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원인 기생충명
2.지리적 분포와 역학적 특징
3.생활사와 인체로의 감염경로
4.임상증상
5.병리학적 조직 소견
6. 진단법
7.치료와 예방법
2.지리적 분포와 역학적 특징
3.생활사와 인체로의 감염경로
4.임상증상
5.병리학적 조직 소견
6. 진단법
7.치료와 예방법
본문내용
mp) 검사 (20-25x)에서 마이크로필라리아를 검출하여 진단한다. 호산구 증가가 동반된 점을 유의한다
피부자투리생검이란 소독한 핀(pin)을 피부에 얕게 박고 피부를 들어 올린 다음 피부 자투리를 소독한 면도칼로 핀 밑에서 싹뚝 잘라내는 생검법이다. 주로 다리의 피부에서 실시한다. 피부 절편을 30분 이상 생리식염수에 넣고 저배율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마이크로필라리아가 피부에서 기어 나오는 것을 관찰한다.
피부자투리생검을 2-6회 반복해도 마이크로필라리아를 찾지는 못했으나 계속 회선사상충증이 의심되면 위험한 방법이기는 하지만 Mazzotti test를 실시한다. 이 진단법의 원리는 DEC 50mg을 경구 투여하여 회선사상충 마이크로필라리아를 죽이면 환자는 피부염이 악화되면서 30분-24시간 만에 대단히 심하게 가려워 하는 현상을 관찰하는 것이다. 안과 증상이 겹친 환자에서는 쓰지 말아야 한다.
④로아사상충증
로아사상충증은 결막이나 피하를 기어가는 충체를 확인하여 진단하거나 낮에 채취한 혈액에서 마이크로필라리아를 증명하여 진단한다.
7.치료와 예방법
① 반크롭프트 및 말레이 사상충증
- Diethylcarbamazine (DEC)
· 6mg/kg/day 용량으로 12일간 경구투여
· 마이크로필라리아를 죽이며 성충은 일부에만 효과가 있음
· 사상충발열과 림프관염의 재발을 방지하고 림프부종이나 초기 상피병에도 효과가 있음
- 상피병의 치료 : 취침시 하지를 올리는 방법, 압박붕대, 감염방지, 이뇨제의 사용 등으 로 림프부종이나 상피병의 악화를 최대한 지연시킴
② 회선사상충증
- Ivermectin 150mg/kg를 1회 투여하며, 유행지에서는 1-2년에 한 번씩 복용
- Diethylcarbamazine (DEC)은 자충을 너무 빨리 죽여 충체가 있는 각 부위의 염증을 급속히 악화시키므로 사용하지 말아야 함
③ 로아사상충증
- 성충을 병변에서 발견하면 즉시 외과적으로 제거
- Diethylcarbamazine 6mg/kg를 3주간 투여하면 자충은 죽지만 성충에 대한 효과는 불 확실함
자충의 농도가 높을 경우 대량으로 죽으면서 중추신경계 경색을 일으킬 수 있음
- Mebendazole 100-500mg을 매일 3회, 4-6주간 사용하면 성충은 죽지 않으나 자충은 서서히 죽어 중추신경계 합병증이 적게 발생함
예방
- 유행지역으로 알려진 곳을 여행하는 사람들은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
피부자투리생검이란 소독한 핀(pin)을 피부에 얕게 박고 피부를 들어 올린 다음 피부 자투리를 소독한 면도칼로 핀 밑에서 싹뚝 잘라내는 생검법이다. 주로 다리의 피부에서 실시한다. 피부 절편을 30분 이상 생리식염수에 넣고 저배율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마이크로필라리아가 피부에서 기어 나오는 것을 관찰한다.
피부자투리생검을 2-6회 반복해도 마이크로필라리아를 찾지는 못했으나 계속 회선사상충증이 의심되면 위험한 방법이기는 하지만 Mazzotti test를 실시한다. 이 진단법의 원리는 DEC 50mg을 경구 투여하여 회선사상충 마이크로필라리아를 죽이면 환자는 피부염이 악화되면서 30분-24시간 만에 대단히 심하게 가려워 하는 현상을 관찰하는 것이다. 안과 증상이 겹친 환자에서는 쓰지 말아야 한다.
④로아사상충증
로아사상충증은 결막이나 피하를 기어가는 충체를 확인하여 진단하거나 낮에 채취한 혈액에서 마이크로필라리아를 증명하여 진단한다.
7.치료와 예방법
① 반크롭프트 및 말레이 사상충증
- Diethylcarbamazine (DEC)
· 6mg/kg/day 용량으로 12일간 경구투여
· 마이크로필라리아를 죽이며 성충은 일부에만 효과가 있음
· 사상충발열과 림프관염의 재발을 방지하고 림프부종이나 초기 상피병에도 효과가 있음
- 상피병의 치료 : 취침시 하지를 올리는 방법, 압박붕대, 감염방지, 이뇨제의 사용 등으 로 림프부종이나 상피병의 악화를 최대한 지연시킴
② 회선사상충증
- Ivermectin 150mg/kg를 1회 투여하며, 유행지에서는 1-2년에 한 번씩 복용
- Diethylcarbamazine (DEC)은 자충을 너무 빨리 죽여 충체가 있는 각 부위의 염증을 급속히 악화시키므로 사용하지 말아야 함
③ 로아사상충증
- 성충을 병변에서 발견하면 즉시 외과적으로 제거
- Diethylcarbamazine 6mg/kg를 3주간 투여하면 자충은 죽지만 성충에 대한 효과는 불 확실함
자충의 농도가 높을 경우 대량으로 죽으면서 중추신경계 경색을 일으킬 수 있음
- Mebendazole 100-500mg을 매일 3회, 4-6주간 사용하면 성충은 죽지 않으나 자충은 서서히 죽어 중추신경계 합병증이 적게 발생함
예방
- 유행지역으로 알려진 곳을 여행하는 사람들은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
추천자료
운동처방의 중요성 및 질환별 운동처방 - 원동처방의 필요성, 운동처방 : 심장질환, 요통, 고...
[정신장애][정신질환][정신병][정신장애인][이상행동]정신장애의 정의, 정신장애의 종류, 정...
[근골격계직업병]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용어와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사례 및 근골격계질...
[미생물감염, 미생물감염 경로, 치주질환, 미생물, 가족, 박테리아, 바이러스]미생물감염의 ...
[정신장애]정신장애와 정신건강, 정신질환, 정신장애와 만성정신질환, 정신질환자, 정신장애...
[귀, 귀 개념, 귀 구조, 귀 기능, 귀 질환, 외이, 중이, 내이, 달팽이관, 청소골, 청각, 청각...
[눈(안구)]눈(안구) 망막질환, 눈(안구) 시신경질환의 교육적 조치, 눈(안구) 중막질환, 눈(...
[질환별 물리치료]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스트레스] [기초간호과학 공통] 1. 심혈관계 질환, 소화기계 질환 및 면역계 질환의 병태생...
간호학특론4B)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하여 만성질환자와 급성질환자의 건강예방행위를 비교하여...
기초간호과학3공통) 스트레스 질환의 발생요인을 설명하고,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기 쉬운 ...
스트레스 질환의 발생요인과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기 쉬운 질환
[심혈관질환] 심혈관 질환의 정의와 원인 및 증상 - 선천성 심질환, 동맥경화증, 협심증, 심...
[신장질환] 신장 질환의 임상검사 및 영양대사 장애, 신장질환 치료의 식사요법(식이요법)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