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머리말
Ⅱ.쉬리와 JSA의 비교∙분석
1)쉬리의 분석
1.장면분석
2.대사분석
2)JSA의 분석
1.장면분석
2.대사분석
3)배경음악 비교
Ⅲ.마무리
Ⅱ.쉬리와 JSA의 비교∙분석
1)쉬리의 분석
1.장면분석
2.대사분석
2)JSA의 분석
1.장면분석
2.대사분석
3)배경음악 비교
Ⅲ.마무리
본문내용
lease
누구에게 부탁하지 않고 모든 것을 가질수 있다면......
I could fly to Paris it's at my beck and call
내가 매우 여유로운 생활을 할 수 있다면
Why do I live my life alone with nothing at all
그러나 나는 아무거도 없이 홀로 살아가고 있다.
But when I dream
그러나 내가 꿈꿀때
I dream of you
Maybe someday you will come true
아마 언젠가 너는 꿈을 실현할 수 있다.
When I dream of you
내가 꿈꿀때
Maybe someday you will come true
아마 언젠가 너는 꿈을 실현할 수 있다.
I can be the singer or the clown in any role
내가 가수가 되거나 어떤 분야에 최고가 되었으면......
I can call up someone to take me to the moon
나를 달로 데려다 줄 누군가가 있었다면......
I can put my makeup on and drive the man insane
화장을 하고 남자와 여행을 한다.
I can go the bed alone and never know his name
나는 혼자 자고 그의 이름을 알지 못한다.
But when I dream
I dream of you
Maybe someday you will dream come true
When I dream I dream of you
Maybe someday you will come true
-영화 '쉬리'에 들리는 이 노래는 주인공들의 감정을 잘 대변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 가사의 내용을 보면 많은 가정을 하면서 결국은 미래에 이루어 낼 수 있다는 내용이 주이다. 조금 비약이 될지 모르지만 이것은 남과 북이 노력하면 결국 통일을 이루어 낼 수 있다라는 생각을 해보게도 하는 노래인 것 같다.
Ⅲ.마무리
두 영화를 서로 분석하고 비교해 보면서 느낀 것은 다음과 같다.
1.남과 북의 신뢰감 회복이 급선무
남쪽과 북쪽 모두 서로 간에 신뢰감을 회복하고 이를 키워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아주 시급하다. 양자간에 신뢰감 회복이 되고 이것이 더 커졌을 때만이 통일의 길이 열릴 것이라 생각이 든다.
2.남과 북의 접촉의 중요성
남쪽과 북쪽이 서로 어떤 방법으로든 접촉을 자주 시도하는 것은 아주 바람직한 일이다. 쉬리에서의 키싱구라미가 담고 있는 의미라든지, JSA에서의 편지교환은 상당히 중요한 의미가 있다. 작금의 현실에서도 서신교환이나 이산가족 상봉, 금강산 사업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금의 우리 조원의 경우에도 이런 남북한의 접촉 사업이나 정치적 일들이 별다른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피부로 느끼지 않는다. 하지만 위 두영화를 비교해 봄으로써 어떤 방법으로든 접촉을 계속 시도하는 것은 아주 바람직한 일이고, 통일의 길을 짧게 하는 방법이다.
3.남과 북의 현실
남과 북의 현실을 두 영화는 많은 부분에서 나타내려고 한 듯하다. 그에 대한 내용은 위에서 자세하게 분석해 놓았기 때문에 여기서는 다시 언급하지 않겠다. 우리의 현실을 빨리 인식하고 통일을 위한 해결책을 찾는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남한 사이에서의 통일을 바라보는 시각, 구 시대 사람들이 바라보는 북한의 모습 등등..)
4.정치가들에 대한 비판
이 부분은 간과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다. 쉬리 영화에서 최민식의 대사 부분에서 정치가들의 행태를 알 수 있었다. 지금의 정치는 국내 뿐 아니라 남북한의 상황에서도 나을것이 하나도 없다고 생각한다. 물론 우리가 발표를 통해 이러한 것을 이야기 한다고 해도, 현실적으로 바뀔 것은 하나도 없다. 그렇지만, 학교 발표 수업에서 이러한 사실들을 학우들에게 이야기 해 줌으로써 한번 더 우리 정치의 저질을 이야기 하고,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만들어 졌으면 좋겠다고 생각했기에 이렇게 마무리에 이 내용을 간략하게나마 담는다.
5.보고서를 마치며
이번의 보고서는 상당히 주관적인 성격이 짙다. 아니, 모든 내용이 필자의 주관으로 쓰여졌다. 그럴 수밖에 없는 이유는 머리말 부분에서 이미 밝혔다. 이 보고서를 읽는 학우들은 남과 북의 현실을 한번 더 생각해 보고, 북쪽의 사람들도 여하튼간에 우리가 한민족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고, 그들을 이해하고, 하루빨리 그들과 같이 이야기 하고, 살 수 있도록 많은 주의와 관심을 가졌으면 한다.
