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청각장애인의 정의
2. 청각장애의 분류
3. 청각장애의 원인과 예방
4. 청각장애인의 재활
5. 청각장애인과의 에티켓
2. 청각장애의 분류
3. 청각장애의 원인과 예방
4. 청각장애인의 재활
5. 청각장애인과의 에티켓
본문내용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승진이나 보수에서도 차별이 없어야 할 것이다.
5. 청각장애인과의 에티켓
★청각장애란?
소리를 듣는 힘이 약하거나 완전히 들리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소리를 들을 수 없게 되면 말의 억양이나 발음이 고르지 못하게 되고 적절한 훈련을 받지 않고 방치하면 말을 하지 못하게 됩니다. 따라서 청각장애란 '의사소통'의 장애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적당한 '의사소통'의 방법을 사용하여 청각장애인과 일반인이 대화를 할 수 있게 되면 장애는 극복되고 큰 어려움 없이 청각장애인이 함께 일하며 친교를 도모할 수 있습니다.
★청각장애인을 대할 때
대화 방법은 발음은 확실하게 하며 천천히 입 모양을 크게 하여 말하거나(구화), 글을 쓰거나(필답), 그리고 수화를 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 세 가지 방법 중 가장 좋은 방법으로 대화하도록 합시다. 대화할 때는 어색한 감정이나 표정보다는 자연스러운 분위기와 웃는 얼굴로 대합시다. 청각장애인들이 듣지 못한다 하여 함부로 대하거나, 반말을 해서는 안되고 반드시 예의 바르게 대합시다.
★청각장애인이 전화를 부탁해 올 때
청각장애인이 전화를 부탁해 올 경우에는, 그가 원하는 내용을 충분히 파악한 후에 도와줍시다. 청각장애인과 함께 있을 떠 "소리"로 인한 일이 생겼을 경우 건청인이 먼저 행동한 후 반드시 설명해 줍니다.
★청각장애인들과 동석할 때
청각장애인과 동석할 때, 건청인끼리 속삭이며 대화하는 것을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청각장애인과 함께 일할 때
일을 가르치거나, 지시를 할 때에는 눈으로 알아 볼 수 있도록 시범을 보인다든지 글로 써서 설명해야 합니다. 특근이나 야근 등 공지사항은 반드시 게시판이나 글로 미리 알려 주어야 합니다. 함께 근무하는 일반 근로자들 앞에서 청각장애인들이 충고 또는 야단을 맞을 경우, 오해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그 상황을 충분히 설명 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건청인들을 급한 용무가 있거나 친구를 만나고 싶을 때는 전화로써 연락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청각장애인들의 전화 연락이 불가능하므로 교회, 성당 등 그들이 모이는 장소에서 친구들을 만나야 대화할 수 있습니다. 그러기에 특근(휴일근무)은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알아두도록 합시다. 그들은 건청인과 동등하게 대우받기 원하고 자신을 나타낼 수 있는 기회를 갖고 싶어합니다. 그들과 대화가 불편하여 그들의 능력을 쉽사리 이해하기 어렵겠지만 무한한 잠재력이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5. 청각장애인과의 에티켓
★청각장애란?
소리를 듣는 힘이 약하거나 완전히 들리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소리를 들을 수 없게 되면 말의 억양이나 발음이 고르지 못하게 되고 적절한 훈련을 받지 않고 방치하면 말을 하지 못하게 됩니다. 따라서 청각장애란 '의사소통'의 장애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적당한 '의사소통'의 방법을 사용하여 청각장애인과 일반인이 대화를 할 수 있게 되면 장애는 극복되고 큰 어려움 없이 청각장애인이 함께 일하며 친교를 도모할 수 있습니다.
★청각장애인을 대할 때
대화 방법은 발음은 확실하게 하며 천천히 입 모양을 크게 하여 말하거나(구화), 글을 쓰거나(필답), 그리고 수화를 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 세 가지 방법 중 가장 좋은 방법으로 대화하도록 합시다. 대화할 때는 어색한 감정이나 표정보다는 자연스러운 분위기와 웃는 얼굴로 대합시다. 청각장애인들이 듣지 못한다 하여 함부로 대하거나, 반말을 해서는 안되고 반드시 예의 바르게 대합시다.
★청각장애인이 전화를 부탁해 올 때
청각장애인이 전화를 부탁해 올 경우에는, 그가 원하는 내용을 충분히 파악한 후에 도와줍시다. 청각장애인과 함께 있을 떠 "소리"로 인한 일이 생겼을 경우 건청인이 먼저 행동한 후 반드시 설명해 줍니다.
★청각장애인들과 동석할 때
청각장애인과 동석할 때, 건청인끼리 속삭이며 대화하는 것을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청각장애인과 함께 일할 때
일을 가르치거나, 지시를 할 때에는 눈으로 알아 볼 수 있도록 시범을 보인다든지 글로 써서 설명해야 합니다. 특근이나 야근 등 공지사항은 반드시 게시판이나 글로 미리 알려 주어야 합니다. 함께 근무하는 일반 근로자들 앞에서 청각장애인들이 충고 또는 야단을 맞을 경우, 오해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그 상황을 충분히 설명 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건청인들을 급한 용무가 있거나 친구를 만나고 싶을 때는 전화로써 연락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청각장애인들의 전화 연락이 불가능하므로 교회, 성당 등 그들이 모이는 장소에서 친구들을 만나야 대화할 수 있습니다. 그러기에 특근(휴일근무)은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알아두도록 합시다. 그들은 건청인과 동등하게 대우받기 원하고 자신을 나타낼 수 있는 기회를 갖고 싶어합니다. 그들과 대화가 불편하여 그들의 능력을 쉽사리 이해하기 어렵겠지만 무한한 잠재력이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추천자료
청각장애인의 직업재활현황과 발전방향
청각장애인의 전도경로....
청각장애란 무엇인가
청각장애인의 정보화를 위한 장애요인과 극복방안
장애체험보고서(청각장애)
청각장애아동 교육
청각장애인의 정보화 장애요인과 대응방안
청각장애아 교육의 철학
[직업재활]장애인직업재활(직업재활정책, 직업재활서비스, 직업재활서비스전달체계)의 의의, ...
청각장애대상자 간호
[독해력][독해학습][독해력과 어휘력][독해력과 청각장애아동 사례][독해력과 독해훈련프로그...
장애인(청각장애), 수화를 다룬 영화 <시크릿러브> 영화감상문
장애인복지 프로포절, 청각장애청소년 학습능력증진과 사회성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독해력][독해력 신장방법][독해력과 청각장애아동 사례][독해력과 상위인지 관계][책읽기]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