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과 인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소아 당뇨병

Ⅱ.당뇨병 환자의 성생활

Ⅲ. 당뇨병환자의 임신과 출산

Ⅳ.당뇨병환자의 일상생활

본문내용

뇨병은 환자 뿐 아니라 그 가족들의 역할이 병의 조절에 있어 상당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당뇨병 관리를 위해서는 가족의 식사, 생활 스케줄, 레저생활에 변화가 생기게 되고 환자가 제대로 병을 조절하지 못할 경우 이에 대한 죄책감이나 좌절감을 환자 가족이 함께 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가족이 서로 이해하고 용기를 북돋우는 분위기라면 혈당유지는 물론이고 당뇨병으로 인한 가족간에 불편함도 사라질 것입니다. 다음은 당뇨병 환자의 가족들이 알아두어야 할 점입니다.
1. 당뇨병에 대한 교육을 환자 뿐 아니라 가족도 함께 받는 것이 좋습니다.
2. 환자 스스로가 당뇨병 조절에 자신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3. 가족 모두가 당뇨병 환자의 목표를 지지하고 도와주도록 합니다.
4. 당뇨병 환자가 불편해 하거나 힘들어하는 점에 대해 귀기울여 주고 대화해야 합니다.
5. 가족들은 당뇨병의 응급상황에 대한 이해와 대처요령을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당뇨병 환자의 여행>
항상 혈당조절에 대한 강박에 시달리는 당뇨병 환자들의 경우, 집이 아닌 다른 곳에서 식이요법, 약물요법, 운동요법을 병행해야 한다는 것은 그 자체로 여간 부담스러운 일이 아닙니다. 따라서 여행을 할 기회가 와도 쉽사리 마음을 정하지 못하고 포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평소 혈당조절을 잘 하고 있던 사람이라도 여행중이거나 자기 집이 아닌 곳에서는 당뇨병의 관리가 쉽지 않은 것이 사실입니다. 따라서 여행이 계획한 환자는 미리 혈당조절을 잘 하여 몸의 상태를 최상으로 유지해 둘 필요가 있으며 사전에 철저한 준비를 하고 주의를 게을리하지 않도록 합니다.
여행에 계획한 당뇨병 환자가 주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먼저 주치의와 자신의 여행계획에 대해 상담해야 합니다.
2. 주치의에게 처방전을 받아두어 급한 경우, 여행지의 병원에서 재빨리 처방을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3. 약품이나 주사기 등 자신의 상태에 맞는 의료용구나 약을 준비해야 합니다.
4. 만약의 상황을 대비하여 체류지의 병원에 대한 소개장을 준비하면 더욱 좋습니다.
5. 자신에게 편한 신발이나 양말, 의복 등을 넉넉히 준비해 가야 합니다.
6. 귀찮더라도 식사요법이나 운동요법을 빼먹지 않고 합니다.
7. 저혈당 발작에 대비한 준비를 철저히 합니다.
<저혈당에 대한 대책>
약물요법을 하고 있는 사람은 저혈당 발작을 대비한 준비를 해야 합니다. 먹는 즉시 혈당을 높여주는 초콜렛이나 사탕, 음료수 등을 준비하고 비교적 천천히 효과가 나타나는 크래커나 빵 등도 항상 소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또한 동행하는 사람에게도 언제 찾아올지 모르는 저혈당에 대비해 발작시의 증상과 치료법을 사전에 알려주어야 합니다. 만약 동행하는 사람이 없거나 잠시 혼자 다녀올 곳이 있다면 반드시 자신이 당뇨병환자임을 알리는 당뇨카드를 지참해야 합니다. 당뇨카드에는 갑작스럽게 저혈닿 발작이 왔을 경우, 대처하는 요령에 대해 간략하게 적어 만약의 사태에 신속하게 대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8.29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11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