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회복지
◈사회보장
◈사회보험
◈공공부조
◈사회복지서비스
◈사회사업
◈사회보장
◈사회보험
◈공공부조
◈사회복지서비스
◈사회사업
본문내용
보편적인 인간의 욕구를 해결하기 위한 서비스로 소득보장, 의료, 교육, 주택, 협의의 사회서비스를 미국에서는 일반적 사회서비스라 하고, 영국에서는 대인(퍼스널) 사회서비스라하며, 한국에서는 사회복지서비스 혹은 사회복지사업이라고 한다.
◈사회사업
박종삼 외 공저(2002), 사회복지학개론, 서울 : 학지사, p.28.
일반적으로 사회복지라는 정책, 제도 체제하에서 하나의 전문직으로서 전개되는 실천체계를 사회사업으로 총칭하여, 미국이나 영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개념으로,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을 확실히 구별하도록 되어 있다. 사회사업은 전통적으로 실천방법을 중심으로 발달해 왔으며, 이 실천방법들이 전 문화를 이루어 체계를 이룬 것이 개별사회사업, 집단사회사업, 지역사회조직 등의 전문방법으로 구성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는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기술론 등으로 재편성되어 있다. 사회사업가는 일반적으로 복지종사자의 일반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국제적으로는, 자격에 기초한 고도의 이론과 기술을 겸비한 사회복지 전문직에 부여되는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social worker'를 근래에 '사회복지사'라고 칭하는데 이는 '사회복지사업법' 제5조에 전문지식과 기술을 가진 자를 '사회복지사'로 규정하 것에 따른 것이다.
이용교(2002), 디지털 사회복지, 서울 : 인간과 복지, p.44.
사회사업은 개인, 집단, 지역사회가 사회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능력 증진, 회복을 돕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사회여건을 조성하는 전문적 활동이다.
이영실(1999), 사회복지학개론, 서울 : 범론사. p.25.
사회사업의 개념은 시대와 사회적 배경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된다.
(1)고전적 의미 : 사회사업이란 기존의 제도가 힘이 미치지 못하는 경우 개인의 생활을 보호하고 기존의 제도를 보충하며, 사회의 요구에 적응하지 못하게 된 부분을 개선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의 총체이며 개인적 빈곤에 중점을 둔다.
(2)근대적 의미 : 개인적 빈곤만이 아니라 집단적, 사회적 빈곤도 그 대상으로 하며 개인적 책임으로가 아니라 사회적 책임의 차선에서 취급한다, 즉 사회사업은 인간관계에 관한 과학적인 지식과 기술에 기반을 둔 전문직업적 봉사활동이며 개인이나 집단 속의 개인을 도와서 그들의 사회적 내지는 개인적 만족과 독립을 성취하도록 하는 일이다.
위의 용어들에 대해 제 나름의 정의를 내려보았습니다..
1.사회복지 : 위 용어들의 개념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의미의 용어이다.
모든 사회성원들의 최소한의 인간다운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국가의 경제적, 문화적, 정치적 등등의 노력을 두 포함하는 용어라 정의하고 싶다.
2.사회보장 : 사회복지에 포함되는 개념으로, 사회복지 중에서 물질적 원조만을 떼어서 의 미하는 용어이다.
3.공공부조 : 사회보장에 포함되는 개념으로, 사회적 약자의 최소한의 인간다운 생활 보장 을 위한 물질적 보조를 국가가 모두 책임지는 것을 의미한다. 혜택의 대상자 는 객관적 지표를 통해서 엄격하게 선별된다.
4.사회보험 : 공공부조와 함께 사회보장을 구성하는 요소이다. 그러나 공공부조와는 달리 그 부담을 수혜자와 국가가 함께 부담하며, 전 국민들 대상으로하는 강제성 을 띠는 제도이다.
5.사회복지 서비스 : 사회복지에 포함되는 개념으로 사회보장과 대비되는 개념을 지닌다.
비물질적인 원조를 주로 지칭하는 용어이다.
