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육심리학의 정의
1) 광의의 교육심리학
2) 협의의 교육심리학
2. 교육심리학의 역사와 발달
1) 초기의 교육심리학
2) 교육심리학의 발전
3. 교육심리학의 연구방법
1) 실험법(experiment)
2) 관찰법(observation)
3) 조사법(survey)
4) 검사법(testing)
5) 사례연구법(case study)
4. 교육심리학의 접근방법
1) 정신분석적 접근법
(1) 초기의 정신분석학
(2) 후기 정신분석학
(3) 교육적 시사점
2) 행동적 접근방법
(1) 고전적 조건화설
(2) 조작적 조건화
(3) 교육적 시사점
3) 인지적 접근방법
(1) 인지발달론
(2) 정보처리이론
(3) 교육적 시사점
4) 생물학적 접근방법
(1) 신경생물학적 접근방법
(2) 교육적 시사점
5) 인간적 접근방법
(1) 현상학적 심리학(인간주의 심리학; 제 3의 심리학)
(2) 교육적 시사점
5. 교육심리학의 분야
1) 인간발달과 교육
(1) 발달의 의미
(2) 발달과 관련된 개념들
(3) 발달의 원리
(4) 발달의 단계
(5) 인간발달의 이해와 교육
2) 학습이론과 교육
(1) 행동주의(行動主義: behaviorism)
(2) 인지이론(cognitive theory)
(3) 인간주의(humanism)
3) 인지과정과 교육
4) 인간의 심리적 특성과 교육
(1) 기억
(2) 망각(forgetting)
(3) 전이(transfer)
(4) 사고(thinking)
4) 인간의 심리적 특성과 교육
(1) 지적 특성
(2) 정의적 특성
1) 광의의 교육심리학
2) 협의의 교육심리학
2. 교육심리학의 역사와 발달
1) 초기의 교육심리학
2) 교육심리학의 발전
3. 교육심리학의 연구방법
1) 실험법(experiment)
2) 관찰법(observation)
3) 조사법(survey)
4) 검사법(testing)
5) 사례연구법(case study)
4. 교육심리학의 접근방법
1) 정신분석적 접근법
(1) 초기의 정신분석학
(2) 후기 정신분석학
(3) 교육적 시사점
2) 행동적 접근방법
(1) 고전적 조건화설
(2) 조작적 조건화
(3) 교육적 시사점
3) 인지적 접근방법
(1) 인지발달론
(2) 정보처리이론
(3) 교육적 시사점
4) 생물학적 접근방법
(1) 신경생물학적 접근방법
(2) 교육적 시사점
5) 인간적 접근방법
(1) 현상학적 심리학(인간주의 심리학; 제 3의 심리학)
(2) 교육적 시사점
5. 교육심리학의 분야
1) 인간발달과 교육
(1) 발달의 의미
(2) 발달과 관련된 개념들
(3) 발달의 원리
(4) 발달의 단계
(5) 인간발달의 이해와 교육
2) 학습이론과 교육
(1) 행동주의(行動主義: behaviorism)
(2) 인지이론(cognitive theory)
(3) 인간주의(humanism)
3) 인지과정과 교육
4) 인간의 심리적 특성과 교육
(1) 기억
(2) 망각(forgetting)
(3) 전이(transfer)
(4) 사고(thinking)
4) 인간의 심리적 특성과 교육
(1) 지적 특성
(2) 정의적 특성
본문내용
단 어를 외울 때)
장기기억- 몇 분에서 수십년 동안 지니게 되는 인식능력(큰 충격 후)
o 기억의 단계: 1단계: 기호화 또는 부호화(encoding)- 물리적 자극을 기호로 전환
2단계: 파지(retention) 또는 저장(storage)- 기호화된 내용을 저장
3단계: 인출(retrieval) 또는 재생(recall)- 정보를 사용하기 위해 끄집 어 내는 것
o 기억과 학습: 학생의 기억을 돕기 위한 방안들에는,
- 자료를 의미단위로 묶는다(과일끼리, 채소끼리, 동물끼리 묶음)
- 맥락을 이용한다. 즉 학습이 일어난 상황, 장소를 이용함.
