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평형성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현미경으로는 관찰되지 않을 정도이지만 Fe3C의 양은 증가한다.
아공석강의 실온에서의 조직은 페라이트, 펄라이트 조직이라 불리고 있다. 그림 3-5는 아공석강의 조직이 형성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C는 α에 거위 고용할 수 없으므로 초석 α가 성장함에 따라 밀려난 C 원자는 미변태 γ에 농축되며, 마침내 공석온도에서 공석조성에 달하게 된다. 그림 3-6은 0.41%C강의 조직이다. 흰 부분이 초석 페라이트이며, 검은 부분이 펄라이트이다.
그림 3-3에서 과공석강인 합금 3의 조직 형성은 합금 2와 유사하나 Acm선 이하에서 나오는 상은 초석 시멘타이트이며, 이 때문에 미변태 γ중의 C 농도는 감소하면서 공석온도에서 공석조성에 달한다. 실온조직은 초석 시멘타이트와 펄라이트로 이루어진다.
0.022%C 이하인 Fe-C합금이나 순철에서 공석변태 즉 A1점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주의해야 한다. 예전에 순도가 낮은 철에 대해 열팽창시험을 하여 최초의 변태점에 A1이란 이름을 붙였다. 또 780℃ 부근에는 강자성에서 상자성으로 변하는 자기변태점이 존재하므로 이것에 A2라 이름붙였다. 그러나 그후의 연구에서 자기변태는 결정계의 변화를 수반하지 않는 것이 분명해져 A1 변태라는 명칭은 그다지 사용되지 않는다. 또 A1과 A2사이의 철은 β철이라 불리고 있었으나 이 호칭도 동시에 없어졌다. 이러하여 순철에는 A1, A2는 없고 α, γ, δ 순으로 된 셈이다.
3-6 0.41%C 탄소강의 페라이트, 펄라이트 조직
강의 평형성에
대하여
12조
김성진, 김명주
Fe-c 상태도
12조
김성진, 김명주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10.17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61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