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행정]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의 차이를 설명하고, 비공식조직의 순기능과 역기능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행정]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의 차이를 설명하고, 비공식조직의 순기능과 역기능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조직의 공식성
1) 공식조직(formal organization)
2) 비공식조직(informal organization)

2.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의 의의
1) 공식조직(formal organization)
2) 비공식조직(informal organization)
3) 비공식조직의 특징
4) 과업지향형과 감정지향형

3. 비공식조직의 기능과 통제
1) 비공식조직의 기능
(1) 비공식 조직의 순기능
(2) 비공식 조직의 역기능
2) 비공식조직의 통제
3) 공식 조직과 비공식 조직 사례

4. 비공식조직과 공식조직의 비교

참고자료

본문내용

서 공식적 조직은 개인적이며 눈에 보이는 가시적인 권한에서 비롯되지만. 비공식적 조직은 공식적 조직과는 달리 비 개인적이며 눈에 보이지 않는 비가시적 권한에서 비롯된다. 다음 <표1>에서는 지금까지의 공식조직과 비공식 조직의 비교를 표로 구성해 나타낸 것이다.
<표 1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의 비교>
공 식 조 직
(Formal Organization)
비공식 조직
(Informal & Social Organization)
구조 (Structure)
처방적 (Prescribed)
창발적 (Emergent)
논리적 근거 (Rationale)
합리적 (Rational)
감정적 (Emotional)
안정적 (Stability)
정적 (Stable)
역동적 (Dynamic)
영향력 기반(Influence Base)
지위 (Position)
인격 (Personality)
의사소통 (Communication)
공식경로 (Formal Channels)
소문 (Grapevine)
상호작용의 기준
(Basis for Interaction)
문서화된 기능적 지위
(Prescribed by functional duties & Position)
자발적 개인적
(Spontaneous & Personal Characteristics)
운영원리
(Princeple)
능률성의 원리
(Efficiency)
감정의 원리
(Emotion)
권한
(Authority)
개인적 권한
(Personal Authority)
가시적 권한
(Visible Authority)
비개인적 권한
(non-Personal Authority)
비가시적 권한
(Invisible Authority)
관료제 를 예견한 Weber 는 관료제는 개인적, 감정적, 비합리적 요소를 배제하고 비인간화될수록, 더 완벽해진다 라고 주장하였는데, 이는 구성망의 특질 중 관계의 강도를 제거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문화적 영향을 강조하는 학자들의 경우, 구성망의 밀도, 밀집도, 상호성(정계와 재계의 주고 받기식 결탁, 즉 정경유착관계), 그리고 강도(혈연, 지연, 학연 등의 개인적 유대관계) 등의 특질이 중요시될 것이다. 우리사회에서 연결망이 중요한 이유는 오랜 기간에 걸쳐 우리문화에 뿌리내린 관계중시의 전통 때문이다. 이러한 관계중시의 전통은 자신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다양한 속성들(예를 들면 가문, 학연, 지역 등)을 공유하는 사람들에 대한 일차적인 귀속감을 토대로 하여 다양한 이차적인 관계를 풍부히 발전시키는 계시가 된다. 그래서 조직 내 연결망, 공식적 조직구조 그리고, 조직성원의 속성의 분포 등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 지를 이해하는 것은 조직의 내부구조를 이해하는 첩경이 된다. 조직 내 에서 공식적 역할이 행위자들에게 얼마나 권위와 책임을 제대로 규정해 줄 수 있느냐 하는 역할의 명료성은 사회적 관계에서 파생되는 위치와 조직표에서 공식적 지위가 얼마나 일치하느냐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면 비공식적이지만 구성원들간의 관계가 연령이나 학번 등의 선후배 관계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면, 공식적 지위와 선후배관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조직운영은 큰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참고자료
조직이론의 현재와 미래, 최재열, 학문사, 1999
신 행정학, 조계표, 대영문화사. 2002
경찰조직관리론, 이영남, 법문사, 2003
글로벌 지식사회의 지식경영학원론, 이재규, 박영사(양영각), 2003
현대경영학원론, 윤재홍, 박영사, 2004
권태환·이재열.(1998). 사회운동조직간 연결망. 「한국사회과학」, 20권 3호 7-44.
이재열.(1996). 연결망분석: 지역감정과 정체성연구의 한 방법. 「제주대 지역사회연구소 심포지엄 발표논문」.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06.07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49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