- 조직화를 이용한다.-->앞에 배운 내용을 뒤의 내용과 연결지움
- 심상(imagery)을 이용한다.--> 그림, 영화화면을 이용
- 인출의 연습--->학습한 것을 바로 뒤에 질문을 만들어 대답하게 함
(2) 망각(forgetting): 기억한 것을 일부 또는 전부를 잊어버리는 것.
o 망각의 원인: - 배운 것을 너무 오래 쓰지 않았을 때
- 기억용량이 차있는데 새로운 것이 들어와 오래된 것이 나갈 때
- 새 정보와 옛 정보가 서로 충동하여 인출을 방해할 때
o 망각을 막기 위한 방법: 연습, 반복
(3) 전이(transfer): 학습한 내용을 다른 사태에 적용하는 것. 이 전이는 앞의 학습과제나 상황이 후의 학습과제나 상황과 유사할 때 일어나기 쉬우며, 일반적 원칙이나 원리 를 학습했을 때 일어나기도 하며, 사물간의 전체적 관련성 즉 형태를 발견함 으로써 이루어짐. 예) 수학을 잘하는 아이가 물리. 화학을 잘함. 탁구, 배구를 잘 하는 사람이 테니스를 잘함.
(4) 사고(thinking):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동원되는 인지과정(사고력=문제해 결력) 사고력(문제해결능력)에는 일반적인 문제해결능력과 특수영역적 문제 해결능력이 있다. 후자의 경우 전문가와 비전문가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
예컨대 수학, 과학, 음악, 미술 등의 분야의 전문가들은 초보자들에 비해 뛰 어난 문제해결능력을 가지고 있음(데생, 작곡, 연주, 수학문제, 과학문제)
4) 인간의 심리적 특성과 교육
(1) 지적 특성
ㄱ) 지능(intelligence): -지능이란 인간의 일반적인 고등정신 능력. 주로 유전과 환경의 상호 작용에 의해 결정됨.--->학업성취와 상관이 매우 높음
- 지능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는 프랑스 비네(A. Binet)에 의해 시작 되고 그 후 미국의 그탠포드대학의 터만(L. Terman)에 의해 체계 화됨(Stanford-Binet검사 제작)
- 지능지수(IQ):
정신연령(MA)
비율 IQ = --------------- × 100
생활연령(CA)
편차 IQ= 비슷한 연령집단을 검사하여 평균과 표준편 차를 계산한 다음 정상분포 곡선의 성질에 따라 규준을 표로 만들어 해석한 수치(120 p. 참조).
- 지능지수는 인간의 변치않는 절대적인 능력을 나타내기보다는 비 슷한 또래들과 비교하여 지적 능력이 상대적으로 어느 정도의 위치 에 있는가를 알려줌. 이 수치는 상대적이기 때문에 이를 지나치게 과신해서는 안됨(문화, 환경이 영향을 주기 때문)
ㄴ) 적성(aptitude): 적성이란 지능에 대한 상대적인 용어로서 특정분야의 지적 능력을 말 함. 즉 지능의 하위분야인 언어능력, 수리력, 공간지각력, 국어, 수학, 과학과 같은 특정 교과상의 능력을 의미함(인문계/자연계/예체능)
-적성은 개인간에서 차이를 보이며, 개인 내에서도 차이를 보임-->이 를 고려하여 지도해야함.
ㄷ) 사전학습(previous or prior learning): 선수학습, 선행학습, 사전 성취 등으로 불리움.
이는 어떤 과제를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해 그 전에 학습했어야 할 내용의 학습정도를 말함.--->학업성취와 직접 관련이 되어 있기 때 문에 교육계의 주요 관심사임(교사의 태도가 큰 영향을 미침).
ㄹ) 창의력(creativity): - 창조력이라고도 함. 창조력이란 새롭고, 신기하고 기발한 해결 책을 제시하는 능력을 말함. 지능이 주어진 답을 찾는 능력이라면, 창의력은 비정상적이고 비관습적인 답을 만들어내는 능력을 말함. 이 창의력은 학업성적과도 관련이 깊으며, 교육 및 훈련을 통해 계발될 수 있다(최근 수능시험문제의 일반적 경향).
(2) 정의적 특성
ㄱ) 성취동기: 성취동기란 훌륭한 업적이나 탁월한 일을 달성하려는 내적 욕구. 이 성취동 기는 학생들의 학업성적과 깊은 관계가 있다. 성취동기가 높은 사람은 공부 그 자체를 좋아하고, 모험을 즐기며, 경쟁심이 있고, 정력적이며, 미래지향 적이며, 자신감과 책임감이 강하다.--->교사나 부모는 적절한 내적, 외적 동기유발을 통해 학생 스스로가 목표를 성취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함. 결국 부모 및 교사의 태도가 성취동기 육성에 커다란 영향을 끼침.
