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충증(絲狀蟲症 Filariasis)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상충증(絲狀蟲症 Filariasis)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원인 기생충명

2.지리적 분포와 역학적 특징

3.생활사와 인체로의 감염경로

4.임상증상

5.병리학적 조직 소견

6. 진단법

7.치료와 예방법

본문내용

mp) 검사 (20-25x)에서 마이크로필라리아를 검출하여 진단한다. 호산구 증가가 동반된 점을 유의한다
피부자투리생검이란 소독한 핀(pin)을 피부에 얕게 박고 피부를 들어 올린 다음 피부 자투리를 소독한 면도칼로 핀 밑에서 싹뚝 잘라내는 생검법이다. 주로 다리의 피부에서 실시한다. 피부 절편을 30분 이상 생리식염수에 넣고 저배율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마이크로필라리아가 피부에서 기어 나오는 것을 관찰한다.
피부자투리생검을 2-6회 반복해도 마이크로필라리아를 찾지는 못했으나 계속 회선사상충증이 의심되면 위험한 방법이기는 하지만 Mazzotti test를 실시한다. 이 진단법의 원리는 DEC 50mg을 경구 투여하여 회선사상충 마이크로필라리아를 죽이면 환자는 피부염이 악화되면서 30분-24시간 만에 대단히 심하게 가려워 하는 현상을 관찰하는 것이다. 안과 증상이 겹친 환자에서는 쓰지 말아야 한다.
④로아사상충증
로아사상충증은 결막이나 피하를 기어가는 충체를 확인하여 진단하거나 낮에 채취한 혈액에서 마이크로필라리아를 증명하여 진단한다.
7.치료와 예방법
① 반크롭프트 및 말레이 사상충증
- Diethylcarbamazine (DEC)
· 6mg/kg/day 용량으로 12일간 경구투여
· 마이크로필라리아를 죽이며 성충은 일부에만 효과가 있음
· 사상충발열과 림프관염의 재발을 방지하고 림프부종이나 초기 상피병에도 효과가 있음
- 상피병의 치료 : 취침시 하지를 올리는 방법, 압박붕대, 감염방지, 이뇨제의 사용 등으 로 림프부종이나 상피병의 악화를 최대한 지연시킴
② 회선사상충증
- Ivermectin 150mg/kg를 1회 투여하며, 유행지에서는 1-2년에 한 번씩 복용
- Diethylcarbamazine (DEC)은 자충을 너무 빨리 죽여 충체가 있는 각 부위의 염증을 급속히 악화시키므로 사용하지 말아야 함
③ 로아사상충증
- 성충을 병변에서 발견하면 즉시 외과적으로 제거
- Diethylcarbamazine 6mg/kg를 3주간 투여하면 자충은 죽지만 성충에 대한 효과는 불 확실함
자충의 농도가 높을 경우 대량으로 죽으면서 중추신경계 경색을 일으킬 수 있음
- Mebendazole 100-500mg을 매일 3회, 4-6주간 사용하면 성충은 죽지 않으나 자충은 서서히 죽어 중추신경계 합병증이 적게 발생함
예방
- 유행지역으로 알려진 곳을 여행하는 사람들은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

키워드

질병,   질환,   ,   사상충,   의학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9.08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20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