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의 철학적 기초(연구의의, 이론, 사상)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의 철학적 기초(연구의의, 이론, 사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절 교육철학의 학문적 성격
1. 개념규정의 문제
2. 일반철학과 교육철학의 관계
3. 교육과학과 교육철학
4. 교육철학 연구의 의의(목적)
1) 교육문제 해결을 위한 깊고 넓은 사고의 개발
2) 교육적인 언어의 분석, 명료화
3) 교육활동에 대한 방향제시
4) 교육활동 비판의 근거 제시
5. 교육철학의 연구방법론
(1) 열전적 방법
(2) 사상사적 방법
(3) 비교론적 방법
(4) 주제 접근법
(5) 분석적 방법

제 2절 철학과 교육
1. 철학의 정의(definition)
1) 전통적인 정의
2) 분석적인 정의
2. 철학의 영역과 기능
1) 존재론
2) 인식론(지식론)
3) 가치론( axiology )
3. 상식, 과학, 철학의 관계
1) 상식(common sense)
2) 과학적 방법(scientific method)
3) 철학적 방법(기능)
4. 철학과 교육철학의 관계
5. 교육철학의 정의
6. 교육철학자의 임무
7. 철학의 이론과 교육
1) 관념론적 교육설
2) 실재론적 교육학설
3) 실용주의적 교육설

제 3절 현대 교육사조
1. 진보주의 교육론
2. 본질주의 교육론
3. 항존주의 교육론
4. 재건주의의 교육론
5. 실존주의와 교육

제 4절 최근 교육철학의 동향
1. 분석교육철학
(1) 분석철학의 계보
(2) 분석교육철학
(3) 주장
(4) 장점 및 단점
(5) 분석교육철학자들
2. 현상학적 교육학
3. 비판교육론
1) 형성배경
2) 대표사상가와 그 주장
4. 낭만주의 교육이론
1) 낭만주의
2) 선구자들
3) 낭만주의 교육론자들의 주장
(1) 전통적인 교육에 대한 비판
(2) 제도화된 학교교육에 대한 비판
4) 대표 사상가들
(1) 굿맨(P. Goodman)
(2) 콜(H. Kohl)
(3) 코졸(J. Kozol)
5) 비판
5. 포스트모더니즘의 교육이론
1)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2)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
(1) 비합리주의
(2) 상대론적 인식론
(3) 탈정전화
(4) 유희적 행복감
3) 포스트모던 교육론자들의 주장
6. 생태학적 교육이론
1) 생태주의의 철학적 토대
2) 생태주의의 주장
3) 생태학적 교육이론의 논리
(1) 상생의 원리
(2) 관계의 원리
(3) 삶과 일치된 교육
4) 생태주의 교육운동으로

