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안이란
2. 시니어 스포츠 지도를 위한 교안 작성 방법의 중요성
3. 시니어 스포츠 지도를 위한 교안 작성 방법의 조건
4. 시니어 스포츠 지도를 위한 교안 작성 방법의 구성
5. 시니어 스포츠 지도를 위한 교안 작성 방법의 유의점
6. 시니어 스포츠 지도를 위한 교안 작성 방법의 점검
7. 학습 지도안 예시
8. 결론
9. 참고문헌
2. 시니어 스포츠 지도를 위한 교안 작성 방법의 중요성
3. 시니어 스포츠 지도를 위한 교안 작성 방법의 조건
4. 시니어 스포츠 지도를 위한 교안 작성 방법의 구성
5. 시니어 스포츠 지도를 위한 교안 작성 방법의 유의점
6. 시니어 스포츠 지도를 위한 교안 작성 방법의 점검
7. 학습 지도안 예시
8. 결론
9.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리모양을 익히도 록 한다.
-발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한다.
-찬 바닥이므로 연습시간을 길게 잡지 않는다.
2 수영장 벽 잡고 발차기 연습
- 물을 짜는 감각을 익히도록 한다.
- 힘이 약하므로 이 연습 역시 오랜 시간동안 하지 않도록 한다.
3 부판 잡고 발차기 연습
-두손으로 부판의 끝을 잡고 발차기 만으로 전진하도록 한다.
-호흡도 함께 병행 하도록 한다.
- 레인을 돌때 서로 부딪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이 도록 한다.
4 중간에 인원 점검을 다시 실시하여 없어지거나 다친 사람이 없는지 확인 하도록 한다.
*평영 다리 동작의 중요성을 알려준다.
*적절한 설명과 시범을 보여 준다.
*무릎사이가 너무 많이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부판을 배 위에 깔고 연습 한다.
*한사람씩 잡아주면서 자세를 교정하도록 한다.
*부판을 잡고 물속에서 할때
서로 부딪치지
않도록 주의시킨다.
*힘들어 하는
사람은 없는지
확인한다.
정리
(5분)
*정리 운동: 팔, 어깨 스트레칭 다리 스트레칭
*차시 예고: 평영의 손 동작 연습
*전신근육의 피로를 풀어준다.
7.학습지도안 예시
8. 결론
수업의 준비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일은 바로 교안 작성이다. 교안은 수업을 효과적으로 이끌기 위한 수업의 시안이며 수업의 가설이다. 따라서 교안은 건축의 설계도나 항해사가 가진 나침반과 같이 수업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수업자는 물론 참관자에게 있어서 안내 지침서가 된다. 그러므로 지도하기에 앞서 교안을 작성한다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대다수의 지도자들은 교안 작성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실제로 작성하는 데 있어서는 여러 가지 현실 여건을 들어 크게 힘을 기울이지 않고 있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하지만 교안을 작성함으로써 수업자에게는 교재 연구가 될 뿐만 아니라 자신 있게 수업을 할 수 있고, 학습 요소를 빠짐없이 지도할 수 있으며, 지도의 과정이 명료하고, 지도 방법이 확실해질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교안작성은 꼭 필요하다. 교안을 작성할 때에는 위의 내용을 잘 숙지하여 다른 사람이 교안을 보고, 지도 할 수 있을 만큼 구체적이고 논리적으로 작성해야 할 것이다.
9. 참고문헌
* 스포츠 지도론.(2001). 김영준 지음. 형설출판사
* empas/imtruth/4987608
/ jeongeg21/5458374
* naver.com/uuuau/40010099244
-발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한다.
-찬 바닥이므로 연습시간을 길게 잡지 않는다.
2 수영장 벽 잡고 발차기 연습
- 물을 짜는 감각을 익히도록 한다.
- 힘이 약하므로 이 연습 역시 오랜 시간동안 하지 않도록 한다.
3 부판 잡고 발차기 연습
-두손으로 부판의 끝을 잡고 발차기 만으로 전진하도록 한다.
-호흡도 함께 병행 하도록 한다.
- 레인을 돌때 서로 부딪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이 도록 한다.
4 중간에 인원 점검을 다시 실시하여 없어지거나 다친 사람이 없는지 확인 하도록 한다.
*평영 다리 동작의 중요성을 알려준다.
*적절한 설명과 시범을 보여 준다.
*무릎사이가 너무 많이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부판을 배 위에 깔고 연습 한다.
*한사람씩 잡아주면서 자세를 교정하도록 한다.
*부판을 잡고 물속에서 할때
서로 부딪치지
않도록 주의시킨다.
*힘들어 하는
사람은 없는지
확인한다.
정리
(5분)
*정리 운동: 팔, 어깨 스트레칭 다리 스트레칭
*차시 예고: 평영의 손 동작 연습
*전신근육의 피로를 풀어준다.
7.학습지도안 예시
8. 결론
수업의 준비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일은 바로 교안 작성이다. 교안은 수업을 효과적으로 이끌기 위한 수업의 시안이며 수업의 가설이다. 따라서 교안은 건축의 설계도나 항해사가 가진 나침반과 같이 수업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수업자는 물론 참관자에게 있어서 안내 지침서가 된다. 그러므로 지도하기에 앞서 교안을 작성한다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대다수의 지도자들은 교안 작성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실제로 작성하는 데 있어서는 여러 가지 현실 여건을 들어 크게 힘을 기울이지 않고 있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하지만 교안을 작성함으로써 수업자에게는 교재 연구가 될 뿐만 아니라 자신 있게 수업을 할 수 있고, 학습 요소를 빠짐없이 지도할 수 있으며, 지도의 과정이 명료하고, 지도 방법이 확실해질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교안작성은 꼭 필요하다. 교안을 작성할 때에는 위의 내용을 잘 숙지하여 다른 사람이 교안을 보고, 지도 할 수 있을 만큼 구체적이고 논리적으로 작성해야 할 것이다.
9. 참고문헌
* 스포츠 지도론.(2001). 김영준 지음. 형설출판사
* empas/imtruth/4987608
/ jeongeg21/5458374
* naver.com/uuuau/40010099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