 대처기제를 파악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특히 자살피해자들이 정상적인 애도를 하지 못하고 죄책감이나 수치감에 시달린다면 이것을 진정한 감정표현으로 전환하도록 해야 한다.
① 사후예방상담
자살소식을 접한 자살피해자들은 위기에 빠진다. 따라서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후예방상담은 위기상담의 형식을 취한다.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위기상담은 특별히 이들의 감정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한다. 그래서 자살피해자를 위로하는 수준이 아닌, 자살피해자들이 해결하지 못한 혼돈된 감정들을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어야 한다. 이것은 상담자의 공감적 이해가 없이는 불가능하다.
② 심리부검
심리부검은 사망자의 정황을 파악하고 사망유형의 정확도를 높여주며 일반적인 조사과정에서 밝혀지지 안았던 새로운 단서를 제공한다. 그러나 심리부검의 가장 큰 효과는 사후예방이다. 공감적인 평가자는 심리부검을 통해 자살피해자의 정서적인 상태를 파악하고 치료할 수 있다. 특히 학교나 군대 같은 조직체에서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심리부검을 겸한 사후예방을 하면 연속자살을 막고 사기를 회복시킬수 있다.
〈표 15〉사후예방 프로그램
구 분
프 로 그 램
개인적 차원
자살피해자 사후예방상담
자살피해자를 위한 자살징후 인지교육
사후예방으로서의 심리부검
사회적 차원
학교/직장/조직의 사후예방
자살자 가족의 사후예방
사후설명회
정책적 차원
자살원인의 생태학적 분석
자료 : 박상칠 외(1998). 자살 예방할수 있다, p357
2) 사후관리
사후관리는 자살을 시도했거나 자살가능성이 높은 사람들의 자살시도를 방지하는 프로그램이다. 사후관리는 사후예방과 함께 자살방지 스펙트럼 상에서는 유지단계에 속한다. 사후관리의 목표는 자살의 전염성을 막고 자살을 기도한 사람이 다시 원래의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사후관리는 세가지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첫째로, 병원에서 돌아온 자살화자가 다시 자살시도를 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치료해나가야 한다. 만일 이들이 정기적으로 약물을 복용해야 한다면 상담자는 규칙적으로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이들을 상담하여 다시 자살을 생각하고 있지 않은지를 평가하여야 한다.
둘째로, 사회적 차원에서의 관리목표는 이들이 생활하는 공간에서 충분한 사회적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우선 자살환자 주변 사람들에게 그들이 가지고 있는 편견을 없애주고 자살환자가 정서적인 사회적 관계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주지시킨다.
셋째로, 정책적 차원에서는 위의 프로그램들이 잘 운용되어 나갈수 있도록 정책을 체계화하여야 한다. 또한 유지단계에서 나타나는 문제들을 새로운 예방정책의 수립으로 연결시킬수 있어야 한다.
〈표 16〉사후관리 프로그램
구 분
프 로 그 램
개인적 차원
자살환자의 재발방지를 위한 장기적 치료에의 순응여부 확인
정기적 사후 상담치료
재활보조
사회적 차원
재활환경 조성
구성원들에게 주의사항 교육
정책적 차원
자살시도자의 복귀후 관리체계 확립
정서환경을 해치는 요소 파악후 예방대책 마련
자료 : 박상칠 외(1998). 자살 예방할수 있다, p359
7. 결론 및 제언
우리는 이제까지 자살은 자살자 자신만의 책임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는 것을 밝혔다. 그렇다고 자살은 당연히 주변인들의 잘못이라고는 단정지을 수 없다. 자살은 자살자를 둘러싼 외적, 내적 요인들이 서로 다면적으로 작용되어 자살자가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우리가 자살의 문제를 굳이 다루고자 한 이유는 자살이 바로 인간의 힘으로 막을 수 없는 자연재해가 아닌 인재라는 것이다. 인재는 인간의 힘으로 충분히 막을 수 있다. 통계적으로도 보았듯 우리나라는 IMF의 실업자들의 퇴직급여라는 잠복기를 거쳐 더더욱 자살자가 눈에 들어올 정도로 늘어나는 형태이다. 이를 환경적, 사회적, 정책적차원에서 계속하여 지원을 하지 않는다면 앞으로 우리나라의 자살은 개인적인 갈등차원을 떠나서 하나의 유행처럼 번질 수도 있으며, 지금보다 더욱 더 큰 형태의 문제로 우리에게 다가올 것이다.
아무리 우리가 계획을 잘 세운다고 하더라도 인간의 삶에 관심이 없는 사람들은 이를 막을 수 없다. 그렇다면 어느분야보다도 이러한 위기상황을 발견할 수 있는 심리학자들이 이 문제에 대하여 큰 관심을 가져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참고문헌
박상칠, 조용범(1998). 자살, 예방할 수 있다. 서울: 학지사
김시업, 한중경(1998). 아름다운 삶을 위하여. 서울: 예솔
한국정신문화 연구원(1995). 삶 그리고 죽음. 대한교과서
이가림 역(1994). 시지프의 신화(알베르 까뮈 저). 서울: 문예
김시업, 한중경(1999). 청소년 자살 예방할 수 있다. 서울 : 예솔
김충선 역(1995). 자살론(에밀 뒤르켐 저). 서울: 청아
김철수(1984). Emile Drukheim과 자살의 사회학적 관점. 석사학위논문. 경북대
유지원(1969). 자살행위의 사회적 원인. 석사학위논문. 경북대
최승자 역(1987). 자살의 연구(알프레드 알바레즈 저). 서울: 청하
http://www.kyci.or.kr
http://user.chollian.net/~minsunki/index-1.html
http://www.nso.or.kr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5.08.14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96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