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석의 정의
2. 구약 주석사
3. 본문 비평
4. 자료 비평
5. 양식 비평
6. 전승 비평
7. 편집 비평
8. 정경 비평
9. 사회과학적 비평
10. 수사 비평
11. 구조주의 비평
12. 이야기 비평
13. 독자 반응 비평
14. 여성 신학적 비평
평가 및 서평
2. 구약 주석사
3. 본문 비평
4. 자료 비평
5. 양식 비평
6. 전승 비평
7. 편집 비평
8. 정경 비평
9. 사회과학적 비평
10. 수사 비평
11. 구조주의 비평
12. 이야기 비평
13. 독자 반응 비평
14. 여성 신학적 비평
평가 및 서평
본문내용
.
이야기 비평은 성경 본문 자체에 초점을 둔 본문 중심적 해석 방법이다. 따라서 이야기 비평은 본문의 형성 이전의 자료층이나 자료의 구성 단계를 밝혀내지 않아도 전체 이야기에 비추어서 본문 자체를 읽고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알터는 성경의 올바른 이해는 '성경의 이야기가 있는 그대로 문학적 이야기'로 받아들일 때, 가능하다고 말한다. 그는 고대 근동의 세계가 모두 신화와 서사시라는 글쓰기를 했는데, 왜 성경만 산문체의 글쓰기로 되어있는 지에 주목하여, 성경이 이야기로 있는 이유의 정당성을 확보한다. 다시 말해 성경이 고대 근동의 글쓰기와 다른 산문체 이야기로 존재하는 이유는 성경이 자신을 다른 무엇이 아닌 이야기로 읽어달라는 부탁이라고 알터는 본다.
독자반응 비평은 독자들 스스로 자유롭게 본문의 뜻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독자 반응 비평은 독자들이 본문의 잠재력 뿐만 아니라 그들 자신의 상황, 언어와 문학의 능력과 필요에 비추어서 본문과 상호 작용을 할 수 있게 한다. 부정적인 면들은 독자 반응 비평은 성경에 대해서 문학 중심적이기 때문에 종교적, 역사적 연구의 관점에서 볼 때, 적절하지 못하다고 판단될 수 있다. 성경은 전통적 의미에서 문학이 아니다. 성경을 일반 문학으로 분류하는 것은 불합리하게 보일 수 있다. 독자 반응 비평에는 심미적-반응 비평, 심리학적 방법 등 다양한 이론들이 있으므로 공동의 이론이 필요하다. 그러나 성경 본문의 특성과 잠재력과 독자들의 발전하는 능력을 가정하면 그런 복잡성과 창조성을 기대해야 한다.
여성신학적 비평의 평가에서 트리블은 여성 신학적 해석은 성경에서 잃어버린 여성의 모습을 찾으려는데 있다. 그 녀는 가부장 문화권에서 희생당한 여성의 경험을 새롭게 들려주기 위해서 성경을 해석하였다. 긍정적인 면은 그대로 지나쳐 온 이전의 편견들이 교정되고 성경으로부터 새로운 말씀을 들을 수 있다는 것이다. 여성신학적 비평에 있어서 주의해야 할 점은 여성신학적 관점을 전제로 하여 성경을 해석하기 때문에 성경 전체를 못보게 되는 한계점이 있으므로 본문의 원래 의도와 거리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여성 신학이 성 차별주의 이데올로기 자체를 비판하는데 치중하면 남성과 대립 관계를 강화시키는 역효과를 가져오기 쉽다. 여성 신학이 단순히 이론적인 신학뿐만이 아닌 삶의 자리에서 일어나는 성차별적 부조리와 모순을 깨뜨리려고 할 때 여성 신학은 실천적인 면을 신학화하는 일에도 노력해야 한다.