ㄴ) 시험불안(test anxiety): 시험불안이란 유기체의 안녕이 위협받을 때 생기는 대단히 불편한 정서. 시험불안과 학업성취는 역상관이지만, 실제로는 곡선적 관계 를 지닌다. 즉 시험불안이 지나치게 낮거나 높으면 성취정도가 낮아짐. 즉 적절한 시험불안이 성취정도를 높여준다고 하겠다(p. 123참고).
ㄷ) 자아개념(self-concept): 자아개념은 자신의 존재, 능력, 행동특성에 관련된 자신에 대 한 이미지이다. 이 자아개념의 형성에는 교사, 부모, 친구들의 평가 그리고 시험결과 등이 중요하다. 긍정적 평가결과는 긍정적 자아개념을 형성하고, 부정적 평가결과는 부정적 자아개념을 형성하기 쉽다.--->학교에서는 능력 자아개념 및 학업자아개념이 중요함.
ㄹ) 태도(attitude): 태도란 어떤 대상이나 의견에 대해 가지는 좋고 싫음 또는 찬성이나 반대의 마음가짐을 말한다. 대상에 따라 다양한 태도들이 표출될 수 있다. 즉 교사, 교과, 학교, 친구, 학생운동,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태도 등 다양 한 태도들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교육적인 측면에서는 교과, 교사, 학교에 대한 태도가 아주 중요하다. 왜냐하면 이것에 대한 학생의 태도는 성적이나 인간관계에 커다란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교사는 학생의 태도에 대한 관찰과 이해가 있어야 한다.
장기기억- 몇 분에서 수십년 동안 지니게 되는 인식능력(큰 충격 후)
o 기억의 단계: 1단계: 기호화 또는 부호화(encoding)- 물리적 자극을 기호로 전환
2단계: 파지(retention) 또는 저장(storage)- 기호화된 내용을 저장
3단계: 인출(retrieval) 또는 재생(recall)- 정보를 사용하기 위해 끄집 어 내는 것
o 기억과 학습: 학생의 기억을 돕기 위한 방안들에는,
- 자료를 의미단위로 묶는다(과일끼리, 채소끼리, 동물끼리 묶음)
- 맥락을 이용한다. 즉 학습이 일어난 상황, 장소를 이용함.
- 조직화를 이용한다.-->앞에 배운 내용을 뒤의 내용과 연결지움
- 심상(imagery)을 이용한다.--> 그림, 영화화면을 이용
- 인출의 연습--->학습한 것을 바로 뒤에 질문을 만들어 대답하게 함
(2) 망각(forgetting): 기억한 것을 일부 또는 전부를 잊어버리는 것.
o 망각의 원인: - 배운 것을 너무 오래 쓰지 않았을 때
- 기억용량이 차있는데 새로운 것이 들어와 오래된 것이 나갈 때
- 새 정보와 옛 정보가 서로 충동하여 인출을 방해할 때
o 망각을 막기 위한 방법: 연습, 반복
(3) 전이(transfer): 학습한 내용을 다른 사태에 적용하는 것. 이 전이는 앞의 학습과제나 상황이 후의 학습과제나 상황과 유사할 때 일어나기 쉬우며, 일반적 원칙이나 원리 를 학습했을 때 일어나기도 하며, 사물간의 전체적 관련성 즉 형태를 발견함 으로써 이루어짐. 예) 수학을 잘하는 아이가 물리. 화학을 잘함. 탁구, 배구를 잘 하는 사람이 테니스를 잘함.
(4) 사고(thinking):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동원되는 인지과정(사고력=문제해 결력) 사고력(문제해결능력)에는 일반적인 문제해결능력과 특수영역적 문제 해결능력이 있다. 후자의 경우 전문가와 비전문가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
예컨대 수학, 과학, 음악, 미술 등의 분야의 전문가들은 초보자들에 비해 뛰 어난 문제해결능력을 가지고 있음(데생, 작곡, 연주, 수학문제, 과학문제)
4) 인간의 심리적 특성과 교육
(1) 지적 특성
ㄱ) 지능(intelligence): -지능이란 인간의 일반적인 고등정신 능력. 주로 유전과 환경의 상호 작용에 의해 결정됨.--->학업성취와 상관이 매우 높음
- 지능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는 프랑스 비네(A. Binet)에 의해 시작 되고 그 후 미국의 그탠포드대학의 터만(L. Terman)에 의해 체계 화됨(Stanford-Binet검사 제작)
- 지능지수(IQ):
정신연령(MA)
비율 IQ = --------------- × 100
생활연령(CA)
편차 IQ= 비슷한 연령집단을 검사하여 평균과 표준편 차를 계산한 다음 정상분포 곡선의 성질에 따라 규준을 표로 만들어 해석한 수치(120 p. 참조).