본문내용

"땅의 윤리"라는 논문에서 그는 윤리학의 범위를 식물, 동물, 심지어 땅에게까지 넓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땅이란 인간이 속한 생물학적 공동체로서 존중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입장을 좀 더 발전시킨 캘리코트(J.B. Callicott)는 사랑, 동정심, 연민, 자비, 존중의 감정이란 저절로 생겨나는 것이 아니라 이 같은 생명 공동체 속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되고 발전한다고 보았다(Rawles, 1998: 280).
2) 생태주의의 주장
생태주의의 입장은 학자들간에 다소 차이가 있지만
) 생태주의적 입장은 크게 드볼(B. Devall), 세션(G. Sessions), 카프라(F. Capra)를 중심으로 한 심층생태학, 북친(M. Bookchin)을 중심으로 한 사회생태학, 그룬트만(Grundman)을 중심으로 한 마르크스주의적 생태학으로 나누어지기도 한다(김귀성·노상우, 2001: 329-335 참조).
대체로 다음 몇 가지로 그 입장을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생태주의는 인간 중심주의(anthropocentrism)의 철학적 한계를 비판하면서 이를 극복하려고 한다. 둘째, 생태주의는 이성과 과학에 토대를 둔 모더니즘적 세계관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한다. 셋째, 생태주의는 지구촌의 모든 생명들을 전체의 네트워크 안으로 통합하고 상생(相生)의 관계를 회복하여 생명 존중의 가치를 창조해야 한다는 거대 담론을 제시한다.
3) 생태학적 교육이론의 논리
이러한 생태주의의 입장을 지지하는 생태학적 교육이론이 내세우는 교육적 원리 및 논리는 무엇인가?
(1) 상생의 원리
생태학적 교육이론은 상생(相生)의 원리를 강조한다. 즉 교육이란 생명체가 상호 협동하며 공생하는 '상생관계'를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교사가 학생을 살려주는 교육, 학생이 다른 학생을 살려주는 교육, 사람이 자연 및 생태계를 살려주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인간 중심주의에 바탕을 기존의 교육은 서로 살려주는 교육을 하기보다는 자기의 이해관계만을 관철시키는 교육을 해 왔다. 지금까지의 교육은 '상생관계'를 강조하기보다는 '경쟁관계'를 중시해온 것이 사실이다. 경쟁은 남을 살리기보다는 남을 죽이고, 인간 공동체를 위태롭게 하고, 나아가 생명 공동체를 위태롭게 만드는 결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생태학적 교육이론은 경쟁관계에 기초한 교육활동을 지양하고 상생관계에 기반을 둔 교육활동을 회복해 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2) 관계의 원리
생태학적 교육이론은 관계(關係)의 원리를 강조한다. 생태계는 생명체들간의 유기적인 관계에 의해 생명이 보존, 유지, 발전되어 간다. 생명체와 생명체의 관계, 생명체와 비생명체의 관계는 결코 일방적이고 배타적인 관계가 아니다. 교육 생태계에서 이루어지는 교육활동 역시 학생과 교사, 학교와 학생간에 일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인간존재 양식을 타자와의 관계라고 할 때, 이 관계의 단절이나 훼손은 인간의 생명력을 심하게 약화시킨다. 생태계의 위기도 사회와 자연과의 관계 맺기의 실패에서 비롯된 것이며, 교육문제도 개인과 개인, 개인과 사회, 개인과 자연과의 관계 맺기 실패에서 비롯된 것이다. 따라서 생태학적 교육이론은 건강한 관계 맺음을 교육행위의 출발점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3) 삶과 일치된 교육
생태학적 교육이론은 삶과 일치된 교육을 강조한다. 여기서 '삶과 일치된 교육'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생태론자들이 말하는 삶이란 인공적이고 가공적이고 기계적인 삶이 아니라 자연적인 삶을 의미한다. 따라서 '삶에 일치된 교육'이란 결국 자연적인 삶을 증진시키는 교육을 의미한다. 일찍이 루소(J.J. Rousseau)는 『에밀』에서 이러한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듀이(J. Dewey) 역시 『경험과 교육』에서 이러한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듀이는 학교에서 배우는 학습 내용이 실제 생활에 관련이 있을 때 그 학습이 비로소 의미있는 것임을 누차 강조했다. 기존의 학교들은 부분적으로 이러한 관련성을 무시하거나 도외시해온 것이 사실이다. 학생들은 학교 안에서 많은 지식을 습득하지만 그 지식은 구체적인 삶의 현장에 별로 도움을 주지 않는 것들이다.
4) 생태주의 교육운동으로
생태학적 교육론자들은 삶과 교육이 추상적, 이론적으로서가 아니라 구체적, 실제적으로 연계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우선, 삶과 교육이 연계되기 위해서는 삶이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 공동체, 생명 공동체, 나아가 생태계를 교육의 장으로 인식하고 이를 적극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 교육과 이들 공동체가 순환적 관계에 있음을 인식해야 하며, 이들이 공생적(共生的) 관계에 있음을 인식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이 같은 교육원리 및 논리를 강조하는 생태학적 교육이론이 구체적으로 실현되기 위해서는 어떤 태도가 요구되는가? 생태학적 가치관 및 세계관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실현되지 않는다면 그러한 가치관과 세계관이 무슨 의미를 가지겠는가?
따라서 생태학적 교육론자들은 자신이 습득한 생태학적 지식과 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비생태학적 상황에 부딪쳤을 때 이를 행동으로 보여줄 수 있는 실천적 능력을 갖출 수 있는 커리큘럼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주장한다.
또한 그들은 생태중심의 교육문화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이를 하나의 사회운동으로 전개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예컨대 함석헌이나 김지하 같은 이들이 강조한 것처럼 생태중심의 운동을 새로운 세계관 운동, 정신운동, 문화운동, 나아가 생활개혁 운동으로 전개해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대안학교 운동은 생태 중심적인 교육실천 운동의 일환이라고 볼 수 있다. 예컨대, 자연과 하나가 되는 삶을 사는 인간을 기르는 것을 중요한 교육목표로 삼는 '간디학교', 생명존중사상을 가장 중요한 철학으로 삼고 있는 '민들레 학교', 자연 속에서 시험이 없는 즐거운 학교상을 꿈꾸는 '두밀리자연학교', 자연 속에서의 공동체 활동과 감각훈련의 통합을 추구하는 '숲속학교', 한새학교 등은 현행 학교 제도의 틀로부터 벗어나 교육을 생태학적으로 건강한 상태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학교들이라고 할 수 있다.
  • 가격1,2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5.10.03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44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