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장애 예방의 중요성
1. 장애 예방의 필요성
2. 장애 원인 이해의 중요성
II. 발달장애의 원인
1. 출생전 원인
2. 출생시 원인
3. 출생후 원인
Ⅲ. 장애 예방과 유아특수교육
1. 장애 예방의 의미
2. 장애 예방을 위한 조기교육의 역할
IV. 장애 예방과 유아특수교육
1. 장애 예방의 필요성
2. 장애 원인 이해의 중요성
II. 발달장애의 원인
1. 출생전 원인
2. 출생시 원인
3. 출생후 원인
Ⅲ. 장애 예방과 유아특수교육
1. 장애 예방의 의미
2. 장애 예방을 위한 조기교육의 역할
IV. 장애 예방과 유아특수교육
본문내용
방적 차원에서의 서비스 제공은 특수교육이 지향하는 매우 중요한 목표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의 1장에서도 유아특수교육의 일곱 가지 목적 중의 하나로 장래의 문제나 장애의 발생 예방을 포함하고 있는 것과 같이(<표 1-7> 참조) 장애 발생 시기와 밀접하게 관련된 조기 개입(early intervention)을 포함하는 특수아 조기교육의 노력은 예방의 노력이라고 말해도 지나치지 않을 정도로 앞으로 아동이 보이게 될 장래의 문제나 장애의 발생을 예방하는 것과 연관되어 있다. <표 3-6>은 예방의 세 가지 단계가 장애 예방 및 조기교육의 목적과 어떠한 관계를 지니고 있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장애의 원인을 알고 그에 대한 적절한 예방적 조처를 취하는 것은 장애 학생들에게 특수교육을 제공하는 시스템 내에서의 최선의 노력으로 성취되어야 하는 과제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으며, 특히 대상 학생의 연령이 어릴수록 그 중요성은 가중된다고 할 수 있다.
<표 3-6> 장애 예방과 조기교육의 목적
예방의 단계
예방의
일반적인 목적
장애 예방의
목적
공법 99-457에 명시된
조기 개입의 목적
1차 예방
새로운 발생 감소에 의한 상황 발생 예방: 출현율 감소
위험에 놓인 아동의 새로운 발생 감소
발달 촉진 및 발달지체/장애의 가능성을 최소화
2차 예방
기존의 발생 숫자 감소에 의한 상황 발생 예방: 발생률 감소
지속시간과 정도의 경감에 의한 예방
학령기에 이르렀을 때 특수교육과 관련 서비스의 필요 최소화
3차 예방
직/간접적인 영향의 감소에 의한 상황 발생 예방: 후유증 감소
직/간접적인 영향의 감소에 의한 예방
시설 수용 가능성의 최소화 및 독립적인 삶의 가능성 최대화
출처: Simeonsson, R. J. (1991).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prevention in early intervention.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15(2), p. 128.
실제로 앞에서 설명한 세 가지 유형의 장애 예방은 특수아 조기교육 현장의 구체적인 노력을 통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0~2세 장애 영아들을 위한 조기 개입(early intervention)을 포함하는 특수아 조기교육의 교사들은 특정 상태에 놓임으로써 문제의 발생 가능성이 예측되는 아동들, 또는 이미 형성된 장애로 인하여 앞으로의 성장발달에 영향을 받게 될 아동들을 대상으로 일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특수아 조기교육의 전반적인 노력은 아동이 성장하여 학령기가 되었을 때 학교생활의 실패를 예방하고 시설에 수용되는 것을 예방하는 등의 예방의 노력이라고 말할 수 있다(Simeonsson, 1991; Upsher, 1990). 특수아 조기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영유아와 그 가족들을 대상으로 한 조기교육의 노력은 이러한 장애 예방의 노력과 관련해서 <표 3-7>과 같이 연결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전 생애에 걸쳐서 성장과 발달 등의 긍정적인 측면을 강화하고 문제행동의 발생이나 실업 등의 부정적인 측면을 방지하는 예방의 노력으로 연계될 수 있다.