- 지능지수는 인간의 변치않는 절대적인 능력을 나타내기보다는 비 슷한 또래들과 비교하여 지적 능력이 상대적으로 어느 정도의 위치 에 있는가를 알려줌. 이 수치는 상대적이기 때문에 이를 지나치게 과신해서는 안됨(문화, 환경이 영향을 주기 때문)
ㄴ) 적성(aptitude): 적성이란 지능에 대한 상대적인 용어로서 특정분야의 지적 능력을 말 함. 즉 지능의 하위분야인 언어능력, 수리력, 공간지각력, 국어, 수학, 과학과 같은 특정 교과상의 능력을 의미함(인문계/자연계/예체능)
-적성은 개인간에서 차이를 보이며, 개인 내에서도 차이를 보임-->이 를 고려하여 지도해야함.
ㄷ) 사전학습(previous or prior learning): 선수학습, 선행학습, 사전 성취 등으로 불리움.
이는 어떤 과제를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해 그 전에 학습했어야 할 내용의 학습정도를 말함.--->학업성취와 직접 관련이 되어 있기 때 문에 교육계의 주요 관심사임(교사의 태도가 큰 영향을 미침).
ㄹ) 창의력(creativity): - 창조력이라고도 함. 창조력이란 새롭고, 신기하고 기발한 해결 책을 제시하는 능력을 말함. 지능이 주어진 답을 찾는 능력이라면, 창의력은 비정상적이고 비관습적인 답을 만들어내는 능력을 말함. 이 창의력은 학업성적과도 관련이 깊으며, 교육 및 훈련을 통해 계발될 수 있다(최근 수능시험문제의 일반적 경향).
(2) 정의적 특성
ㄱ) 성취동기: 성취동기란 훌륭한 업적이나 탁월한 일을 달성하려는 내적 욕구. 이 성취동 기는 학생들의 학업성적과 깊은 관계가 있다. 성취동기가 높은 사람은 공부 그 자체를 좋아하고, 모험을 즐기며, 경쟁심이 있고, 정력적이며, 미래지향 적이며, 자신감과 책임감이 강하다.--->교사나 부모는 적절한 내적, 외적 동기유발을 통해 학생 스스로가 목표를 성취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함. 결국 부모 및 교사의 태도가 성취동기 육성에 커다란 영향을 끼침.
ㄴ) 시험불안(test anxiety): 시험불안이란 유기체의 안녕이 위협받을 때 생기는 대단히 불편한 정서. 시험불안과 학업성취는 역상관이지만, 실제로는 곡선적 관계 를 지닌다. 즉 시험불안이 지나치게 낮거나 높으면 성취정도가 낮아짐. 즉 적절한 시험불안이 성취정도를 높여준다고 하겠다(p. 123참고).
ㄷ) 자아개념(self-concept): 자아개념은 자신의 존재, 능력, 행동특성에 관련된 자신에 대 한 이미지이다. 이 자아개념의 형성에는 교사, 부모, 친구들의 평가 그리고 시험결과 등이 중요하다. 긍정적 평가결과는 긍정적 자아개념을 형성하고, 부정적 평가결과는 부정적 자아개념을 형성하기 쉽다.--->학교에서는 능력 자아개념 및 학업자아개념이 중요함.
ㄹ) 태도(attitude): 태도란 어떤 대상이나 의견에 대해 가지는 좋고 싫음 또는 찬성이나 반대의 마음가짐을 말한다. 대상에 따라 다양한 태도들이 표출될 수 있다. 즉 교사, 교과, 학교, 친구, 학생운동,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태도 등 다양 한 태도들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교육적인 측면에서는 교과, 교사, 학교에 대한 태도가 아주 중요하다. 왜냐하면 이것에 대한 학생의 태도는 성적이나 인간관계에 커다란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교사는 학생의 태도에 대한 관찰과 이해가 있어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