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과 과학의 비교] ‘철학’과 ‘과학’의 특징 비교분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철학의 정의

- 과학이란?
1. 과학의 의미
2. 과학의 전제
3. 과학의 기능

- 과학과 철학

- 철학과 과학의 이해 및 비교
1.우리나라 과학의 반철학적인 배경
2.철학사와 현대과학의 흐름
3.인간과학으로 도전받는 고전과학 개념
4.21세기 과학체계에 맞서는 시대정신
5.철학과 과학의 잉여지대

본문내용

도전을 받고 있다.그 하나는, 고전적인 과학의 세계 이해가 흔히 체제수용적이며 인본주의적이 아니며 형식논리적인 과학 개념 위에 이루어져 있다고 하는 비판이다.이러한 기존의 과학 체계를 인본주의적인 족으로 바꾸려고 하는 시대정신을 이루는데 위의 논의(인간과학으로 도전 받는 고전적인 과학개념)에서 그 일단(一端)아 이야기된 것으로 볼 수 있다.이미 있는 과학의 짜임새를 비관하는 다른 하나의 시대정신은 현대를 지배하는 서양과학적인 세계 이해가 서양이 아닌 문명권에 속하는 사람들의 의식 가운데에 식민주의적인 침식을 가져온다는 반성이다. 이러한 반성 때문에 발전하고있는 나라의 많은 학자들은 이른바 국학 또는 민족사관이라는 것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20세기의 과학적인 세계 이해를 분열시키는 또 하나의 논쟁점은 : (4) 도대체 과학적인 인식이란 모든 문화권의 인류가 함께 받아들일 만한 보편성을 지닌 것인가?(테이-스트로스)아니면, 모든 문화권은 각기 다른 과학적인 세계이해를 이룰 수 있는가?(페이어벤토)
<표2>
직접적인과학→반성적인 파악
잉여지대
수수과학이론/응용과학
이론철학/실전철학







순수형식의 일반법칙
(경험내용배제)
수학.논리학
수학 및 논리학의 철학
경험세계의 일반법칙
(지역적 역사적인
특수성 배재)
물리과학
생물과학
사회과학
인문과학
물리(과학)의 철학
생물(과학)의 철학
사회(과학)의 철학
역사철학예술철학
지역적 역사적인 특수성
민족사관
국학
우리나라의 학자들은 흔히 그들이 주장하는 우리 문화의 고유성이나 특수성을 문학, 역사, 철학과 같은 세계에 가두어서 논하는데 이는 학문에 대한 치우친 이해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기왕 주장을 하려면, 문화권의 고유성이나 특수성을 그 모든 영역물, 말하자면 인문, 사회, 자연과학적인 세계이해에까지 맞춰 보아야 할 것이다.오늘날 세계적인 보편성을 지니는 것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는 과학적인 세계 인식과 그 방법 논리는 여러 영역들에 맞추어보는 과정에서 잉여 현상을 드러내는데 이것은 국학이나 민족 사관에만 있는 영역이라고 하는 것은 전혀 근거를 찾을 수 없는 주장이다.
5.철학과 과학의 잉여지대
보다 질서있는 체계를 갖추어 가는 모든 과학적인 체계둘레에 언제나 새로이 관찰되고 이론화되어야 할 잉여지대가 있다. 말하자면, 관찰되고 이론화도기를 기다리는 수많은 예외이고 특수한 사실이 아직도 우리들의 과학적인 이론체계 밖에서 잘자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수많은 예외이고 특수한 사실들이라는 것은 다만 이론적으로 체계화되기 전에 [구체적인 세계]에 잠깐 머무르고 있는 것이 결코 어떤 과학적인 체계로도 환원될 수 없는 고유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다.고유하고 특수한, 말하자면 완전한 구체적인 세계라는 것을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사실. 이러한 구체적인 세계를 이해하려는 노력에 의해서 과학적인 세계 이해가 이루어지는 것이다.모든 이론적인 작업이란 구체성으로부터 추상성을 지향하는 운동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운동의 좌표는 복합성에서 단순성에로 그리고 직접적인 단계에서 반성적인 단계로 나아가는 두 개의 측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잉여지대와, 과학과 철학사 이에<표2>와 같은 관계가 있게된다.그리하여 추상적인 단순성이 가장 놓은 수학과 논리학, 그리고 그 다음으로 높은 물리과학과 같은 영역의 이론들은 다시 그 다음 또는 그 밖의 영역의 이론들이 이루어지는데 바탕 또는 [모델]의 노릇을 함을 깨달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수학적 또는 논리학적인(인식론적) 갈고 닦음이 없이 물리학, 생물학, 그리고 심리학, 경제학, 사회학, 역사의 이름을 논(論)하고 만들어 낸다는 것이 어려워지는 학문일반의 추세가 있다. 또한 물리학을 화학, 생물학, 심리학에 대하여 그러한 관계를 지니며 그리고 수학, 물리학, 생물학, 심리학, 경제학, 사회학과 같은 순수 이론과학을 토대로 전자공학, 의학, 교육학, 경제학, 행정학과 같은 응용과학이 이루어짐은 말할 것도 없다. 그리고, 상식세계의 제약조건이 과학적 이론과 비판에 의해서 반성되거나 극복되듯이 과학적인 이론이 지니는 제약조건은 철학적인 이론이나 비판에 의해서 반성되거나 비판되는 것이다.과학은 탐구대상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관찰하고 일반화하여 이론을 펼쳐나가는 것이다. 따라서 과학의 이론은 제1차 적인 지적(知的)활동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관찰하고 일반화하는 과학의 작업에서 거의 습관적으로 작용하는 기초개념과 논리적인 원리를 반성하고 비판하여 다시 구성하려는 데서 철학적인 시야가 열린다. 따라서 철학은 과학에 대한 제2차 적인 지적인 활동이라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철학: 그 문제와 쟁점들' 장용선 봉명 2004
사유의 열쇠 : 철학' 박이문 산처럼 2004
철학이란 무엇인가' Craig, Edward 최생열 東文選 2003
김광수(2001), ?철학, 우리에게 무엇인가??, 철학연구, 제54집, 철학연구회.
박준호(1993), ?사칠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건지철학, 제3집, 한국건지철학회.
Copp, David(1992), “Metaethics”, in Encyclopedia of Ethics, Vol. Ⅱ, ed. Becker, Lawrence C.(1992), New York & London: Garland Publishing, Inc.
Corrado, Michael(1975), The Analytic Tradition in Philosophy: Background and Issues,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곽강제 역, 분석철학: 그 전통과 쟁점들, 서울: 서광사.
Double, Richard(1996), Metaphilosophy and Free Will, New York?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Feldman, Richard(1998), “Epistemology and Ethics”, in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3, ed. Craig, Edward(1998), ,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7.03.27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32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