누구에게 부탁하지 않고 모든 것을 가질수 있다면......
I could fly to Paris it's at my beck and call
내가 매우 여유로운 생활을 할 수 있다면
Why do I live my life alone with nothing at all
그러나 나는 아무거도 없이 홀로 살아가고 있다.
But when I dream
그러나 내가 꿈꿀때
I dream of you
Maybe someday you will come true
아마 언젠가 너는 꿈을 실현할 수 있다.
When I dream of you
내가 꿈꿀때
Maybe someday you will come true
아마 언젠가 너는 꿈을 실현할 수 있다.
I can be the singer or the clown in any role
내가 가수가 되거나 어떤 분야에 최고가 되었으면......
I can call up someone to take me to the moon
나를 달로 데려다 줄 누군가가 있었다면......
I can put my makeup on and drive the man insane
화장을 하고 남자와 여행을 한다.
I can go the bed alone and never know his name
나는 혼자 자고 그의 이름을 알지 못한다.
But when I dream
I dream of you
Maybe someday you will dream come true
When I dream I dream of you
Maybe someday you will come true
-영화 '쉬리'에 들리는 이 노래는 주인공들의 감정을 잘 대변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 가사의 내용을 보면 많은 가정을 하면서 결국은 미래에 이루어 낼 수 있다는 내용이 주이다. 조금 비약이 될지 모르지만 이것은 남과 북이 노력하면 결국 통일을 이루어 낼 수 있다라는 생각을 해보게도 하는 노래인 것 같다.
Ⅲ.마무리
두 영화를 서로 분석하고 비교해 보면서 느낀 것은 다음과 같다.
1.남과 북의 신뢰감 회복이 급선무
남쪽과 북쪽 모두 서로 간에 신뢰감을 회복하고 이를 키워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아주 시급하다. 양자간에 신뢰감 회복이 되고 이것이 더 커졌을 때만이 통일의 길이 열릴 것이라 생각이 든다.
2.남과 북의 접촉의 중요성
남쪽과 북쪽이 서로 어떤 방법으로든 접촉을 자주 시도하는 것은 아주 바람직한 일이다. 쉬리에서의 키싱구라미가 담고 있는 의미라든지, JSA에서의 편지교환은 상당히 중요한 의미가 있다. 작금의 현실에서도 서신교환이나 이산가족 상봉, 금강산 사업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금의 우리 조원의 경우에도 이런 남북한의 접촉 사업이나 정치적 일들이 별다른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피부로 느끼지 않는다. 하지만 위 두영화를 비교해 봄으로써 어떤 방법으로든 접촉을 계속 시도하는 것은 아주 바람직한 일이고, 통일의 길을 짧게 하는 방법이다.
3.남과 북의 현실
남과 북의 현실을 두 영화는 많은 부분에서 나타내려고 한 듯하다. 그에 대한 내용은 위에서 자세하게 분석해 놓았기 때문에 여기서는 다시 언급하지 않겠다. 우리의 현실을 빨리 인식하고 통일을 위한 해결책을 찾는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남한 사이에서의 통일을 바라보는 시각, 구 시대 사람들이 바라보는 북한의 모습 등등..)
4.정치가들에 대한 비판
이 부분은 간과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다. 쉬리 영화에서 최민식의 대사 부분에서 정치가들의 행태를 알 수 있었다. 지금의 정치는 국내 뿐 아니라 남북한의 상황에서도 나을것이 하나도 없다고 생각한다. 물론 우리가 발표를 통해 이러한 것을 이야기 한다고 해도, 현실적으로 바뀔 것은 하나도 없다. 그렇지만, 학교 발표 수업에서 이러한 사실들을 학우들에게 이야기 해 줌으로써 한번 더 우리 정치의 저질을 이야기 하고,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만들어 졌으면 좋겠다고 생각했기에 이렇게 마무리에 이 내용을 간략하게나마 담는다.
5.보고서를 마치며
이번의 보고서는 상당히 주관적인 성격이 짙다. 아니, 모든 내용이 필자의 주관으로 쓰여졌다. 그럴 수밖에 없는 이유는 머리말 부분에서 이미 밝혔다. 이 보고서를 읽는 학우들은 남과 북의 현실을 한번 더 생각해 보고, 북쪽의 사람들도 여하튼간에 우리가 한민족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고, 그들을 이해하고, 하루빨리 그들과 같이 이야기 하고, 살 수 있도록 많은 주의와 관심을 가졌으면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