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ashen의 감시자모형에서 제시하는 5가지 가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Krashen의 감시자모형에서 제시하는 5가지 가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이론적배경

2. Krashen의 Monitor Theory
1) 습득 - 학습 가설 (The Acquisition & Learning Hypothesis)
<표-1> 습득(Acquisition) - 학습(Learning) 구분
2) 자연 순서 가설 (The Natural Order Hypothesis)
<표-2> 외국어 형태소 습득순서
3) 모니터 가설 (The Monitor Hypothesis)
<표-3> 성공적인 모니터를 위한 전제 조건 (Omaggio Hadley, 1993)
4) 입력가설 (The Input Hypothesis)
5) 감성 여과 장치 가설 (The Affective Filter Hypothesis)

본문내용

는 단계)로 발전하는 것은 단순히 입력자료에 노출되었기 때문이 아니라 언어 입력 과정을 이해했기 때문이다(Krashen & Terrel 1983 :32). 즉 언어습득이란 습득자가 현재의 단계에서 약간 이해 할 수 없는 외국어 구조의 의미를 터득하는 단계로 전이되어 갈 때 가능하다.
이 가설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가설은 학습이 아니라 습득과 관련있다.
둘째, 언어학습자들은 그들의 현재 언어 능력 수준을 약간 초과하는 입력(i+1)을 이해함으로써 언어를 가장 잘 습득한다.
셋째, 유창성은 직접적으로 가르칠 수 없다. 그것은 습득자가 입력을 이해함으로써 언어 능력을 쌓은 후엔 저절로 '나타난다'.
넷째, 만일 충분한 양의 이해 가능한 입력이 있다면, i+1은 자동적으로 제공된다. 이 때 입력은 학습자의 현재 언어 능력 수준에 세밀하게 조정될 필요가 없고(finely tuned input), 어린 습득자들의 현재 이해 수준에 비추어 대충 조정된(roughly tuned input) '보모언어(caretaker speech)' 와 '교사식 대화(teacher talk)'를 써서 어린이의 실태에 맞도록 대화를 만들거나 here and now 의 원칙 즉, 될 수 있는 대로 생활주변의 물건을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말할 수 있는 범위로 제공해야 한다.
이 가설의 결론은 i+1 수준의 언어입력에 충분히 노출되면 언어습득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형식을 익히는 것보다 투입되는 언어입력의 의미를 이해함으로써 습득이 이루어지며 이것은 의사소통이 성공적일 때 자동적으로 발생된다는 것이다. Krashen(1981)은 입력이 이상적으로 이용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네 가지의 조건이 갖추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첫째로, 이해 가능할 것 둘째, 흥미가 있고 자연적인 것일 것, 셋째, 문법 중심으로 배열된 것이 아닐 것, 넷째로 충분한 양일 것 등을 강조한다.
그러므로 초등학교 영어교사는 학습자료 선택 시 학생의 현재 언어사용 수준보다 지나치게 어렵거나 쉬운 것은 피하고 한 단계 정도 높은 수준의 학습자료를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언어자료를 간단한 문장으로, 그리고 빈도가 높은 말을 사용하고 발음을 정확하게 그리고 천천히 말하여 보다 이해 가능한 것을 만들어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5) 감성 여과 장치 가설 (The Affective Filter Hypothesis)
이 가설은 정의적 요인이 제 2언어 습득에 어떻게 관련되었는지를 보여주는 이론이다. Krashen은 학습자의 감정적 상태 혹은 태도를 습득에 필요한 입력을 자유롭게 통과시키고, 방해하거나, 혹은 차단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여과장치로 본다. '감정필터'란 학습자들이 환경 속에서 얻을 수 있는 입력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가상의 장벽이다. 긴장해 있거나, 화가 나있고, 초조하거나 지루해진 학습자들은 습득을 위해 '감정필터'를 사용할 수 없도록 입력을 차단해 버릴 것이다. 학습자가 스트레스를 받거나 자의식에 빠져 동기가 유발되지 않을 때는 '올라가' 있고, 학습자가 편안하게 있을 때나 동기가 유발되어 있을 때는 '내려가' 있게 될 것이다. 즉 이 가설은 결론은 배우는 데 있어 외국어를 배우는 태도가 큰 몫을 차지하는데 걱정(anxiety)은 낮을수록 그리고 둘째는 동기(motivation)와 자기 확신(self-confidence)이 높을수록 외국어 습득에 높은 효과를 갖는다는 것이다.그러므로 초등영어교사는 학생들이 높은 동기를 갖고 불안하지 않은 분위기에서 자신감있게 목표어를 습득할 수 있도록 즉 낮은 감성 여과 장치를 가지고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세심한 배려를 해 주어야 할 것이다.
  • 가격3,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03.27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34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