6.사회사업 : 정의 내리기 가장 힘든 용어였다. 사회복지와 구별지어 설명하는 서적들이 많았는데 그 차이를 명확히 구분하여 이해하기가 쉽지가 않은 것 같다. 짤막 하게 생각을 정리하자면, 사회사업은 사회복지의 실천적 의미가 강하고 볼 수 있겠다.
◈사회사업
박종삼 외 공저(2002), 사회복지학개론, 서울 : 학지사, p.28.
일반적으로 사회복지라는 정책, 제도 체제하에서 하나의 전문직으로서 전개되는 실천체계를 사회사업으로 총칭하여, 미국이나 영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개념으로,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을 확실히 구별하도록 되어 있다. 사회사업은 전통적으로 실천방법을 중심으로 발달해 왔으며, 이 실천방법들이 전 문화를 이루어 체계를 이룬 것이 개별사회사업, 집단사회사업, 지역사회조직 등의 전문방법으로 구성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는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기술론 등으로 재편성되어 있다. 사회사업가는 일반적으로 복지종사자의 일반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국제적으로는, 자격에 기초한 고도의 이론과 기술을 겸비한 사회복지 전문직에 부여되는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social worker'를 근래에 '사회복지사'라고 칭하는데 이는 '사회복지사업법' 제5조에 전문지식과 기술을 가진 자를 '사회복지사'로 규정하 것에 따른 것이다.
이용교(2002), 디지털 사회복지, 서울 : 인간과 복지, p.44.
사회사업은 개인, 집단, 지역사회가 사회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능력 증진, 회복을 돕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사회여건을 조성하는 전문적 활동이다.
이영실(1999), 사회복지학개론, 서울 : 범론사. p.25.
사회사업의 개념은 시대와 사회적 배경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된다.
(1)고전적 의미 : 사회사업이란 기존의 제도가 힘이 미치지 못하는 경우 개인의 생활을 보호하고 기존의 제도를 보충하며, 사회의 요구에 적응하지 못하게 된 부분을 개선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의 총체이며 개인적 빈곤에 중점을 둔다.
(2)근대적 의미 : 개인적 빈곤만이 아니라 집단적, 사회적 빈곤도 그 대상으로 하며 개인적 책임으로가 아니라 사회적 책임의 차선에서 취급한다, 즉 사회사업은 인간관계에 관한 과학적인 지식과 기술에 기반을 둔 전문직업적 봉사활동이며 개인이나 집단 속의 개인을 도와서 그들의 사회적 내지는 개인적 만족과 독립을 성취하도록 하는 일이다.
위의 용어들에 대해 제 나름의 정의를 내려보았습니다..
1.사회복지 : 위 용어들의 개념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의미의 용어이다.
모든 사회성원들의 최소한의 인간다운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국가의 경제적, 문화적, 정치적 등등의 노력을 두 포함하는 용어라 정의하고 싶다.
2.사회보장 : 사회복지에 포함되는 개념으로, 사회복지 중에서 물질적 원조만을 떼어서 의 미하는 용어이다.
3.공공부조 : 사회보장에 포함되는 개념으로, 사회적 약자의 최소한의 인간다운 생활 보장 을 위한 물질적 보조를 국가가 모두 책임지는 것을 의미한다. 혜택의 대상자 는 객관적 지표를 통해서 엄격하게 선별된다.
4.사회보험 : 공공부조와 함께 사회보장을 구성하는 요소이다. 그러나 공공부조와는 달리 그 부담을 수혜자와 국가가 함께 부담하며, 전 국민들 대상으로하는 강제성 을 띠는 제도이다.
5.사회복지 서비스 : 사회복지에 포함되는 개념으로 사회보장과 대비되는 개념을 지닌다.
비물질적인 원조를 주로 지칭하는 용어이다.
6.사회사업 : 정의 내리기 가장 힘든 용어였다. 사회복지와 구별지어 설명하는 서적들이 많았는데 그 차이를 명확히 구분하여 이해하기가 쉽지가 않은 것 같다. 짤막 하게 생각을 정리하자면, 사회사업은 사회복지의 실천적 의미가 강하고 볼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