<표 3-7> 특수아 조기교육의 노력과 단계별 예방과의 관계
예방의 단계
아동을 위한
조기교육의 노력*
가족을 위한
조기교육의 노력*
1차 예방
환경의 풍부화와 주요 발달 영역의 자극을 통해서 새로운 발생률 감소
양육기술을 증진시키고 가족의 자존감과 차이에 대한 인식을 증진하는 예견적 안내
2차 예방
새로운 기술의 학습과 유지를 위한 조기개입을 통해서 발달지체/장애의 지속시간과 정도 감소
협력과 양육 기술을 증진시킴으로써 현실의 욕구에 부응하도록 촉진
3차 예방
행동이나 기능을 보완하고 보상하기 위한 조기개입을 통해서 장애의 직/간접적인 영향 감소
상처 입은 가족의 구조와 관계와 가치를 위해서 적응적이고 구조적이고 통합적인 변화 촉진
*조기교육의 노력은 단계가 지속되면서 추가적으로 누적됨.
출처: Simeonsson, R. J. (1991).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prevention in early intervention.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15(2), p. 128.
지금까지 유아특수교육은 앞에서 설명한 세 가지 유형의 예방적 차원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온 것이 사실이다. 특히 환경적인 박탈을 경험하고 있는 아동들(Miller & Dyer, 1975; Lazzar & Darlington, 1982), 저체중 등의 의학적으로 장애위험 상태에 놓인 아동들(Campbell & Wilhelm, 1982; Helders, Cats, VanDernet, & DeBast, 1988; Krywanio & Jones, 1988), 다운증후군이나 감각장애와 같이 알려진 장애를 지니고 있는 아동들(Casto & Mastropieri, 1986; Hanson, 1977, 1985)을 포함한 다양한 유형의 아동들에게 조기교육과 가족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발달지체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기존의 장애 심화를 방지하는 등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기교육을 통한 예방의 노력에는 한계가 있으며 장애 발생을 완전히 예방하거나 이미 형성된 장애를 치료하는 등의 결과를 기대해서는 안 된다. 특히 유아특수교육과 관련된 그동안의 많은 연구들을 장애 예방과 관련해서 정리한 한 보고에 의하면 조기 개입 및 유아특수교육이 아무리 빨리 성공적으로 제공된다고 하여도 발달장애를 “치료”할 수는 없음을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Johnson-Marti
n, 1990). 뿐만 아니라, 장애 예방과 관련해서 유아의 발달과 그 환경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가족의 필요에 부응해야 함이 지적되었다. 그러므로 앞으로는 이 장에서 지금까지 제시한 장애의 원인과 장애의 예방에 대한 복합적인 역할을 이해하고 유아의 비전형적인 발달을 좀더 잘 이해함으로써 장애 예방과 유아특수교육간의 관계를 정립하고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력과 역할을 잘 인식하여 보다 구체적인 장애 예방적 차원에서의 조기교육의 효과를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표 3-6> 장애 예방과 조기교육의 목적
예방의 단계
예방의
일반적인 목적
장애 예방의
목적
공법 99-457에 명시된
조기 개입의 목적
1차 예방
새로운 발생 감소에 의한 상황 발생 예방: 출현율 감소
위험에 놓인 아동의 새로운 발생 감소
발달 촉진 및 발달지체/장애의 가능성을 최소화
2차 예방
기존의 발생 숫자 감소에 의한 상황 발생 예방: 발생률 감소
지속시간과 정도의 경감에 의한 예방
학령기에 이르렀을 때 특수교육과 관련 서비스의 필요 최소화
3차 예방
직/간접적인 영향의 감소에 의한 상황 발생 예방: 후유증 감소
직/간접적인 영향의 감소에 의한 예방
시설 수용 가능성의 최소화 및 독립적인 삶의 가능성 최대화
출처: Simeonsson, R. J. (1991).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prevention in early intervention.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15(2), p. 128.
실제로 앞에서 설명한 세 가지 유형의 장애 예방은 특수아 조기교육 현장의 구체적인 노력을 통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0~2세 장애 영아들을 위한 조기 개입(early intervention)을 포함하는 특수아 조기교육의 교사들은 특정 상태에 놓임으로써 문제의 발생 가능성이 예측되는 아동들, 또는 이미 형성된 장애로 인하여 앞으로의 성장발달에 영향을 받게 될 아동들을 대상으로 일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특수아 조기교육의 전반적인 노력은 아동이 성장하여 학령기가 되었을 때 학교생활의 실패를 예방하고 시설에 수용되는 것을 예방하는 등의 예방의 노력이라고 말할 수 있다(Simeonsson, 1991; Upsher, 1990). 특수아 조기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영유아와 그 가족들을 대상으로 한 조기교육의 노력은 이러한 장애 예방의 노력과 관련해서 <표 3-7>과 같이 연결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전 생애에 걸쳐서 성장과 발달 등의 긍정적인 측면을 강화하고 문제행동의 발생이나 실업 등의 부정적인 측면을 방지하는 예방의 노력으로 연계될 수 있다.