이야기 비평은 성경 본문 자체에 초점을 둔 본문 중심적 해석 방법이다. 따라서 이야기 비평은 본문의 형성 이전의 자료층이나 자료의 구성 단계를 밝혀내지 않아도 전체 이야기에 비추어서 본문 자체를 읽고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알터는 성경의 올바른 이해는 '성경의 이야기가 있는 그대로 문학적 이야기'로 받아들일 때, 가능하다고 말한다. 그는 고대 근동의 세계가 모두 신화와 서사시라는 글쓰기를 했는데, 왜 성경만 산문체의 글쓰기로 되어있는 지에 주목하여, 성경이 이야기로 있는 이유의 정당성을 확보한다. 다시 말해 성경이 고대 근동의 글쓰기와 다른 산문체 이야기로 존재하는 이유는 성경이 자신을 다른 무엇이 아닌 이야기로 읽어달라는 부탁이라고 알터는 본다.
독자반응 비평은 독자들 스스로 자유롭게 본문의 뜻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독자 반응 비평은 독자들이 본문의 잠재력 뿐만 아니라 그들 자신의 상황, 언어와 문학의 능력과 필요에 비추어서 본문과 상호 작용을 할 수 있게 한다. 부정적인 면들은 독자 반응 비평은 성경에 대해서 문학 중심적이기 때문에 종교적, 역사적 연구의 관점에서 볼 때, 적절하지 못하다고 판단될 수 있다. 성경은 전통적 의미에서 문학이 아니다. 성경을 일반 문학으로 분류하는 것은 불합리하게 보일 수 있다. 독자 반응 비평에는 심미적-반응 비평, 심리학적 방법 등 다양한 이론들이 있으므로 공동의 이론이 필요하다. 그러나 성경 본문의 특성과 잠재력과 독자들의 발전하는 능력을 가정하면 그런 복잡성과 창조성을 기대해야 한다.
여성신학적 비평의 평가에서 트리블은 여성 신학적 해석은 성경에서 잃어버린 여성의 모습을 찾으려는데 있다. 그 녀는 가부장 문화권에서 희생당한 여성의 경험을 새롭게 들려주기 위해서 성경을 해석하였다. 긍정적인 면은 그대로 지나쳐 온 이전의 편견들이 교정되고 성경으로부터 새로운 말씀을 들을 수 있다는 것이다. 여성신학적 비평에 있어서 주의해야 할 점은 여성신학적 관점을 전제로 하여 성경을 해석하기 때문에 성경 전체를 못보게 되는 한계점이 있으므로 본문의 원래 의도와 거리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여성 신학이 성 차별주의 이데올로기 자체를 비판하는데 치중하면 남성과 대립 관계를 강화시키는 역효과를 가져오기 쉽다. 여성 신학이 단순히 이론적인 신학뿐만이 아닌 삶의 자리에서 일어나는 성차별적 부조리와 모순을 깨뜨리려고 할 때 여성 신학은 실천적인 면을 신학화하는 일에도 노력해야 한다.
추천자료
영화 베스트맨에 내재한 햄릿의 현재적 재구성과 심리비평
황순원 소설『소나기』의 심리주의적 비평적 접근
박완서 작품의 여성주의적(페미니즘적) 비평
황순원 소설『소나기』의 독자반응비평적 접근
《동백꽃》에 대한 페미니즘 비평
[국문학] 르네 지라르의 구조주의 문학비평
황순원 소설〈소나기〉의 구조주의 비평적 접근
윤흥길, 장마의 신화, 원형적 비평
[문학의 이해/2학년 공통] 프로이드의 심리주의 비평에 대해 서술하시오
Elaine Showalter and Gynocriticism -일레인 쇼월터와 여성중심비평
- 김수영 문학과 분단극복의 현재성을 중심으로 본 역사주의 비평의 이론과 실제
(문학의이해) ‘프로이트의 심리주의 비평’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자신이 애독, 애청한 소설작...
[문학의이해 공통] 프로이트의 심리주의 비평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자신이 애독, 애청한 소...