<표 3-7> 특수아 조기교육의 노력과 단계별 예방과의 관계
예방의 단계
아동을 위한
조기교육의 노력*
가족을 위한
조기교육의 노력*
1차 예방
환경의 풍부화와 주요 발달 영역의 자극을 통해서 새로운 발생률 감소
양육기술을 증진시키고 가족의 자존감과 차이에 대한 인식을 증진하는 예견적 안내
2차 예방
새로운 기술의 학습과 유지를 위한 조기개입을 통해서 발달지체/장애의 지속시간과 정도 감소
협력과 양육 기술을 증진시킴으로써 현실의 욕구에 부응하도록 촉진
3차 예방
행동이나 기능을 보완하고 보상하기 위한 조기개입을 통해서 장애의 직/간접적인 영향 감소
상처 입은 가족의 구조와 관계와 가치를 위해서 적응적이고 구조적이고 통합적인 변화 촉진
*조기교육의 노력은 단계가 지속되면서 추가적으로 누적됨.
출처: Simeonsson, R. J. (1991).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prevention in early intervention.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15(2), p. 128.
지금까지 유아특수교육은 앞에서 설명한 세 가지 유형의 예방적 차원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온 것이 사실이다. 특히 환경적인 박탈을 경험하고 있는 아동들(Miller & Dyer, 1975; Lazzar & Darlington, 1982), 저체중 등의 의학적으로 장애위험 상태에 놓인 아동들(Campbell & Wilhelm, 1982; Helders, Cats, VanDernet, & DeBast, 1988; Krywanio & Jones, 1988), 다운증후군이나 감각장애와 같이 알려진 장애를 지니고 있는 아동들(Casto & Mastropieri, 1986; Hanson, 1977, 1985)을 포함한 다양한 유형의 아동들에게 조기교육과 가족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발달지체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기존의 장애 심화를 방지하는 등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기교육을 통한 예방의 노력에는 한계가 있으며 장애 발생을 완전히 예방하거나 이미 형성된 장애를 치료하는 등의 결과를 기대해서는 안 된다. 특히 유아특수교육과 관련된 그동안의 많은 연구들을 장애 예방과 관련해서 정리한 한 보고에 의하면 조기 개입 및 유아특수교육이 아무리 빨리 성공적으로 제공된다고 하여도 발달장애를 “치료”할 수는 없음을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Johnson-Marti
n, 1990). 뿐만 아니라, 장애 예방과 관련해서 유아의 발달과 그 환경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가족의 필요에 부응해야 함이 지적되었다. 그러므로 앞으로는 이 장에서 지금까지 제시한 장애의 원인과 장애의 예방에 대한 복합적인 역할을 이해하고 유아의 비전형적인 발달을 좀더 잘 이해함으로써 장애 예방과 유아특수교육간의 관계를 정립하고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력과 역할을 잘 인식하여 보다 구체적인 장애 예방적 차원에서의 조기교육의 효과를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유아특수 교육
특수아 조기교육에 대해서
[특수아교육]유아 특수교육 분석과 발전방안 및 견해
특수아동의 조기교육에 대한 고찰
유아교육개론1E)유아교육의 특수성에 대해 논하고, 유아교사의 교수행동에 대하여 보고 느낀...
특수아 조기교육의 필요성 연구 - 청각장애아동을 중심으로
[특수아교육 A형] 우리나라 유아 특수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하여 객관적 자료(최근 통계...
[특수아교육 A형] 우리나라 유아 특수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하여 객관적 자료(최근 통계...
특수아교육4A) 우리나라 유아 특수교육特殊敎育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하여 객관적 자료를 근...
[유아교육개론]유아교육의 특수성에 대해 논하고, 유아교사의 교수행동에 대하여 보고 느낀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